• Title/Summary/Keyword: 거주요인

Search Result 1,483,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n Analysis on Development Determinants for Revitalization of Marina Development (마리나 개발 활성화를 위한 개발 결정요인 분석)

  • Kim, Nam-Gyu;Lee, Jae-Hyung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44 no.4
    • /
    • pp.312-318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ctivate marina development by empirically analyzing the development determinants of the marina, to provide the basic date for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he 2nd Marina Port Basic Plan' and marina industrial development. To accomplish the study goal,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356 locals residing in five marina development regions of three districts. The factors relative to the marina development included general characteristics such as age, income level, interest group, residential area, and the reasons of conflicts such as collectivism, exclusion from the development process, and the environmental problems. The marina development pros and cons (approval or opposition) and marina development conflict types (profit or value conflict) were used as the dependent variable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by using the SPSS 25.0 statistical program to perform the technical statistic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arina development pros and cons, age, income level, interest group, residential area, and residence period amo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significant. Second, the factors of collectivism and exclusion of development process among the causes of conflict were significant. Third, age, income level, and residential area amo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significant factors.

Mortality Risk by Living Arrangements among Old Adults: Comparison between Living with Others and Living Alone (노인의 거주형태에 따른 사망 위험요인: 동거노인과 독거노인의 비교)

  • Lee, Si-Eu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8 no.9
    • /
    • pp.249-256
    • /
    • 2020
  • This study was to identify differences in mortality risk by living arrangements among older adults. We analyzed data from 3,827 older adults who took part in the 2014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Cox proportional hazards regression was used for data analysis. The significant factors associated with mortality risk in living with others were male, education level, self-rated health, limitation of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cognitive dysfunction, and depression. The significant factors associated with mortality risk in living alone were regular exercise, limitation of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cognitive dysfunc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amined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mortality risk by living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nursing intervention should be developed to decrease mortality by living arrangements.

The comparison of lengh of stay between residence and Seoul area hospitalization (거주지 입원과 서울 입원의 재원일수 비교+T4)

  • Nam, Mun-Hee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0.11b
    • /
    • pp.509-512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지방환자의 서울진료의 추이와 치료결과를 살펴보기 위해 2005년, 2008년의 퇴원환자 조사 자료를 재원일수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2005년 퇴원환자 333,280명과 2008년 퇴원환자 419,873명의 성별, 연령별, 주진단 분포는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치료결과 재원일수는 2005년에 30일 이상이 7.2%, 20~29일이 5.9%인데 비해 2008년은 30일이상이 6.2%, 20~29일 6.0%로 나타나 재원일수는 절감되었다. 전체퇴원환자의 재원일수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에 대해 회귀분석 결과 연도, 성, 보험유형, 의료기관유형, 입원경로, 내원 경유, 주진단, 거주지의 효과를 통제한 후 지방환자의 진료지역에 따른 재원일수를 살펴본 결과 서울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암환자의 재원일수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에 대해서도 연도, 성, 보험유형, 의료기관유형, 입원경로, 내원 경우, 주진단, 거주지의 효과를 통제한 후 지방환자의 진료지역에 따른 재원일수를 살펴본 결과 서울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지방환가 거주지에서 진료를 받는 것에 비해 서울에서 진료를 받는 것이 치료결과가 짧았다. 이는 타 지역 진료의 간접의료비 영향으로 서울지역에서 조기 퇴원하여 거주지에서 진료하였거나 서울 진료자가 중증도가 낮은 환자가 많아 재원일수가 낮을 수 있다는 것도 배제 할 수 없다. 이에 대한 중증도 보정 후 서울 진료환자의 재원일수가 낮은 요인을 분석하는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

  • PDF

Significant Factors Related to the Intention of the Elderly to Live in a Community:The Case of Busan Metropolitan City (노인의 지역사회 거주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부산광역시 노인을 중심으로)

  • Lee, Kiyoung;Park, Mijin;Yoo, Youngmi
    • 한국노년학
    • /
    • v.27 no.2
    • /
    • pp.445-458
    • /
    • 2007
  • This study aims to find the extent to which the elderly intends to live in their community and significant factors related to their intention and to provide basic but important empirical data in approaching to various community resources for community care service for the elderly. This study analyzed the raw data titled social welfare needs of residents of Busan Metropolitan City surveyed in 2005. Within the data, 1,673 households were selected in which at least one senior citizen aged 65 and over lived together. Questionnaires from in each household were analyzed. Research findings indicate that 80% of the respondents intend to live in their home rather than in residential institutions and that the elderly without adult children(55.2%) have less intention for living in their home than the elderly without their spouse(76.4%). Their intention-related factors were the presence of adult children, recognition on community resources for the elderly and perceived number of chronic diseases, when they were presumed to be healthy. When they were presumably weak or ill, socio-economic factors such as home ownership and welfare recipience were found to be more influential factors than family-related variables. The elderly who intended to live in home rather than to live in a residential institution were less likely to use social services in community than expected. Policy and practice implications were suggested on the basis of the findings.

Indicators for identification of urban flood vulnerability (도시홍수취약성 평가 인자 선정)

  • Lee, Gyumin;Jun, Kyung 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88-88
    • /
    • 2016
  • 최근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홍수 중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킨 2010년 광화문 일대와 2011년 강남역 일대 홍수의 주요 원인은 하천관리를 통하여 대응해온 지금까지의 홍수와는 달리 도시의 우수배제 기능이 높은 강도의 강우에 대응하지 못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도시내부에서 발생한 이 같은 홍수는 도시의 기능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으며, 거주민의 안전과도 밀접하게 연관된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의 기능과 거주민의 안전을 우선적으로 고려한 홍수 취약성평가 인자를 선정하고자 한다. 기존의 여러 홍수취약성 연구들에서는 취약성을 평가함에 있어 피해금액을 기준으로 적용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장기적인 홍수대응, 완화 정책의 구상에 있어 예상되는 피해금액은 중요한 지표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으로는 도시에서 발생 가능한 피해를 모두 반영하는데 한계가 있다. 도로, 지하철, 철도 등의 교통수단이 침수되는 경우, 피해회복을 위한 비용뿐만 아니라, 도시기능에 심각한 영향을 주어 도시의 생산성, 안정성에 막대한 피해를 남길 수 있다. 따라서 피해금액의 규모에 대한 접근만으로는 도시에서 발생한 홍수에 의해 피해를 받는 취약요인을 적극적으로 반영할 수 없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홍수 피해양상과 이에 대한 대응 방법 등 홍수의 물리적 위험성 뿐 아니라 홍수와 연관된 사회적인 요인들을 반영한 취약성 평가인자를 구성하기위하여 인자간의 인과관계 등을 고려하여 인자의 범위를 규정하고 델파이 설문조사와 문헌 연구를 통하여 전문가 의견을 수집, 분석하였다. 홍수취약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크게 3가지 그룹으로 정리하여 도시구조물, 거주민, 위험요인으로 구분하고 각 항목별로 영향인자을 선정하였다. 결정된 인자는 2011년 홍수피해가 발생한 도림천 유역에 적용하여 홍수취약성 평가를 수행하고자 한다.

  • PDF

Analysis for Oral Health Behavior of Some Residents in Gyeongsangnam-do Area (경남권 지역 일부 주민들의 구강건강행위 분석)

  • Kim, Jung-Sool;Lee, Byung-Ho
    •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 /
    • v.12 no.6
    • /
    • pp.591-599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d the major factor variables against oral health behaviors and oral health state and quality of life (QOL) for some residents in Gyeongsangnam-do area. This study was based on the PRECEDE model as a theoretical model for diagnosis in health education needs. Total data 697 were analyzed by PASW 18.0 program. Results for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t-test results in sex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predisposing, reinforcing, oral health behavior, health${\cdot}$QOL factor, education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predisposing, reinforcing, health${\cdot}$QOL factors, also, number of teeth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health${\cdot}$QOL factor. Secondly, ANOVA results in age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predisposing, enabling, health${\cdot}$QOL factor, area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health${\cdot}$QOL factor, also, economic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reinforcing, oral health behavior. Thirdly, in CATREG analysis, oral health behavior as the response variable results in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sex, predisposing, reinforcing, enabling factor and its explanation was 28.3%. Lastly, in CATREG analysis health${\cdot}$QOL as the response variable results in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ge, number of tooth, enabling, oral health behavior factor and its explanation was 17.9%. So, results from this data we could contribute to identify oral health behavior patterns in Gyeongsangnam-do area residents.

A Multi-Level Analysis of Influential Factors of Residents' Housing Instability in Korean Metropolitan Environments (대도시 거주자들의 주거불안정 영향요인에 관한 다층분석)

  • Lee, Minju
    •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 /
    • v.36 no.4
    • /
    • pp.57-67
    • /
    • 2020
  • This study aims to analyze influential factors of residents' housing instability in Korean large cities. The previous studies deal with low-income households' experiences with housing instability. However,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impact of regional characteristics such as spatial openness and community characteristics on residents' housing instability. For this purpose, I analyzed various experiences as symptoms of residents' housing instability using data from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s (MOLIT) Korean Housing survey through a multi-level logistic regression model. The study finds that regional factors as well as household characteristics influence their housing instability. This result implies that promoting spatial inclusivity alleviate residents' housing instability in metropolitan environments. In addition, this study calls for policy efforts such as a continuous supply of public rental housing and a greater variety of housing types to mitigate housing instability.

Housing Environment Type And Resident Housing Satisfaction (주거환경유형과 거주자의 주거만족)

  • 진양교;수와이드만;제임스앤더슨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19 no.1
    • /
    • pp.45-59
    • /
    • 1991
  • 본 연구에서는 객관적 환경지표와 그에 대한 인간의 주관적 반응간 의 인과적 관련도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거주자의 주관 적 반응인 주거만족과 객관적 환경지표의 하나인 주거환경유형들(건물유형 과 건물배치유형)과의 인과적 관련도가 본 연구에서 중점적으로 토의된다. 한국의 6개 대단위 공동주택단지가 본 연구의 대상지로 선정되었고, 표본 추출시 건물유형과 건물배치유형을 고려한 다단계 표집방법(multistage sampling)이 사용되었다. 설문면답방법(modified structured survey)에 의해 646명의 처리 가능한 응답이 수거되었다. 인과모형 검증의 첫 단계로서 다 수의 설문문항을 원래 관심있는 소수의 변수로 정선, 추출하기 위한 방법 으로 요인분석이 사용되었다. 요인분석으로부터 정선, 추출된 변수를 이용 해서 본 연구의 가설모형이 정립되고, 그 모형을 검증하기 위한 방법으로 경로분석이 사용되었다. 분석결과를 요약해 볼 때, 건물유형과 건물배치유 형 모두가 거주자의 지각, 인식, 태도 등의 적절한 매개변수들을 통해 거주 자의 주거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물유형은 일반 적으로 저층주거에서 고충주거로 바뀌면서, 거주자의 주거만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확인되었고, 고층주거가 거주자에게 주는 시각적 단 조로움, 과밀감, 그리고 주차장을 포함한 옥외공간 이용상의 불편들과 또 그들로 인한 낮은 안전성 및 경관에 대한 불만족 등이 그 이유로서 밝혀졌 다. 건물배치유형의 경우, U자형의 배치유형이 선형배치유형에 비해 과밀 감 해소, 시각적 명료성 향상, 그리고 옥외공간 이용상의 편리 등 및 또 그 에 따른 경관에 대한 만족의 향상 때문에 거주자의 주거만족을 높이는 데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거와 관련된 설계 및 계획분야를 위한 여러 다 양한 제안들이 본 연구에서 제시되고, 추후 관련 연구들을 위한 가능성들 도 토의되었다. 그 유용성 때문에, 아직 많은 이론적, 방법론적, 그리고 분 석상의 문제에도 불구하고, 객관적 환경지표들과 이용자들의 만족을 포함 한 다양한 주관적 변수들과의 관계를 경험적으로 밝히려는 시도가 계속되 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