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거시적 교육과정

Search Result 43,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Adolescent Suicides in Korea: Predictors and Interventions

  • Choi, Jin-Young;Davis, Mary Ann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 Community Health Education
    • /
    • v.10 no.1
    • /
    • pp.61-86
    • /
    • 2009
  • 본 연구는 영문으로 발표된 문헌고찰을 통해 한국의 청소년 자살행동의 예측요인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이과 관련된 정책과 중재프로그램의 동향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나아가 한국 청소년 자살을 감소시키고 억제하는데 필요한 효과적인 중재방안의 개발에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주제어 검색을 통해 4대 사회과학 검색엔진을 활용하여 문헌검색을 하였고 Citation Pearl Growing 기법을 적용하여 영문으로 발표된 학술지 게재 논문을 선별하였는데 추가적으로 국회도서관 전자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최근 청소년 자살에 관한 대표적인 2개의 보고서를 찾아 고찰하였다. 본 문헌고찰은 청소년 자살예방 중재 프로그램 뿐만 아니라 청소년 자살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거시적, 미시적 차원으로 논하였다. 청소년 자살행동에 기여하는 거시적 또는 사회적 요인은 국가 경제수준, 대학입시에 대한 학업성취도 스트레스, 그리고 매체 및 인터넷 문화였다. 개인적 또는 미시적 위험요인은 6개의 영역으로 나누어 설명되었다. 일반적 특성, 가족 특성, 학교 환경, 약물 사용, 정신적 장애, 성적 정체성이었다 이 6개 영역의 위험요인들이 서로 조합되면서 청소년에게 자살 의도나 시도가 일어나도록 하는 경향이 높았으며 이중 청소년 자살 예방에 우선적인 3대 요소는 자아정체성 확립, 정신건강 중재서비스의 제공, 거시적 예방 정책의 구조화로 분석되었다. 종합적으로 학교는 정규학교교육과정과 학생 검사를 통해서 일반적인 정신건강교육을 실시하고 위험학생을 선별 하는데 핵심적인 장이다. 따라서 학교를 경유한 위험학생 선별사업과 이에 따른 교육 및 중재 프로그램의 지원이 활성화되는 것이 필요하다.

  • PDF

Exploring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Curriculum of Graduate School Professors (직무능력표준의 교육과정도입에 대한 전문대학원 교수자 역량)

  • Kim, Jin-Hee;Do, Jaewoo
    •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 /
    • v.6 no.10
    • /
    • pp.145-153
    • /
    • 2016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raw competencies of faculty members at graduate school faculty to implements the NCS-based curriculum. A set of competency was deductively derived from a total of three professors and consultants with more than ten-year experiences and has been involved in developing the college curriculum. The political endeavors of the Korean government toward the competency-based education have been implemented as a movement to the NCS-based curriculum. The requirements for the reorganization of curriculum and education system as well as cooperation among faculty, industry, region and development part of NCS were suggested for the activation of NCS based education and the operation of NCS. However, one of the most critical factors in introducing and implementing the NCS-based curriculum is the role of faculty members. Therefore, it is an urgent issue to equip the faculties with required competencies. Result showed that the competencies required professors at graduate school for the NCS-based curriculum implementation were classified into four areas: marco-level curriculum development; micro-level course design; knowledge across areas; and attitude across areas.

A Comparison of Middle School Students' Macroscopic and Microscopic Conceptions Related to the Properties of Substances (물질의 특성에 대한 중학생의 거시적 개념과 미시적 개념의 비교)

  • Lee, Jaewon;Lee, Byoungjin;Noh, Taehee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v.62 no.3
    • /
    • pp.243-252
    • /
    • 2018
  • In this study, we compared 8th graders' macroscopic and microscopic conceptions related to the properties of substances. A test for the basic particle concept and a test for the macroscopic and microscopic concepts of melting point, solubility, and density were developed and administered to 371 students. Their responses were classified into 4 categories on the bases of their understanding of the macroscopic and microscopic concepts. The proportions and characteristics of each category were also analyzed. The analyses of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students who understood the macroscopic concepts had various misconceptions at the microscopic level. Many students had difficulty in understanding not only microscopic concepts but macroscopic concepts. The microscopic responses of the students who did not understand the macroscopic concepts hardly corresponded with their macroscopic level responses. The students who responded correctly to the test for the basic particle concept also had difficulty in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the properties of substances. When they understood the macroscopic concepts, the proportions of the students who understood the microscopic concepts were high. On the bases of the results,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of concepts related to the properties of substances and for improving the future national curricular are discussed.

자연수의 곱셈에 대한 교수-학습지도 방안 고찰

  • Jeong, Seung-Jin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8 no.1 s.18
    • /
    • pp.73-87
    • /
    • 2004
  • 현장에서 수업을 하다 보면 의외로 학생들이 곱셈구구는 잘 외우고 있지만 곱셈의 개념에 대해서는 잘 모르고 있다는 것을 많이 발견할 수 있다. 이것은 곱셈에 대한 개념을 도입할 때 학생들이 왜 곱셈을 배우는가에 대해서 스스로 절실하게 생각해 보고 발견해 보는 경험이 부족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곱셈이 왜 필요하고 곱셈식으로 나타내는 것이 얼마나 좋은 방법인지 학생들이 깨달아 덧셈구조에서 곱셈구조로의 개념의 변화가 일어날 수 있도록 지도한다면 이러한 문제점을 어느 정도 해결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연수의 곱셈에 대한 이론적 배경과 교육과정을 알고 이를 바탕으로 수학교육 이론에 근거한 자연수의 곱셈의 교수-학습 지도 방안에 대하여 거시적 입장에서 고찰해 보고자 한다.

  • PDF

Exploring Multi-faceted Understandings and Issues Regarding Science Subject Matter Competency: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with General Core Competency (과학교과 역량의 다면적 이해와 쟁점의 탐색: 일반 핵심역량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 Lee, Gyeong-Geon;Park, Jeongwoo;Lee, Sun-Kyung;Hong, Hun-Gi;Shim, Han Su;Shin, Myeong-Kyeong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 /
    • v.43 no.1
    • /
    • pp.94-118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ulti-faceted understanding and issues of science subject matter competencies from the trends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discourse,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core competencies and science subject matter competencies. First, we examin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focusing on behaviorism, humanism, and its comprehensive synthesis. After that, we reviewed OECD's competency-related projects (DeSeCo; OECD Education 2030), US Next-Generation Science Standards (NGSS) and Korea's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from the viewpoint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After that, we summarized and systematically analyzed a list of competencies, 105 general core competencies and 45 science subject matter competencies proposed by 15 important documents from home and abroa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ssues of the proper number, appropriate dimension, and how individual competencies should be unique and independent were pointed, in terms of defining and categorizing competencies. Second, it was suggested that the competency items are presented in various dimensions such as personal-micro dimension, community meso-dimension, and social-macro dimension. Meso-dimension was placed on both general core competencies and subject matter competencies.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core competencies and subject matter competencies, the former emphasizes macro-dimension, and the latter emphasizes micro-dimension, revealing an existing gap, and where the two can meet each other is the meso-dimension. These discussions are thought to provide insight into the understanding of competencies in the national curriculum, including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Mathematics Curriculum Revising Processes & Directions from the Standpoints of the Comtemporary Two Reports in the 1920's as the Origin of Math Wars (수학전쟁의 기원과 우리나라 수학교육과정 개정 - '중등수학교육의 문제점'과 '1923 Report' -)

  • Chang, Kyung Yoon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 /
    • v.24 no.4
    • /
    • pp.645-668
    • /
    • 2014
  • This study was designed to gain insights into contemporary secondary mathematics curriculum revision in Korea. The two secondary mathematics curriculum reports submitted in the 1920s, the Kilpatrick Reports and 1923 Reports were compared and contrasted as the origin of recent math wars, and their backgrounds, committee members, viewpoints of math and math education and contents were analyzed to understand the perspectives of the two extreeme parts. Kilpatrick Reports was selected at that time, but nevertheless 1923 Report had taken a role of guiding secondary mathematics in US until the New Math era. The direction and process of mathematics curriculum revision were suggested based on the analysis of reports' short- and long-term influences. A close examination of the curriculum revision process in US and in Korea and the implications from the results are also included in the suggestion.

  • PDF

Reflections on the Prim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in the Netherlands - Focused on Number and Operations Strand - (네덜란드의 초등 수학 교육과정에 대한 개관 - 자연수와 연산 영역을 중심으로 -)

  • Chong, Yeong-Ok
    • School Mathematics
    • /
    • v.7 no.4
    • /
    • pp.403-425
    • /
    • 2005
  • The study aims to get real picture of primary mathematics education based on RME in the Netherlands focusing on number and operations strand by reflecting and analyzing the documents in relation to the prim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In order to attain these purposes, the present paper describes the core goals for mathematics education, Dutch Pluspunt textbook series for the primary school, and a learning-teaching trajectory by TAL project which are determinants of the Dutch prim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Under these reflections on the documents, it is analyzed what is the characteristics of number and operations strand in the Nether-lands as follows: counting numbers, contextualization, positioning, structuring, progressive algoritmization based on levels, estimation and insightful use of a calculator. Finally, discussing Points for improving our primary mathematics curriculum and textbook series development are described.

  • PDF

Galileo의 태양흑점 발견과정을 토대로 과학의 본성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믿음 탐색

  • Lee, So-Jeong;Kim, Yong-Gi;O, Jun-Yeong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7 no.2
    • /
    • pp.102.2-102.2
    • /
    • 2012
  • 이 연구의 목적은 거시적인 관점에서 NOS의 중요한 요소들을 강조한 Flow map(oh, 2011)를 이용한 명시적이고 암시적인 교육의 본성교육이 얼마나 이루어졌는가를 알아본다. 과학의 본성은 지식의 내용뿐만 아니라 지식이 어떻게 형성되었는가에 있다. 이러한 과학의 본성을 이해한다는 것이 현대의 과학의 중요한 목적중의 하나인 과학적 소양을 얻는 것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실현하는 교수 모형으로 가장 중요한 이론의 생성과 실험에 의한 확증과 이론의 확증을 미시적인 관점으로 연구를 전개하였다. 따라서 먼저 Kuhn(1996)의 과학철학 이론과 NOS를 통한 Flow map 개발에 이론적 배경이 된 과학의 본성의 정의, 과학의 본성에 대해 합의된 핵심 요소들, Kuhn(1996)의 과학철학 이론을 바탕으로 한 Oh(2011)가 제안한 Flow map의 구조를 알아본다. 연구방법은 귀추(abduction)를 통한 가설의 생성과정과 확증을 보여주는 Oh(2012)의 자연과학의 추리과정을 이용하여 충북대학교 천문우주학과에서 자연과학캠프에 참여한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Galileo의 흑점발견과정"으로부터 현대의 태양의 흑점 모형을 이해하도록 한다.

  • PDF

Teaching-Learning Methods articulated with mathematics in middle school (중학 수학의 연계적인 교수 학습 방법에 관한 연구 - 함수 영역을 중심으로)

  • 장이채;김태균;정인철;송주현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
    • v.6 no.2
    • /
    • pp.21-37
    • /
    • 2003
  • In this paper, we improved, compared and analyzed the articulation of school mathematics. We also tried to form the theoretical basis of school mathematics by classifying and considering the articulation into vertical articulation and horizontal articulation depending on the meaning, and give an actual help. The articulation of school mathematics until now has been focused on a study of vertical articulation according to the macroscopic characteristic of mathematics, but now a study of the horizontal articulation as well as the vertical articulation should be done in consideration of the micro characteristics of mathematics and various realities of life by modifying a syllabus of the function unit and by using internet homepage. Thus, we structurally divided the articulation into vertical articulation and horizontal articulation, analyzed mathematical activities and presented actual models of each representative learning activity for smooth teaching in schools through the function unit.

  • PDF

A Study of Potential Application of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in Nursing; Predicting the Future of Nursing Education in the U.S. (계층분석과정의 간호적용에 관한 연구 -미국의 미래 간호교육의 예견-)

  • Han, Kyung-Ahe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
    • v.16 no.1
    • /
    • pp.89-104
    • /
    • 1986
  • 복잡한 사회문제해결에 유용한 접근방법의 하나인 계층분석과정은 수학자인 사티(Saaty)가 개발한 것으로서 이미 사회과학의 여러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이 계층분석과정을 간호교육과 관련된 문제에 적용해 봄으로써 이 방법이 실제 문제해결을 위한 유용한 접근방법이 될 수 있는가를 고찰해 보는데 있다. .현대사회문제들은 다양한 관련요소, 그 요소들간이나 다른 문제들과의 복잡한 상호관계, 다수의 의사결정자의 참여, 무한한 대안, 문제의 결과에 대한 불확실성 등으로 인하여 단순한 모델이나 간단한 논리적 혹은 직관적인 판단에 준하여 일시에 해결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문제와 관련된 요소들을 찾아내고 그 요소들을 계층적으로 분석하여 단계적으로 문제해결에 접근하는 계층분석과정을 활용함으로써 사회과학분야의 문제해결에 유용한 수단이 될 수 있다. 또한 문제와 관련된 요소를 규명하고 계층적으로 분화하는 과정에서 그 문제에 대한 보다 명확한 이해, 분석 및 현상의 흐름을 더 잘 인해하게 된다. 계층분석과정은 1) 계층구조의 설정 2) 구성요소들의 중요도 측정 3) 중요도에 따른 우선 순위의 산정 4) 우선 순위의 일관성 검토과정으로 요약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미국 간호계에서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어온 기본교육제도상의 쟁점(Issue of Entry into Practice)에 대한 문제 해결책이 마련되는지를 시도하였다. 즉, 기본교육 제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을 규명하여 계층화하고 계층내에 위치하는 구성요소들의 수평적 관계와 계층간의 수직적 관계를 체계적으로 검토하여 간호교육의 미래를 예측해 보았다. 간호교육제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주요 요인들의 계층화는 거시적 환경차원(factors), 관련 이해자 집단차원(actors), 이해자 집단의 목표차원(objectives), 목표달성을 위한 정책차원(Policies), 그리고 간호교육제도의 미래를 예견한 시나리오(scenario)로 이루어졌다. 각 계층을 따라 단계적으로 중요도를 비교하여 최종적으로 각 시나리오의 우선순위 중요도(priority weight)를 구하였다. 각 시나리오의 우선순위 중요도를 간호교육과 관련된 4가지 차원들(학생, 교수, 교육기관, 직업)을 구성하고 있는 특성들에 가중하여 결과를 해석 하였다. 간호교육의 미래에 정치적(55%)과 경제적(25%) 요인이 가장 강한 영향을 미치고, 관련자중에서는 병원(38%) 의사(33%) 그리고 정부(23%)의 순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분석되었다. 의외로 간호원 자신들은 큰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보여졌다. 4개의 시나리오 중에서는 그 우선순위 중요도가 현상유지(33%) 자발적4년제(32%), 강제 4년제(19%), 그리고 2~3년제의 우위(18%) 순으로 나타났다. 최종 시나리오 결과를 요약하면 1) 전체 학생수는 감소하나 양질의 간호학생수는 증가하며 2) 박사학위를 소지한 간호학 교수 및 전체 교수의 수가 증가할 것이다. 3) 전체 간호교육기여의 수는 약간 줄 것이며 그중 4년제 기관이 증가하고 반면에 2~3년제의 기관은 감소할 것이다. 4) 전문간호원이 되기 위한 입학용이도에는 별차이가 없겠으나 간호원들의 보수, 지위 및 자율성이 증가하면서 전반적인 간호의 질이 향상될 것이다. 계층분석과정의 적용으로 미국 간호교육계의 가까운 미래를 위와 같이 예견하여 보았으나 이 과정은 예견 뿐 만 아니라 일반적인 의사결정이나 문제 해결의 도구이외에도 복잡한 사회문제의 본질을 분석, 이해함으로써 보다 정화한 정책문제를 규정하는 데에도 유용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