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거시경제정책

Search Result 159,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The Long-lived Volatility of Korean Stock Market and Its Relation to Macroeconomic Conditions (한국 주식시장의 지속적 변동성과 거시경제적 관련성 분석)

  • Kim, Young Il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35 no.4
    • /
    • pp.63-94
    • /
    • 2013
  •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long-run movement of volatility in Korean stock market by decomposing stock volatility into the long-lived and the short-lived components. In addition, I analyze how the low-frequency movement of stock market volatility is related to changes in macroeconomic conditions. The volatility decomposition is made based on the GARCH-MIDAS model, in which the long-lived volatility is constructed based on the combination of realized volatilities (RVs). The results show that the long-lived volatility contains information of up to 3~4 years of past RVs. In addition, the changes in the long-lived volatility can explain about two thirds of volatility changes in the Korean stock market from 1994 to 2009. Meanwhile, the low-frequency movement in the market volatility can be related to changes in macroeconomic conditions. The analysis shows that the stock market volatility appears to be countercyclical while showing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inflation. In addition, the stock market volatility tends to rise as macroeconomic uncertainty increases. These results imply that macroeconomic policies aiming at economic stabilization could contribute to reduction in the stock market volatility.

  • PDF

탄소세 부과의 경제적 효과 - 에너지 계량경제모형을 이용한 분석 -

  • Lee, Man-Gi;Kim, Seung-Su;Mun, Gi-Hwan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7 no.2
    • /
    • pp.137-169
    • /
    • 1998
  • 본 연구는 탄소세 부과가 우리 나라의 에너지 및 국민 경제에 미치는 충격의 영향분석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에너지-경제 연계 계량경제모형을 수립하였는데 본 모형은 기존의 거시경제모형을 수정한 후 에너지 모형과의 연계를 통해 에너지 부문의 충격이 경제부문에 미치는 효과를 정량적으로 파악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탄소배출량에 대한 규제가 탄소세 부과를 도입하도록 유도하고 에너지가격의 상승과 에너지수요를 감소시킴으로써 경제부문의 생산을 위축시키는 흐름도를 가정하고 있다. 분석의 과정에서 탄소세 부과가 에너지 및 국민경제 부문에 미치는 효과의 측정은 에너지가격 및 수요변화, 국내총생산액의 변화 등을 통하여 수행되었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탄소 배출량의 안정화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탄소세가 상당히 높게 부과되어야 하며 전력가격 및 에너지가격의 상승에 미치는 효과와 국내총생산액 등 주요 경제 변수에 미치는 충격이 매우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계량경제모형을 통하여 여러 가지 정책수단에 대한 시뮬레이션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정책의 효과분석 및 동 분야의 향후 연구에도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ystem Dynamics Model for Economic Growth, Environmental Quality, and Knowledge Development in Korea (한국경제의 성장과정과 환경 및 지식스톡에 관한 시스템 다이내믹스 모델링)

  • 전대욱;김지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11a
    • /
    • pp.111-114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경제의 성장과정에서 자본, 노동, 지식, 그리고 환경질의 동태적 상호관계를 도출함에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경제성장에 관한 전통적인 거시경제적 시스템 다이내믹스 모형에 최근 경제학에서 대두되는 새로운 아이디어, 환경 및 지식에 관한 변수들을 가미하여 본 연구의 모델을 제시하고, 아울러 경제성장의 질적 전환기에 있어서 유효한 정책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이론적이며 실제적인 의의를 지닌다.

  • PDF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House Price, Income Inequality and Macroeconomic Variables (주택가격, 소득불평등 및 거시경제변수간의 관계분석)

  • Kwon, Sun-Hee;Hyun, Seong-Mi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7 no.1
    • /
    • pp.55-62
    • /
    • 2019
  •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housing price, purchase price, Gini coefficient, interest rate, and the employment, considering that the change in housing price was an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macroeconomic variables and income inequality. The panel VAR model was constructed considering the panel data, and the Granger causality, Impulse response and Variance dispersion analysis were performed. As a result, when compared to before and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it was shown that the rent price had an effect on income inequality, but in the following period, both the rent price and the selling price affected the income inequality. And that it has a large impact on inequality. In addition, the causality between income inequality and employment rate, interest rate, and tax rate was confirmed.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a desirable policy to mitigate income inequality considering the influence of policy variables for economic activation including government real estate policy.

A Research on stock price prediction based on Deep Learning and Economic Indicators (거시지표와 딥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한 자동화된 주식 매매 연구)

  • Hong, Sunghyuck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8 no.11
    • /
    • pp.267-272
    • /
    • 2020
  • Macroeconomics are one of the indicators that are preceded and analyzed when analyzing stocks because it shows the movement of a country's economy as a whole. The overall economic situation at the national level, such as national income, inflation, unemployment, exchange rates, currency, interest rates, and balance of payments, has a great affect on the stock market, and economic indicators are actually correlated with stock prices. It is the main source of data for analysts to watch with interest and to determine buy and sell considering the impact on individual stock prices. Therefore, economic indicators that impact on the stock price are analyzed as leading indicators, and the stock price prediction is predicted through deep learning-based prediction, after that the actual stock price is compared. If you decide to buy or sell stocks by analysis of stock prediction, then stocks can be investments, not gambling. Therefore,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enable automated stock trading by using macro-indicators and deep learning algorithms in artificial intelligence.

한국과 미국의 집권정당 정책과 계층별 소득분포 연구 - 요한슨 공적분 검정 -

  • Kim, Jong-Gwon
    • Proceedings of the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Conference
    • /
    • 2008.04a
    • /
    • pp.301-314
    • /
    • 2008
  • 미국 센서스 뷰로 데이터에 의하여 2차대전 후 민주당정부와 공화당정부의 실질 세전 소득증가율의 차이를 살펴볼 때 민주당정부 기간동안에 계층간의 소득불균형이 시정되면서 저소득계층의 소득증가율이 상대적으로 더 높았음을 알 수 있다. 반면에 공화당정부 기간동안에는 소득불균형이 심화되면서 저소득계층보다 고소득계층의 소득증가율이 더 높았다. 소득계층에서 하위 20%의 계층은 공화당정부의 기간동안에 비하여 민주당정부의 기간에 4배의 높은 소득증가율을 가졌다. 이는 양 정부별 실업률 차이에서 비롯되는 데 민주당정부의 기간 동안에 평균 30% 낮았으며 GDP성장률은 평균 30% 높았음에도 영향을 받은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정부별 차이는 1980년대 이후 세후 소득증가율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한편, 실증분석 결과에 따르면 한국의 경우 미국에서와 같이 저소득계층이 고소득계층 보다 거시경제정책에 따른 영향을 더 많이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신정부에서는 이전보다 적극적인 통화정책을 적절한 타이밍(timing)으로 실시하여야 할 필요성이 나타났다.

  • PDF

집권정당 정책과 계층별 소득분포 실증분석 - Granger Causality 분석과 충격반응분석 -

  • Kim, Jong-Gwon
    • Proceedings of the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Conference
    • /
    • 2008.04a
    • /
    • pp.315-331
    • /
    • 2008
  • 미국 센서스 뷰로 데이터에 의하여 2차대전 후 민주당정부와 공화당정부의 실질 세전 소득증가율의 차이를 살펴볼 때 민주당정부 기간동안에 계층간의 소득불균형이 시정되면서 저소득계층의 소득증가율이 상대적으로 더 높았음을 알 수 있다. 반면에 공화당정부 기간동안에는 소득불균형이 심화되면서 저소득계층보다 고소득계층의 소득증가율이 더 높았다. 소득계층에서 하위 20%의 계층은 공화당정부의 기간동안에 비하여 민주당정부의 기간에 4배의 높은 소득증가율을 가졌다. 이는 양 정부별 실업률 차이에서 비롯되는 데 민주당정부의 기간 동안에 평균 30% 낮았으며 GDP성장률은 평균 30% 높았음에도 영향을 받은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정부별 차이는 1980년대 이후 세후 소득증가율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한편, 실증분석 결과에 따르면 한국의 경우 미국에서와 같이 저소득계층이 고소득계층 보다 거시경제정책에 따른 영향을 더 많이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신정부에서는 이전보다 적극적인 통화정책을 적절한 타이밍(timing)으로 실시하여야 할 필요성이 나타났다.

  • PDF

한국과 미국의 집권정당 정책과 층별 소득분포에 대한 소고(小考)

  • Kim, Jong-Gwon
    • Proceedings of the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Conference
    • /
    • 2008.04a
    • /
    • pp.477-487
    • /
    • 2008
  • 미국 센서스 뷰로 데이터에 의하여 2차대전 후 민주당정부와 공화당정부의 실질 세전 소득증가율의 차이를 살펴볼 때 민주당정부 기간동안에 계층간의 소득불균형이 시정되면서 저소득계층의 소득증가율이 상대적으로 더 높았음을 알 수 있다. 반면에 공화당정부 기간동안에는 소득불균형이 심화되면서 저소득계층보다 고소득계층의 소득증가율이 더 높았다. 소득계층에서 하위 20%의 계층은 공화당정부의 기간동안에 비하여 민주당정부의 기간에 4배의 높은 소득증가율을 가졌다. 이는 양 정부별 실업률 차이에서 비롯되는 데 민주당정부의 기간 동안에 평균 30% 낮았으며 GDP성장률은 평균 30% 높았음에도 영향을 받은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정부별 차이는 1980년대 이후 세후 소득증가율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한편, 실증분석 결과에 따르면 한국의 경우 미국에서와 같이 저소득계층이 고소득계층 보다 거시경제정책에 따른 영향을 더 많이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신정부에서는 이전보다 적극적인 통화정책을 적절한 타이밍(timing)으로 실시하여야 할 필요성이 나타났다.

  • PDF

Estimation of Economic Effects on Overseas Oil and Gas E&P by Macroeconomic Model of Korea (거시경제모형을 이용한 해외석유가스개발사업의 경제적 효과 추정 연구)

  • Kim, Ji-Whan;Chung, Woo Jin;Kim, Yoon Kyung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23 no.1
    • /
    • pp.133-156
    • /
    • 2014
  • In general, quantity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using model shows how much big performance policy has. Therefore this is useful to evaluate a policy. This paper composed macro economic model based on Bank of Korea's quarterly model and annual model, that estimates performance of overseas oil and gas development project to Korean economy in aspect of quantity. In this model, we estimated each effect in real GDP, current account, unemployment rate, CPI and exchange rate carried by recovered amount from overseas oil and gas development project. The recovered amount was evaluated in currency coming from oil and gas acquired from overseas oil and gas development project. Macro economic model of this paper benchmarked macro model composed by Bank of Korea(1997, 2004, 2012). We reviewed model robustness using statistical suitability of each equation and historical simulation for from 1994 to 2011. The recovered amount of overseas oil and gas development project has positive effect in every macro economic index except CPI and exchange rate. Economic effect to macro economic index become bigger with time because the recovered amount of overseas oil and gas development project are increasing until now. Although empirical results of economic effects in every year from the recovered amount of overseas oil and gas development project are different, as of 2011, empirical results showed that the recovered amount of overseas oil and gas development project increase 2.226% and 0.401% in current account and real GDP respectively. And it also decrease 0.489%p in unemployment rate. Exchange rate to US dollars also decrease in amount of 0.379%.

A Test on the Efficiency of Monetary Policy in Korea (한국 통화정책의 효율성 검정)

  • Cho, Seonghoon;Huh, Hyeon-seung;Woo, Hee Yeul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29 no.2
    • /
    • pp.117-133
    • /
    • 2007
  • This paper evaluates the efficiency of monetary policy in Korea within the framework of interest rate feedback rules. For this, a small open macroeconomic model is constructed in a similar fashion to Ball (1999). The model is shown to capture key features of the Korean economy well. Using this estimated model, optimal instrument rules are derived for a set of different monetary policy objectives. Empirical results find that the actual monetary policy in the class of instrument rules was not very effective in stabilizing the output gap relative to inflation. However, seemingly successful inflation stabilization observed in the data are not consistent with the policy rules as the reaction of the interest rate to inflation is very low. It also appears that the central bank did not react right to movements in the real exchange rate. This paper offers some suggestions for the conduct of monetary policy in Kore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