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거시경제모형

Search Result 183, Processing Time 0.02 seconds

Time-Varying Effects of Oil Shocks on the Korean Economy (한국경제에 미치는 유가충격의 시간-가변적 효과에 관한 연구)

  • Cha, Kyungsoo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27 no.3
    • /
    • pp.495-520
    • /
    • 2018
  • Because of structural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oil market and the economy, it is widely recognized that the impact of oil shocks on the economy has weaken since the mid-1980s. This study tries to examine the validity of the recent perception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oils shocks and the economy, estimating the time-varying effects of oil shocks on the Korean economy. The results show that the dynamic effects of oil shocks normalized to a one standard deviation has been relatively constant, in contrast to the recent perception and a number of existing studies. In addition, because the shape of impulse response functions at each point in time spanning from 1984:II to 2017:IV has not been changed significantly, it seems that the propagation mechanism of oil shocks also has not been substantially altered.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even though structural changes of the economy, such as the reduction in the share of oil consumption and the spread of high-efficiency energy technologies, have been rapidly progressed, it is not still enough to offset the negative effects of oil shocks. Rather, it seems that the recent perception about the shrinking effects of oil shocks is mainly due to the assumptions that do not reflect changes in the size of oil shocks. In particular, this problem appears more pronounced in the case of the typical a one standard deviation increase oil shock under homoskedasticity assumption, which is widely adopted in the most VAR analyses. Therefore, in estimating the effects of oil shocks on the economy, it is important to specify the correct model and normalization method, to reflect changes in the size of oil shocks.

A Comparative Study on Economic Impacts of a China-Korea FTA and a Japan-Korea FTA using a Dynamic CGE Model (동태CGE모형을 이용한 한·일FTA와 한·중FTA의 경제적 효과 비교분석)

  • Ko, Jong-Hwan
    • International Area Studies Review
    • /
    • v.14 no.3
    • /
    • pp.423-453
    • /
    • 2010
  • This study aims at quantifying potential economic effects on the Korean economy of a China-Korea FTA and a Japan-Korea FTA using a dynamic computable general equilibrium (CGE) model.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on them used static CGE models. Key findings of this study are that a China-Korea FTA would lead to a higher increase in Korea's exports and economic growth than a Japan-Korea FTA and that both a China-Korea FTA and a Japan-Korea FTA would cause additional trade deficits to Korea, which would be minuscule compared to Korea' economic trade volume. Since potential economic impacts on Korea's industry output and exports by sector of a China-Korea FTA and a Japan-Korea FTA are forecast to be complementary, i.e., major sectors which would run trade deficits from a Japan-Korea FTA would run trade surpluses from a China-Korea FTA, a simultaneous pursuit of both a China-Korea FTA and a Japan-Korea FTA would be more desirable and beneficial to Korea. This study shows that a dynamic CGE model which can take explicit account of international capital mobility and ownership is required for more precise estimation of effects of the FTAs.

Inventory Investment and Business Cycle: Asymmetric Dynamics of Inventory Investment over the Business Cycle Phases (재고투자와 경기변동: 재고투자 동학의 경기국면별 비대칭성)

  • Seo, Byeongseon;Jang, Keunho
    • Economic Analysis
    • /
    • v.24 no.3
    • /
    • pp.1-36
    • /
    • 2018
  • When it comes to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nventory investment and business fluctuations, the production smoothing theory and the stock-out avoidance theory take contradictory stances. Decision-making related to inventory investments of corporations is thought to be influenced by both motives, but the relative sizes or directions of their respective influences can differ depending upon the phase of the business cycle. Against this backdrop, this paper differs from existing studies in that it theoretically tests the relative significances of the production smoothing and stock-out avoidance motives in the inventory investment dynamics, while placing its analytical focus on determining the existence and patterns of the asymmetric dynamics of inventory investment over the business cycle phases. To this end this paper sets up a non-linear model that is expanded from the existing linear inventory investment model, and checks whether its predictive power is better than that of the existing model. The results of analysis confirm the nature of the asymmetric dynamics of inventory investment over the business cycle phases. A stock-out avoidance motive appears but there is no significant production smoothing motive in boom times. In downturns, in contrast, the stock-out avoidance motive is insignificant, but a quality of asymmetric dynamics in which changes in inventory cause the deepening of recessions, due to the non-convexity of production costs proposed by Ramey (1991), is detected. This paper confirms that a model considering the asymmetric dynamics of inventory investment can have better predictive power than one that does not consider it, through within-sample and out-of-sample predictions and various predictive power tests. These research results are expected to be useful for economic forecasting, through their enhancement of the understandings of the inventory investment dynamics and of the nature of its business cycle destabilization.

주가수익률과 거시경제정책의 관련성에 관한 소고(小考)

  • Kim, Jong-Gwon
    • Proceedings of the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Conference
    • /
    • 2012.04a
    • /
    • pp.157-158
    • /
    • 2012
  • 이 논문은 기존의 포트폴리오와 관련된 모형에 경기변동(business cycle)과 관련된 변수들을 포함하였을 경우 경기변동이 개인투자자들의 현금 및 주식보유를 통한 자본이득 극대화와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와 관련된 것이다. 기존 문헌들을 살펴보면, 개인투자자들은 경기호황기에는 모멘텀 투자와 소형주와 성장주 등에 포트폴리오를 분산투자하지만 경기가 침체기(recession)에 들어설 경우 수익률이 급등락하는 특성을 지니는 소형주(small cap)에 집중적인 투자를 하는 성향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이 논문의 분석결과에 따르면, 경기안정과 금리안정정책, 물가안정 등은 서로 상충관계(trade-off)에 놓여 있음에도 불구하고 코스피수익률과 코스닥수익률에 모두 향후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현재까지의 정책조합(policy mix)보다 더 정교하고 타이밍을 잘 포착하지 않으면 정책실패에 따른 경기와 물가불안이 동시에 나타나는 스태그 플레이션(stagflation)으로 이어질 수 있음으로 정책집행의 효율성이 어느 때보다도 중요해 질 것으로 보인다.

  • PDF

주가수익률과 거시경제정책의 관련성에 관한 시사점 연구

  • Kim, Jong-Gwon
    • Proceedings of the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Conference
    • /
    • 2012.04a
    • /
    • pp.415-419
    • /
    • 2012
  • 이 논문은 기존의 포트폴리오와 관련된 모형에 경기변동(business cycle)과 관련된 변수들을 포함하였을 경우 경기변동이 개인투자자들의 현금 및 주식보유를 통한 자본이득 극대화와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와 관련된 것이다. 기존 문헌들을 살펴보면, 개인투자자들은 경기호황기에는 모멘텀 투자와 소형주와 성장주 등에 포트폴리오를 분산투자하지만 경기가 침체기(recession)에 들어설 경우 수익률이 급등락하는 특성을 지니는 소형주(small cap)에 집중적인 투자를 하는 성향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이 논문의 분석결과에 따르면, 경기안정과 금리안정정책, 물가안정 등은 서로 상충관계(trade-off)에 놓여 있음에도 불구하고 코스피수익률과 코스닥수익률에 모두 향후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현재까지의 정책조합(policy mix)보다 더 정교하고 타이밍을 잘 포착하지 않으면 정책실패에 따른 경기와 물가불안이 동시에 나타나는 스태그 플레이션(stagflation)으로 이어질 수 있음으로 정책집행의 효율성이 어느 때보다도 중요해 질 것으로 보인다.

  • PDF

주가수익률과 거시경제정책의 관련성에 관한 충격반응분석 연구

  • Kim, Jong-Gwon
    • Proceedings of the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Conference
    • /
    • 2012.04a
    • /
    • pp.409-414
    • /
    • 2012
  • 이 논문은 기존의 포트폴리오와 관련된 모형에 경기변동(business cycle)과 관련된 변수들을 포함하였을 경우 경기변동이 개인투자자들의 현금 및 주식보유를 통한 자본이득 극대화와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와 관련된 것이다. 기존 문헌들을 살펴보면, 개인투자자들은 경기호황기에는 모멘텀 투자와 소형주와 성장주 등에 포트폴리오를 분산투자하지만 경기가 침체기(recession)에 들어설 경우 수익률이 급등락 하는 특성을 지니는 소형주(small cap)에 집중적인 투자를 하는 성향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이 논문의 분석결과에 따르면, 경기안정과 금리안정정책, 물가안정 등은 서로 상충관계(trade-off)에 놓여 있음에도 불구하고 코스피 수익률과 코스닥수익률에 모두 향후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현재까지의 정책조합(policy mix)보다 더 정교하고 타이밍을 잘 포착하지 않으면 정책실패에 따른 경기와 물가불안이 동시에 나타나는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으로 이어질 수 있음으로 정책집행의 효율성이 어느 때보다도 중요해 질 것으로 보인다.

  • PDF

주가수익률과 거시경제정책의 관련성에 관한 기초통계량 분석

  • Kim, Jong-Gwon
    • Proceedings of the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Conference
    • /
    • 2012.04a
    • /
    • pp.349-352
    • /
    • 2012
  • 이 논문은 기존의 포트폴리오와 관련된 모형에 경기변동(business cycle)과 관련된 변수들을 포함하였을 경우 경기변동이 개인투자자들의 현금 및 주식보유를 통한 자본이득 극대화와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와 관련된 것이다. 기존 문헌들을 살펴보면, 개인투자자들은 경기호황기에는 모멘텀 투자와 소형주와 성장주 등에 포트폴리오를 분산투자하지만 경기가 침체기(recession)에 들어설 경우 수익률이 급등락하는 특성을 지니는 소형주(small cap)에 집중적인 투자를 하는 성향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이 논문의 분석결과에 따르면, 경기안정과 금리안정정책, 물가안정 등은 서로 상충관계(trade-off)에 놓여 있음에도 불구하고 코스피수익률과 코스닥수익률에 모두 향후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현재까지의 정책조합(policy mix)보다 더 정교하고 타이밍을 잘 포착하지 않으면 정책실패에 따른 경기와 물가불안이 동시에 나타나는 스태그 플레이션(stagflation)으로 이어질 수 있음으로 정책집행의 효율성이 어느 때보다도 중요해 질 것으로 보인다.

  • PDF

주가수익률과 거시경제정책의 관련성에 관한 Granger Causality 검정 연구

  • Kim, Jong-Gwon
    • Proceedings of the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Conference
    • /
    • 2012.04a
    • /
    • pp.353-370
    • /
    • 2012
  • 이 논문은 기존의 포트폴리오와 관련된 모형에 경기변동(business cycle)과 관련된 변수들을 포함하였을 경우 경기변동이 개인투자자들의 현금 및 주식보유를 통한 자본이득 극대화와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와 관련된 것이다. 기존 문헌들을 살펴보면, 개인투자자들은 경기호황기에는 모멘텀 투자와 소형주와 성장주 등에 포트폴리오를 분산투자하지만 경기가 침체기(recession)에 들어설 경우 수익률이 급등락하는 특성을 지니는 소형주(small cap)에 집중적인 투자를 하는 성향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이 논문의 분석결과에 따르면, 경기안정과 금리안정정책, 물가안정 등은 서로 상충관계(trade-off)에 놓여 있음에도 불구하고 코스피수익률과 코스닥수익률에 모두 향후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현재까지의 정책조합(policy mix)보다 더 정교하고 타이밍을 잘 포착하지 않으면 정책실패에 따른 경기와 물가불안이 동시에 나타나는 스태그 플레이션(stagflation)으로 이어질 수 있음으로 정책집행의 효율성이 어느 때보다도 중요해 질 것으로 보인다.

  • PDF

An Improved Technology Appraisal Model Considering Macroeconomic Variable : A Case of KOTEC (거시경제변수를 고려한 기술평가모형의 개선 : 기술보증기금의 사례)

  • Kim, Dae Cheol;Kim, Jae Bum;Cho, Keun Tae
    • Korean Management Science Review
    • /
    • v.30 no.2
    • /
    • pp.117-132
    • /
    • 2013
  •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an improved technology appraisal model, which considers a variety of macroeconomic variables such as consumer price index and producer price index. The improved model was built using cross correlation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AUROC analysis showed that goodness-of-fit of the proposed model turned out to be improved than that of the existing model. The model proposed in the paper would be helpful for making a reasonable investments and financing decision, lessening the default rates by systematic risk management, and enhancing the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bilities.

횡단면(橫斷面) 자료(資料)를 이용한 시간할인율(時間割引率)의 추정(推定)

  • Go, Yeong-Seon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16 no.3
    • /
    • pp.125-146
    • /
    • 1994
  • 본(本) 논문(論文)에서는 1993년에 퇴직한 공무원(公務員)들에 대한 자료(資料)를 사용하여 이들의 시간할인율(時間割引率)을 측정하였다. 시간할인율(時間割引率)은 여러 경제학 모형에서 개인(個人)의 소비(消費)와 저축행태(貯蓄行態)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로 등장한다. 시간할인율(時間割引率)을 추정한 기존의 실증분석(實證分析)들은 1% 내외의 매우 낮은 추정치(推定値)를 보고하고 있으며, 심지어 음(-)인 경우도 있다. 이러한 낮은 추정치는 시간할인율(時間割引率)이 실질적으로 거의 아무런 역할을 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기존의 실증분석(實證分析)은 대부분 거시(巨視) 시계열자료(時系列資料)를 사용하여 경제내의 대표적(代表的) 개인(個人)(representative individual)이라는 가상적 존재의 시간할인율(時間割引率)을 추정하였다는 단점을 갖는다. 본(本) 논문(論文)에서는 우리나라의 퇴직공무원들에 대한 미시(微視) 횡단면자료(橫斷面資料)를 사용하여 실존하는 각 개인(個人)의 시간할인율(時間割引率)을 추정하였고, 그 결과 기존의 연구(硏究)에서와는 달리 시간할인율(時間割引率)이 평균적으로 14~15% 정도의 매우 높은 값을 가짐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개인(個人)의 노후생활(老後生活) 안정(安定)을 위한 저축(貯蓄)을 각 개인(個人)의 자발적인 의사에 일임하기보다는 공적(公的), 사적연금제도(私的年金制度)를 통하여 강제하는 것이 합리적일 수 있음을 보여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