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거북목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34초

정체 운동이 거북목 증후군의 경부통증과 경추 기능장애지수 및 목 길이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Straight Body Exercise Therapy on Neck Pain, Necks Disability Index and Neck Length Among Turtle Neck Syndrome Patient)

  • 김승원;곽종혁;김경립;최민경;성현철;송근성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201-210
    • /
    • 2021
  • 본 연구는 정체 운동이 거북목 증후군의 경부통증과 경추 기능장애지수의 감소 효과와 목 길이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함으로써 거북목 증후군의 중재방안을 마련할 뿐만 아니라 추후 이들 분야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대상은 사전 검사를 통해 선별된 총 60명 중 정체 운동군 21명, 운동군 19명, 대조군 20명 이었으며, 정체 운동군은 5가지 정체 운동요법을 적용하였고, 운동군은 8가지 경추 강화 운동을 적용하였으며, 대조군은 아무런 운동을 시행하지 않았다. 운동 전.후 및 10주 후에 경부통증, 경추 기능장애지수 및 목 길이를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v18.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정체 운동이 거북목 증후군의 경부통증과 경추 기능장애지수의 감소 효과와 목 길이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 정체 운동군과 운동군은 실험 전. 후 목 길이, 경부통증, 경추 기능장애지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대조군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정체 운동군이 운동군, 대조군에 비해 거북목 증후군의 경부통증 완화와 경추 기능장애지수 및 목 길이 감소에 보다 효과적이었고, 또한 8주 운동 후 실험을 종료하고 2주 뒤 사후검사 결과에서 8주 상태를 유지되었다.

자세인지를 통한 거북목자세 교정의자 개발 (Development of Turtle Neck Posture Correction Chair Through Posture Recognition)

  • 이정원
    • 한국신경인지재활치료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9-26
    • /
    • 2018
  • 목적: 본 거북목 교정용 의자는 사람의 엉덩이와 정강이를 지지하여 사람의 자세를 교정하는 의자로서, 정강이를 경사상으로 지지하는 정강이 지지대와 정강이가 정강이 지지대에 경사 상으로 지지되었을 때 사람의 엉덩이를 경사 상으로 지지하는 엉덩이 지지대와 정강이 지지대와 엉덩이 지지대가 각각 결합되어 지지되는 메인프레임과 엉덩이 지지대 상부에 결합되며 엉덩이의 형상에 상응하여 유동적으로 함입되는 유동시트를 포함하며, 유동시트에 엉덩이가 균등하게 함입되도록 함으로써 불안정한 엉덩이 지지면을 제공하여, 지속적으로 자세에 대한 자극을 주어 사람이 자세를 인지함에 따라 교정되도록 고안된 자세 교정용 의자이다. 결과: 자세 교정용 의자에 사람이 착석하게 되면, 정강이와 엉덩이가 경사 상으로 지지되고 이에 따라 허리가 펴지게 되는데, 허리의 펴짐에 따라 어깨가 뒤로 젖혀지면서 가슴이 펴지고 목이 몸의 중앙에 위치하게 되어 사람의 자세를 교정할 수 있다. 불균형한 자세는 의자에 착석한 사람에게 자세 불량에 따른 불편함을 초래하고,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자세 교정용 의자에 착석한 사람은 엉덩이의 균형을 잡기 위해 지속적이고 반복적으로 자세를 교정하여 신체의 밸런스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사람의 좌우 방향의 자세를 교정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자세 교정의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결론: 향후, 본 교정용 의자를 사용한 거북목 자세를 가진 사람에 있어서 지속적인 자세교정에 대한 집단연구가 필요하다.

거북목 자세를 예방하기 위한 목 건강 경고 알고리즘 (A neck healthy warning algorithm for identifying text neck posture prevention)

  • 이재은;김종남;최홍석;김영봉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23권3호
    • /
    • pp.115-122
    • /
    • 2022
  • 몇 년 전 코로나가 발병하면서 화상 회의, 전자 문서 작업이 많아지게 되었고 이 때문에 현대인들의 하루 일과 중에서 컴퓨터 작업을 하는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오랜 시간 동안 잘못된 자세로 컴퓨터 작업을 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게 되면서 시력 저하, 거북목증후군 환자들이 늘고 있다. 최근까지도 자세 교정을 위한 연구들이 많이 발표되고 있지만 대부분은 사용자가 장비를 착용하여 자세 교정을 해야 하므로 사용자가 불편함을 겪을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초음파 센서 장치를 이용하여 컴퓨터 모니터와 사람 사이의 최소 거리 접근을 방지하기 위한 자세 교정 센서 시스템을 제안한다. 그리고 이때 최소 거리 시 울리는 경고 알람 중 오류 알람을 최소화하는 알고리즘도 함께 제안한다. 이는 초음파 센서 장치를 이용하기 때문에 몸에 기기를 부착하지 않고도 자세 교정을 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실험 결과에서 거리 측정 시 발생한 잡음을 제거하여 오류 알람을 줄임으로써 정확도를 높일 수 있음을 보였다.

한국의 서울 도심에 위치한 중랑천의 외래거북 현황 (Current Status of Exotic Turtles Found in Jungnang Stream Located in Urban Area, Seoul, Republic of Korea)

  • 박승민;최재혁;이정숙;성하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251-258
    • /
    • 2023
  • 외래생물은 애완용 등의 목적으로 유입되고 있으며 파충류는 특이하거나 희귀한 생김새로 인해 거래량이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수입량이 증가함에 따라 야생에서 발견되는 외래거북의 수도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에 발견된 외래생물은 대부분 도심지 근처에서 발견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서울 도심에 위치한 중랑천에 서식하는 외래거북 현황을 보고하고자 한다. 조사 결과 동부비단거북(Chrysemys picta picta), 리버쿠터(Pseudemys concinna), 플로리다붉은배거북(P. nelsoni), 붉은귀거북(Trachemys scripta elegans), 노란배거북(T. s. scripta), 쿰버랜드거북(T. s. troostii), 중국줄무늬목거북(Mauremys sinensis) 등 총 7종의 외래거북을 확인하였으며 국내종은 자라(Pelodiscus maackii) 1종이 확인되었다. 이 중 6종은 국내에서 생태계교란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가장 많이 발견된 종은 리버쿠터(P. concinna)로 나타났으며 현재 파충류 펫샵에서 거래중인 동부비단거북(C. p. picta)도 발견되었다. 이를 통해 도심하천의 외래거북 현황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지속적으로 야생에 유입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라 판단된다.

거북목 증후군 예방용 기능성 의류의 자세 교정 효과 (The posture correction effect of functional clothing to prevent turtle neck syndrome)

  • 김현숙;천종숙;지정우
    • 복식문화연구
    • /
    • 제24권3호
    • /
    • pp.358-366
    • /
    • 2016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measure the posture correction effect of wearing ergonomic experimental clothing. Two types of experimental clothing (A, B) were developed. Both of them reinforced the muscles surrounding the spine. Experimental clothing A was developed by reflecting the shape and position of the pectoralis major muscle, abdominal muscle, and latissimus dorsi muscle. Experiment clothing B was developed by reflecting the integrated form of those muscles. Subjects were males in their 20s~30s (n=32).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ased on their acromion distance (AD): the turtle neck syndrome group (n=16, AD=3.81cm) and the normal group (n=16, AD=1.27cm). The correction of body posture was detected by three index values: change of the cervical curvature angle, horizontal distance between the seventh cervical vertebra and tragion, and AD. The comfort and tightness of the clothing were also measured. The results showed that both types of experimental clothing corrected body posture and that turtle neck syndrome can be prevented by wearing these types of posture correcting clothing. Two index values were decreased: cervical curvature angle ($0.31{\sim}1.32^{\circ}$) and horizontal distance between seventh cervical vertebra and tragion (0.22~0.31cm). The chest was also stretched. The comfort was rated as good for both types of experimental clothing.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experimental clothing had a posture correction effect without any discomfort for daily living.

거북목 증후군 체형의 20대 여성의 상의 원형패턴 개발 (Development of a Bodice BlockforWomen in Their 20s with a Turtle Neck Syndrome Body Shape)

  • 서유라;김효숙
    • 패션비즈니스
    • /
    • 제25권3호
    • /
    • pp.144-158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bodice block suitable for women in their 20s with turtle neck syndrome. The problem of turtle neck syndrome body type was derived through the evaluation of bodice blocks. First, the length of the front bodice was longer and the length of the back bodice was shorter. Second, the front neck point, back neck point, and the shoulder line were not in place. Third, the side neck was pushed up. Fourth, the length of armhole was long and it floated. Fifth, the front hem was attached to the body and the back hem was away from the body. A finally developed pattern was designed by developing four test patterns to solve the problem that appeared in a selected bodice pattern, and a t-tes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 in the appearance evaluation by virtual clothing between the two patterns, bodice block and the development pattern. According to the result, the fit was not good from the side body because the position of the side neck point was not in a plac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body shape of turtle neck syndrome, but the problems of the anterior neck position, the position of the back neck point, the shoulder line position, and the armhole shape were improved in the developed pattern.

스마트폰 사용정도에 따라 후기 청소년들의 척추건강에 미치는 영향: 인지강도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Effects of degree of Use of Smartphone on the Spinal Health of Later Teens: Moderating Effect of Cognition Strength)

  • 김상우;이진;이병희
    • 재활복지
    • /
    • 제22권2호
    • /
    • pp.213-230
    • /
    • 2018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이 증가함에 따라 나타나는 척추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인지강도에 따른 척추건강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모든 대상자는 스마트 폰 중독 진단 척도, 경추의 전방 기울기 각도(거북목 각도), 그리고 뇌파의 인지감마피크(Cognitive Gamma-Peak)의 진폭변화량을 측정하여 스마트폰 사용 정도, 척추각도, 그리고 인지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스마트폰 사용 정도가 증가할수록 척추각도는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01), 인지강도가 증가할수록 척추각도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1). 또한 인지강도는 스마트폰 사용정도의 상호작용을 통해서도 척추각도에 조절효과를 나타냈다(p<.05). 이러한 결과를 볼 때, 인지강도가 낮을수록 스마트폰 사용정도는 증가하며 이에 따른 척추각도도 증가함을 의미한다. 결국 이 결과는 후기 청소년들에게 인지강도가 중간인 그룹과 낮은 그룹에서 스마트폰 사용 정도가 높아질수록 경추의 전방 기울기 각도(거북목 각도)가 더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가상착의를 활용한 거북목 증후군 체형의 여성을 위한 재킷패턴 제도법 개발 (Development of Jacket Pattern Drafting Methods for Women with Turtle Neck Syndrome Body Shapes through Virtual Fit Assessment)

  • 서유라;김효숙
    • 패션비즈니스
    • /
    • 제26권3호
    • /
    • pp.116-137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jacket patterns that could fit well for women in their 20s with turtle neck syndrome body shape and to present a pattern drafting method. As a research method, an educational pattern was chosen through a preliminary experiment. Fit problems of the educational pattern were derived by wearing it on a virtual model with a turtle neck syndrome body type for each neck angle. Based on the three types of experimental patterns developed by supplementing these problems, a development pattern drafting method was developed for each neck angle. Three development patterns were compared and evaluated with the educational pattern using 3D virtual fitting. Fit problems of the educational pattern included: 1) insufficient ease amounts for hip, hem, bicep, elbow, and sleeve hem circumference; 2) horizontal items could not be leveled due to insufficient back length; 3) the shoulder line went backwards; and 4) the front center line did not form a vertical line. To solve these problems, an experimental pattern was developed by increasing the insufficient ease amount, increasing the insufficient back length, and correcting the position of the shoulder line. Measurements that differed in the pattern drafting method of the three types of development patterns by neck angle were positions of back center line and back neck point, front length, and front neck width. Through appearance evaluation of the development pattern and educational pattern by neck angle, the development pattern was highly evaluated, indicating that problems of the educational pattern were impro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