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거부

Search Result 1,429, Processing Time 0.055 seconds

Political Dynamics of Introducing Quasi Mixed-Member Proportional Representation Electoral System: Veto Player and Partisanship (준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의 정치 동학: 거부권행사자와 당파성)

  • Ju, Jin-Sook
    • Korean Journal of Legislative Studies
    • /
    • v.26 no.1
    • /
    • pp.5-32
    • /
    • 2020
  • This study analyzes the political dynamics of the election law reform in December 2019, from a perspective of the veto player theory combined with the partisan theory. Three features are revealed in the reform process of the electoral system. First, the number of cooperative veto players was higher than that of competitive veto players, that provided a favorable condition for policy changes. Second, concerning the ideological distance between veto-players (congruence) the possibility of policy change was evaluated as quite small. Especially in the fourth to fifth periods, the congruence between the cooperative veto players and competitive veto players was extremely weak. Third, the internal coherence of cooperative veto players was relatively weak, while the internal coherence of competitive veto players was relatively strong. That acted as a limiting factor in policy changes. In other words, there was a high possibility of policy changes in the number of cooperative veto players, but the possibility of policy change was relatively restricted in the congruence between veto players and the cohesion of veto players. That explains the limited nature of the election law reform.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Korean Children's Rejection Sensitivity Questionnaire (K-CRSQ) (한국판 아동용 거부민감성질문지의 심리측정적 속성)

  • Hong, Sang-Hwang
    • The Korean Journal of Elementary Counseling
    • /
    • v.11 no.3
    • /
    • pp.351-369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Korean Children's Rejection Sensitivity Questionnaire (K-CRSQ).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CRSQ,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86 elementary stud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 : Internal consistency and test -retest reliability of the K-CRSQ were .83~.89, .72~.79, respectively. To test the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participants were separated into two samples and administered the K-CRSQ and ten validity indices. The correlation of K-CRSQ and validity indices scores suggested that the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are high. High rejection sensitivity group revealed high score on intentional attribution, depression, anxiety, and aggression. In contrast, low rejection sensitivity group revealed high score on self-esteem, perceived competence, and social support.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previous studies and the implication and limitation were discussed.

  • PDF

Research on Recognition Network Structures for Non-recognition Sentence Rejection (비인식 대상 문장 거부 기능을 위한 음소 기반 인식 네트워크의 구성에 관한 연구)

  • 이병혁;하진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b
    • /
    • pp.772-774
    • /
    • 2004
  • 음성인식 시스템에서 입력된 음성 데이터에 대해 비인식 대상에 대한 거부기능은 신뢰도 보장 측면에서 상당히 중요하다. 비인식 대상의 단어 거부는 지금까지 여러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나, 문장 거부에 대한 연구는 사실상 부족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비인식 대상 문장 거부기능의 신뢰도를 한층 높일 수 있도록 음소 기반 네트워크에 유성자음(VC), 무성자음(C), 모음(V) 단위의 필러 음향 모델을 생성하여 다양한 음소기반 인식 네트워크의 구성방법을 적용하여 비인식 대상 문장에 대해 거부 기능을 구현하고, 그에 따라 인식률과 거부율이 달라질 수 있음을 보인다. 구현된 시스템에서 제안한 3가지 음소단위 인식 네트워크 중 문장의 각 단어별 필러 모델을 구성했을 때가 가장 좋은 구성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DDoS Response System with the Real-time Traffic Analysis (실시간 트래픽 분석을 통한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 대응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Han, Jae-Sung;Kim, Hyo-G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0.06d
    • /
    • pp.5-10
    • /
    • 2010
  •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 탐지를 위한 많은 연구와 개발이 진행 되고 있다. 하지만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의 유형은 계속 변화되어 가고 있어서 새로운 유형의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의 완벽한 탐지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알려진 유형의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의 탐지뿐만 아니라 새로운 유형의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 탐지를 위하여 실시간으로 트래픽을 모니터링 하고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으로 의심 되는 트래픽을 조기에 탐지하고 신속하게 대응이 가능 한 시스템의 설계와 구현에 관하여 기술 한다.

  • PDF

A Method for Detecting Flooding Distributed Denial-of-Service Attacks Using Flow Information (플로우 정보를 이용한 폭주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 검출 방법)

  • Kim, Min-jun;Jun, Jae-hyun;Kil, Gi-bum;Kim, Su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0.11a
    • /
    • pp.962-965
    • /
    • 2010
  •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은 인터넷이 매우 발달한 현대 시대에 큰 위협으로 등장하였다.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은 단순히 정상적인 서비스 제공이 어렵다는 문제만 아니라 어디서부터 시작된 공격인지, 어떤 경로를 통해서 공격이 진행되는지 알아내기가 힘들다는 점에서 공격을 방어하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 또한 공격의 목표가 DNS 서버 또는 백본 라우터 등이 된다면 인터넷 서비스 자체도 힘들어 질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 방어 시스템이 개발되어야할 필요성이 높아지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을 방어하기 위해 필요한 공격의 검출, 특히 폭주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을 검출해 내기 위해 플로우 정보를 이용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폭주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의 성능은 일반적인 네트워크 트래픽을 이용해 평가하였다.

분산서비스거부(DDoS) 공격 통합 대응체계 연구

  • Choi, Yang-Seo;Oh, Jin-Tae;Jang, Jong-Soo;Ryu, Jae-Cheol
    • Review of KIISC
    • /
    • v.19 no.5
    • /
    • pp.11-20
    • /
    • 2009
  • 지난 2009년 7월 7일부터 수차례에 걸쳐 청와대 및 다수의 중요 웹 사이트에 대해 분산서비스거부(Distributed Denial of Service, DDoS) 공격이 시도되었다. 이 공격에서 사용된 공격 방법은 공격 트래픽의 형태와, 공격 수행을 위한 공격 네트워크의 구성 방법에 있어서 기존의 방법과는 다른 형태를 띠었고, 이로 인해 공격탐지 및 차단이 쉽게 이루어지지 않아, 피해가 매우 컸다. 이와 같이 최근에는 기존의 DDoS 공격 탐지 및 차단 기술로는 쉽게 탐지 및 차단할 수 없는 고도화된 분산서비스거부 공격이 시도되고 있으며, 그로 인한 피해가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분산서비스거부 공격은 이미 2000년 이전부터 발생하여온 오래된 공격임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이를 효과적으로 차단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전체 정보통신 운영환경과 분산서비스거부 공격의 전체 공격 프로세스에 대한 심도있는 분석을 통해 인터넷 전반에 걸친 거시적인 DDoS공격 대응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아니라, 개개의 공격 형태를 탐지하고 차단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했기 때문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과저부터 현재까지 DDoS공격이 어떻게 발전해 왔는지를 분석하고, 현재 발생하고 있는 분산서비스 거부 공격의 공격 체계와 공격 기법에 대한 복합적 분석을 통해 현재의 고도화된 분산서비스 거부 공격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분산서비스거부 공격 통합 대응체계를 제안한다.

Denied Boarding and Compensation for Passengers in the EU Air Transport Legal Framework and Cases (항공여객운송에서의 탑승거부와 여객보상기준)

  • Sur, Ji-Min
    • The Korean Journal of Air & Space Law and Policy
    • /
    • v.34 no.1
    • /
    • pp.203-234
    • /
    • 2019
  • The concept of denied boarding is defined in Article 2(j) of Regulation 261/2004 thus: "denied boarding means a refusal to carry passengers on a flight, although they have presented themselves for boarding under the conditions laid down in Article 3(2), except where there are reasonable grounds to deny them boarding, such as reasons of health, safety or security, or inadequate travel documentation." So far as relevant to this case, to be entitled to compensation, if denied boarding, Article 3(2) provides a passenger must first come within the scope of the protection of the Regulation, which applies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cdots}$.that passengers (a) have a confirmed reservation on the flight concerned and, except in the case of cancellation referred to in Article 5, present themselves for check-in, as stipulated and at the time indicated in advance and in writing (including by electronic means) by the air carrier, the tour operator or an authorised travel agent, or, if no time is indicated, not later than 45 minutes before the published departure time." This paper reviews the EU Cases such as Rodríguez Cachafeiro v. Iberia [2012] Case C-321/11; Finnair Oyj v. Timy Lassooy [2012] Case C-22/11; Caldwell v. easyJet Airline Co. Ltd. [2015] ScotSC 64. ECJ and Sheriff court of Scotland held that the concept of denied boarding, within the meaning of Articles 2(j) and 4 of Regulation No 261/2004 establishing common rules on compensation and assistance to passengers in the event of denied boarding and of cancellation or long delay of flights, and repealing Regulation No 295/91, must be interpreted as relating not only to cases where boarding is denied because of overbooking but also to those where boarding is denied on other grounds, such as operational reasons. Also, ECJ ruled that Articles 2(j) and 4(3) must be interpreted as meaning that the occurrence of extraordinary circumstances resulting in an air carrier rescheduling flights after those circumstances arose cannot give grounds for denying boarding on those later flights or for exempting that carrier from its obligation, under Article 4(3) of that regulation, to compensate a passenger to whom it denies boarding on such a flight.

Study on the Justifiable Reasons for Medical Refusal (의사의 진료거부의 정당한 사유에 관한 고찰 -최근 일본의 논의를 중심으로-)

  • Lee, Eol
    • The Korean Society of Law and Medicine
    • /
    • v.21 no.3
    • /
    • pp.117-144
    • /
    • 2020
  • In accordance with Article 15 of the Medical Law, medical personnel in Korea cannot refuse treatment of a patient unless there is a justifiable reason, and violation of this obligations is subject to criminal penalties. Japan also stipulates the same content in the law. However, this violation of obligations in Japan is not subject to criminal penalties, and is used as a judgment element of the liability for damages of doctors only in the case of damage to the patient. However, in both countries, it is difficult to interpret and apply the law because the regulation is a little ambiguous. In particular, the key is to find out what is the justifiable reason for the doctor to refuse treatment of the patient. Recently, Japan has completed the work of re-examining the discussion on medical refusal from a modern perspective in terms of improving the excessive working environment of doctors. On the other hand, in Korea, it is not clear in what cases it is possible to refuse treatment. because there is a lack of systematic discussion on medical refusal. Rather, unnecessary misunderstandings and controversies have resulted in the loss of trust between patients and doctors. In Korea, there is already a legal right for a doctor to reject it according to his religious beliefs or conscience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suspension of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s. And in the case of an abortion, debates are underway that doctors should be given the right to refuse it. This study introduces the current state of discussion in Japan, and examines the issues surrounding medical refusal in Korea.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facilitate further discussions on the medical refusal.

A Study on Distributed Denial of Service Attacks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과 그 특징에 관한 연구)

  • Kim, Jung-Yoon;Choi, Hyoung-Ke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7.05a
    • /
    • pp.1060-1063
    • /
    • 2007
  •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은 서버 및 호스트의 메모리는 물론이고, 공격 대상 호스트가 속한 네트워크의 자원을 크게 소모시키는 치명적인 공격이다. 이러한 형태의 공격을 예측하고 방어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해당 공격들의 특성을 파악하고 이해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우리는 다양한 종류의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을 직접 구현하여 이를 바탕으로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의 특징 및 공격 루트를 파악함으로써, 추후 관련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이러한 공격들을 방어하기 위한 정보들을 수집하였다. 우리가 구현한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은 그 종류에 따라 다른 치명도를 보였는데, 네트워크 및 호스트에 별 영향을 끼치지 않는 공격이 있는 반면, 서버가 더 이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도록 만드는 치명적인 공격이 있었다. 본 논문에서 우리는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들의 특징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방어책을 제시한다.

  • PDF

Pi analysis mechanism for detecting DDoS attack packet (DDoS 공격패킷 탐지를 위한 Pi 분석방법)

  • 이현주;이형준;홍만표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04a
    • /
    • pp.310-312
    • /
    • 2004
  •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Distributed Denial of Service, DDoS attack)의 목적은 정상적인 사용자가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을 거부하는 것이다. 특히 범람 서비스 거부 공격(flooding-based DDoS attack)은 아직까지 방어하기 어려운 공격 형태이다. 그 이유는 공격 시 정상적인 트래픽이 왕복하는 것처럼 보이므로 공격 트래픽과 정상 트래픽을 구별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하지만, 범람 서비스 거부 공격의 특징을 잘 이용하면 공격을 방어할 수 있다. 범람 서비스 거부 공격의 특징은 단독의 공격 호스트로부터의 트래픽 양이 여러 개의 정상 호스트들로부터의 트래픽 양보다 훨씬 많다는 것이다. 이러한 특징을 이용하여 특정 호스트로부터의 트래픽 양이 많은지 아닌지에 따라 공격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Pi(Path Identification) 라는 메커니즘을 이용한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의 방어 기법을 제안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