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거리 창

검색결과 128건 처리시간 0.025초

새로운 스테레오 정합 알고리즘 (A New Stereo Matching Algorithm)

  • 김충원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1829-1834
    • /
    • 2006
  • 물체의 경계로부터 거리에 따라 다른 크기의 창을 사용함으로써 물체의 경계를 정확히 찾는 새로운 스테레오정합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원 영상을 같은 크기의 작은 부분으로 나누고, 이 작은 영역들의 중앙 화소들의 시차를 구한 표본 시차 지도로부터 축소된 물체의 경계를 찾는다. 경계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크기가 다른 창을 원 영상에 적용하여 시차를 구한다. 원 영상의 시차를 구할 때 작은 영역 내에 있는 화소들의 시차는 이미 구한 중앙화소의 시차와 유사하다는 기울기 제한 조건을 이용하였다. 실험결과로부터 제안한 알고리즘이 다른 알고리즘 보다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방향 탐지용 대공 근접 신관센서의 BPSK 송수신기 설계에 관한 연구 (Design of a BPSK Transceiver for the Direction Finding Proximity Fuze Sensor for Anti-air missiles)

  • 최재현;이석우;염경환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81-88
    • /
    • 2013
  • This paper describes the fundamentals, design, realization and test results of a BPSK(Bi Phase Shift Keying) transceiver for the direction finding proximity fuze sensor for anti-aircrafts or air missiles. The BPSK transceiver for the direction finding fuze sensor has been designed to detect a moving target by Doppler signal processing with the code correlation method and to distinguish direction by comparing received powers of each Doppler signal from adjacent three receiving antennas. The electrical and ESS(Environmental Stress Screening) tests of the BPSK transceiver showed satisfactory results and target detection and direction finding performances proved to be successful through dynamic operation tests by 155 mm gun firing.

차량간 통신에서 긴급 메시지 전파를 위한 적응적 릴레이 노드 선정기법 (An Adaptive Relay Node Selection Scheme for Alert Message Propagation in Inter-vehicle Communication)

  • 김태환;김희철;홍원기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4C권7호
    • /
    • pp.571-582
    • /
    • 2007
  • 차량 애드혹 네트워크는 기반 시설의 도움 없이 차량간 무선통신을 통해 구성되는 임시 네트워크이다. 특히, 운전자의 안전과 관련된 교통 정보가 다루어지기 때문에 신속한 메시지 전파가 요구된다. 이를 위한 대표적인 메시지 전파 기법으로 거리 기반 브로트캐스트 기법이 있다. 이 기법은 소스노드로 부터의 거리를 기반으로 메시지 전파 노드를 선택한다. 그러나 각 메시지 전파 노드가 소스노드의 통신범위 가장자리에 위치하지 않을 경우 메시지 전파 지연시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노드의 밀도가 낮을 경우 메시지 전파 지연시간은 더욱 증가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시간창 예약 기반 릴레이 노드 선택기법을 사용한 브로드캐스트 프로토콜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기법은 각 노드가 주어진 시간창 내에서 임의의 메시지 전송 대기시간을 선택한다. 각 노드의 시간창은 릴레이 노드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각기 다른 시간범위를 갖게 되며, 소스노드의 통신영역의 가장자리에 좀 더 가까이 위치한 노드가 다음 릴레이 노드로 선택될 수 있도록 주어진 시간창의 일부를 예약한다. 실험결과, 시간창 예약 기반 릴레이 노드 선정기법을 사용한 브로드캐스트 프로토콜이 거리 기반 브로드 캐스트보다 노드밀도의 변화에 상관없이 더 짧은 종단간 메시지 전파 지연시간을 보였다. 특히, 노드밀도가 낮을 경우 25.7% 짧은 종단간 메시지 전파 지연시간을 보였으며, 지연시간과 네트워크 부하의 합성성능은 제안한 기법이 46%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거리 정보를 이용한 빠른 얼굴검출방법 (Rapid face detection using depth information)

  • 이초일;김병수;김회율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11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226-229
    • /
    • 2011
  • 얼굴검출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다양한 분야에 얼굴 검출을 활용한 기술이 이용되고 있다. 최근 Viola 와 Jones 의 얼굴검출 방법이 신뢰도 있는 검출률과 빠른 연산속도로 인하여 주로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고해상도 이미지와 제한된 하드웨어를 사용하는 시스템의 경우, 실시간 처리가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거리 정보를 이용한 빠른 얼굴검출방법을 제안한다. 속도 개선을 위해 먼저 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영상의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고, 피부색상정보를 이용하여 관심영역을 설정한다. 또 크기에 대응하기 위해 피라미드 이미지를 이용하는 방법 대신, 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얼굴의 크기를 추정한다. 마지막으로 검색창 내의 거리 분산을 계산하여, 평평하거나 굴곡이 심한 영역을 제거함으로 얼굴 검출 속도를 개선하였다. 실험결과 기존 방법에 비해 더 빠른 검출속도와 유사한 검출성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지배가능 경로 문맥을 이용한 의존 구문 분석의 수식 거리 확률 모델 (Modification Distance Model for Korean Dependency Parsing Using Headible Path Contexts)

  • 우연문;송영인;박소영;임해창;정후중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06년도 제18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40-47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의존 구문 분석을 위한 새로운 확률 모델을 제안한다. 한국어가 자유 어순 언어라 할지라도 지역적 어순은 존재하기 때문에 의존관계를 결정하기 위해 의존하는 두 어절인 의존소와 지배소 사이의 수식 거리가 유용하다는 것은 이미 많은 연구를 통해 밝혀졌다. 본 연구에서는 수식 거리의 정확한 수식 거리의 추정을 위해 지배가능경로 문맥을 이용한 수식 거리 확률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모델의 구문 분석 성능은 86.9%이며, 기존에 제안된 구문 분석 모델과 비교하여 높은 구문 분석 결과를 보이며, 특히 원거리 의존관계에 대하여 더욱 향상된 성능을 보인다.

  • PDF

우리글 읽기에서 지각 폭 연구 (The perceptual span during reading Korean sentences)

  • 최소영;고성룡
    • 인지과학
    • /
    • 제20권4호
    • /
    • pp.573-601
    • /
    • 2009
  • 이 연구에서는 McConkie와 Rayner(1975)에서 소개된 움직이는-창(moving-window) 방법으로 우리글 읽기에서 지각 폭, 즉 한 고정에서 유용한 정보가 추출되는 범위에 대해 알아보았다. 실험 1에서는 창의 크기를 좌우 대칭인 3, 5, 7, 9, 11, 13, 15자로 조작하여 창이 없는 통제 조건과 수행을 비교했다. 분당 읽을 수 있는 어절의 수(읽기율)를 비교했을 때는 15자 조건은 통제 조건과 수행차이가 없었으나, 나머지 다른 조건들은 통제 조건보다 수행이 저조했다. 고정의 수에서는 15자 조건과 통제 조건은 차이가 없었고, 13자 조건은 통제 조건보다 고정의 수가 많은 경향을 보였고, 다른 조건들은 통제 조건보다 많았다. 빈칸을 한 자로 취급한 글자 도약 거리에서는 결과는 읽기율에서와 같았고, 화소에 기초한 화소 도약 거리에서는 결과 양상이 고정의 수에서와 동일했다. 고정시간에서도 다른 결과들과 비슷했는데, 15자, 13자 및 11자 조건들은 차이가 없었고, 9자 조건들은 통제 조건보다 짧은 경향을 보였으며, 나머지 다른 조건들은 통제 조건보다 대체로 짧았다. 실험 2에서는 지각 폭의 비대칭성을 알아보기 위해 고정 좌측의 창 크기를 0, 1, 2, 3, 4자로 조작하였다. 그 결과, 읽기율, 고정 수, 고정 시간 등에서 1자 조건만 통제 조건과 차이가 나타났고 도약 거리는 조건별로 차이가 나지 않았다. 이 연구에서는 우리글 읽기에서 처음으로 지각 폭의 크기를 여러 지표에서 나타나는 왼쪽으로 1자, 오른쪽으로 6-7자로 추정했다.

  • PDF

철도차량의 비상제동거리 해석 시스템

  • 진원혁;이성창;김대은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1995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747-750
    • /
    • 1995
  • As railway trains run faster high performance braking system are necessary because more energy needs to be dissipated due to increased kinetic energy. In this work a portable computer based prediction system for emergency braking distance has been developed. The algorithm for the system is based on braking theory and empirical results of actual braking test. The computer is connected to the sensors to measure the velocity and the braking pressure in real train. It is expected that this system will be utilized to predict emergency braking distance during actual operation of the train

  • PDF

배송중심지의 위치선정을 위한 연구 (Location Determination Model for Distribution Center)

  • 오세창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13-218
    • /
    • 1998
  • 국가 경쟁력 강화 측면에서 물류의 효율성 증대는 많은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 따라서 물류시설의 입지를 결정하는 문제는 매우 중요하다. 그 중에서도 배송중심지는 물류비절감 차원 뿐만 아니라 물류 서비스의 향상차원에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물류시설의 위치결정을 위하여 평균거리 최소화문제(median problam)와 최대통행거리 최소화문제(center problem)를 결합한 이진정수계획모형을 제시하였으며, 또한 개발된 모형은 수요의 형태가 상이한 4가지 유형의 망(network)상에서 2개 및 3개의 배송중심지를 설치하는 문제에 적용되었다.

  • PDF

세계사에서의 무기발달과 전술 전략의 변화 IV-(2)

  • 허중권
    • 국방과기술
    • /
    • 7호통권257호
    • /
    • pp.62-69
    • /
    • 2000
  • 적들과 마찬가지로 로마인들은 가능한 곳에서는 적보다 높은 지형에 위치함으로써 중요한 이점을 얻으려고 노력하였다. 이러한 위치 선정은 화기의 사거리를 신장시켰고 충격을 가하는 데에 소요되는 육체적인 노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충격시의 효과를 증가시켰다. 그리고 칼과 창을 사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였다. 항상 그랬던 것은 아니었지만 통상적으로 케사르는 그의 정예 대대들을 레지온의 첫번째 열에 배치하여 전투의 최초 충격으로부터 최대한의 결과를 얻으려고 하였다.

  • PDF

전자계산기 프로그램을 이용한 레이저 주사장치 (Laser Scanner Using Computer Generated Hologram)

  • 윤희철;이종창;신상영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1984년도 하계학술회의논문집
    • /
    • pp.302-305
    • /
    • 1984
  • 전자계산기 홀로그램을 이용한 Over-filled 주사장치를 구성하고 주사특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주사거리는 40cm 정도이고, $100{\mu}m$ 정도의 해상도를 가지며, 회전면의 흔들림에 대해서도 안정함을 보여 주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