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객체 추출

Search Result 1,458,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A Study on Color Image Grouping Method based on Color Objects (객체가 있는 칼라 영상에 대찰 객체별 그룹핑 방법에 대한 연구)

  • 김성영;박창민;권규복;김민환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1.06a
    • /
    • pp.128-132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객체가 포함되어 있는 칼라 영상들의 집합으로부터 유사한 시각적 특징을 가진 캑체를 공통적으로 포함하는 영상들을 추출하여, 전체 영상들을 소수의 그룹으로 묶을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영상에 포함된 객체는 주로 영상의 내부 위치에 나타난다는 사실에 착안하여, 영상의 경계와 접하지 않는 비경계 영역들을 병합하여 객체가 포함된 영역으로 간주한다. 그러나, 병합된 내부 영역에는 객체가 아닌 영역들도 포함하고 있을 수 있으므로, 칼라 히스토그램만을 이용하여 내부 영역에 대한 특징으로 이용한다. 이러한 내부 영역의 칼라 특징들이 분포하는 형상을 분석하여 밀집도가 높은 클러스터를 그룹으로 추출한다. 이때, 밀집도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공간적인 분포 대신에 히스토그램 인터섹션에 의한 유사도를 이용하여 정의한다. 즉, 서로 유사도가 놓은 것들이 집중되어 분포되어 있는 경우에 밀집도가 높은 클러스터로 간주하여 추출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클러스터의 형상 및 개수를 자동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방법도 제안한다. 실험에 의해, 추출한 클러스터의 칼라 영상들이 동일한 객체를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나, 향후 보다 안정화된 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아울러, 클러스터별로 객체의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방법론의 개발도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Appendicitis Extraction of Ultrasonographic Images using Enhanced FCM (개선된 FCM을 이용한 초음파 영상에서 충수염 추출)

  • Jung, Seung Hwan;Yi, Gyeong Yun;Kim, Kwang Bea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5.10a
    • /
    • pp.239-241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클러스터 개수를 동적으로 생성하는 개선된 FCM을 적용하여 초음파 영상에서 충수염을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초음파 영상에서 ROI 영역을 추출한 후, Max-Min 기반 이진화 기법을 적용한다. 이진화된 영상에서 근막 영역의 크기가 ROI 영역의 1/3이상을 차지한다는 정보를 이용하여 Labelling 기법을 적용하여 근막 영역을 추출한다. 근막의 최하단 좌표를 이용하여 근막의 하단 영역을 추출한 후, 근막의 하단 영역에서 객체들의 선명도를 높이기 위해 Blurring 기법과 Sharpening 기법을 적용한다. 충수염의 후보 영역을 추출하기 위해 FCM 알고리즘을 개선하여 양자화를 수행한다. 개선된 FCM 알고리즘으로 양자화를 수행하여 충수염의 후보 영역을 추출한다. 추출된 충수염의 후보 영역에서 8방향 윤곽선 추적 기법을 적용하여 객체들을 추출한다. 추출된 객체들 중에서 낮은 명암도를 가지고 초음파 전체 영상 크기의 1/3이하 되는 객체를 충수염으로 추출한다. 초음파 영상을 대상으로 제안된 방법을 적용하여 실험한 결과, 기존의 방법보다 충수염 영역의 추출률이 개선된 것을 확인하였다.

  • PDF

Moving Object Feature Extraction for the Gesture Interaction (제스처 인터렉션 지원을 위한 동적 사용자 특징 추출)

  • Lee, Jea-Sung;Choi, Yoo-Joo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a
    • /
    • pp.909-914
    • /
    • 2007
  • 본 논문은 조명변화가 심한 주변환경에서 동적객체의 특징정보를 안정적으로 추출하는 기법을 제시한다. 제안기법에서는 우선 조명변화의 효과를 최소화 하기위해 HSI 컬러공간에서 색상(Hue) 강도 및 색상기울기에 대한 평균값과 표준편차 값으로 이루어진 배경모델을 생성한다.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동적 객체를 포함한 연속영상에 대하여 각 화소에 대한 색상(Hue) 성분을 추출하고 이웃 화소와의 색상성분에 대한 기울기 크기를 계산한다. 이를 기구축된 배경모델과 비교하여 그 차분값이 일정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동적 객체의 영역으로 판별한다. 마지막으로 모폴로지 연산을 수행하여 배경영상의 노이즈 영역을 제거한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동적객체 추출기법과 제안기법을 핸드 트래킹과 전체 몸 움직임 추적의 비교실험을 통하여 제안 기법의 안정성을 보였다. 제안 기법은 극심한 조명변화에 강건하게 동적 객체의 영역정보를 실시간 추출하였다.

  • PDF

A Study of a Real Time Digital Video Extraction Algorithm (실시간 디지털 영상 추출 알고리즘의 연구)

  • Lee Kwang-Hyoung;Lee Jong-Hee;Lee Keun-Wang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5.05a
    • /
    • pp.147-150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 영상에서 적응적 배경영상을 이용하여 객체를 추출하고 추적하는 방법을 제안it다. 입력되는 영상에서 배경영역의 잡음을 제거하고 조명에 강인한 객체 추출을 위하여 객체영역이 아닌 배경영역 부분을 실시간으로 갱신함으로써 적응적 배경영상을 생성한다. 그리고 배경영상과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입력영상과의 차를 이용하여 객체를 추출한다. 추출된 객체의 내부점을 이용하여 최소사각영역을 설정하고, 이를 통해 객체를 추적한다.

  • PDF

A Method of Adative Background Image Generation for Object Tracking (객체 추적을 위한 적응적 배경영상 생성 방법)

  • Jee, Jeong-Gyu;Lee, Kwang-Hyoung;Kim, Yong-Gyun;Oh, Hae-Seok
    • The KIPS Transactions:PartB
    • /
    • v.10B no.3
    • /
    • pp.329-338
    • /
    • 2003
  • Object tracking in a real time image is one of Interesting subjects in computer vision and many practical application fields past couple of years. But sometimes existing systems cannot find object by recognize background noise as object.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of object detection and tracking using adaptive background image in real time. To detect object which does not influenced by illumination and remove noise in background image, this system generates adaptive background image by real time background image updating. This system detects object using the difference between background image and input image from camera. After setting up MBR(minimum bounding rectangle) using the internal point of detected object, the system tracks object through this MBR. In addition, this paper evaluates the test result about performance of proposed method as compared with existing tracking algorithm.

Extracting and Tracing a Specified Object among Multiple Ones (다중객체 환경에서 특정객체의 추출 및 추적에 관한 연구)

  • Kim, Eun-Hwan;Han, Dan-Song;Lee, Kwang-Hyoung;Jun, Moon-Seo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9 no.1
    • /
    • pp.100-107
    • /
    • 2008
  • This paper proposes a real-time processing method to simplify the image input procedure while extracting and tracing a specified object among multiple ones. In order to extract an object in a specified area among multiple objects of indoor environment and tracing the extracted object continuously, it is verified through experiments that the information interchanged between cameras upwards and in front of it have effect on tracing a specified object continuously. The camera located upward transfers its x-axis data of the input image to the front camera so that the front camera can catch the area of object soon without computing the information of x-axis. The front camera can't resolve the problem of objects overlapping till they share information with the upward camera. The result of the experiment shows that the computation for tracing an object is simplified and the accuracy for extracting and tracing is upgraded.

A Study on Extraction of Central Objects in Color Images (칼라 영상에서의 중심 객체 추출에 관한 연구)

  • 김성영;박창민;권규복;김민환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5 no.6
    • /
    • pp.616-624
    • /
    • 2002
  • An extraction method of central objects in the color images is proposed, in this paper. A central object is defined as a comparatively consist of the central object in the image. First of all. an input image and its decreased resolution images are segmented. Segmented regions are classified as the outer or the inner region. The outer region is adjacent regions are included by a same region in the decreased resolution image. Then core object regions and core background regions are selected from the inner region and the outer region respectively. Core object regions are the representative regions for the object and are selected by using the information about the information about the region size and location. Each inner regions is classified into foreground or background regions by comparing values of a color histogram intersection of the inner region against the core object region and the core background regions. The core object region and foreground regions consist of the central object in the image.

  • PDF

Rotated object recognition based on corner feature points in mobile environment (모바일 환경 응용을 위한 코너 특징점 기반의 회전 객체 검출)

  • Kim, Dae-Hwan;Piao, Jin-Chun;Kim, Shin-Du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3.07a
    • /
    • pp.23-26
    • /
    • 2013
  • 최근 모바일 장치의 영상 데이터 처리 능력 확대와 더불어 사용자가 요구하는 다양한 영상 데이터의 효율적인 인식 기술 연구가 요구되어지고 있다. 모바일 환경은 고성능 PC 환경과 달리 저사양의 CPU와 메모리를 탑재하고 있어, 영상에서 원하는 객체를 인식하기 위한 기존의 방법론으로는 사용자 요구를 실시간으로 충족하기 어려운 부분이 존재한다. 이에 모바일 환경에 맞는 객체 인식 방법론의 개발이 요구된다. 모바일 환경에서 실시간으로 객체 인식을 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객체 코너 정보를 이용한 Harris corner detector[1]로부터 객체의 특징점을 추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영상내의 객체 정보 인식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에 의해, 입력 영상에서 객체의 코너 정보를 빠르게 추출, 기존 특징점과의 비교를 통하여 영상 내부의 객체 인식을 진행한다. 일반적으로, 회전된 특징점 객체의 정보는 객체의 회전 정도에 따라 코너 픽셀 색상 정보의 변화가 발생하게 된다. 특징점의 색상값은 객체의 회전 정도에 영향을 받아 주변의 픽셀값과 혼합되는 특성이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회전 변경된 픽셀 색상값의 영향을 분석하여, 회전된 객체의 특징점 추출 및 객체 검출에 반영하도록 하여, 영상 내부의 회전된 객체 검출의 수행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도록 한다. 특징점의 코너 정보를 이용하여 객체를 인식하는 것은, 객체의 인식률은 다소 감소하더라도 모바일 환경에서 계산량의 감소를 통한 실시간 활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특성은 저성능 CPU와 메모리에서도 회전된 객체의 인식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데 상당히 효과적이다.

  • PDF

Video Object Extraction Using Contour Information (윤곽선 정보를 이용한 동영상에서의 객체 추출)

  • Kim, Jae-Kwang;Lee, Jae-Ho;Kim, Chang-Ick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P
    • /
    • v.48 no.1
    • /
    • pp.33-45
    • /
    • 2011
  • In this paper, we present a method for extracting video objects efficiently by using the modified graph cut algorithm based on contour information. First, we extract objects at the first frame by an automatic object extraction algorithm or the user interaction. To estimate the objects' contours at the current frame, motion information of objects' contour in the previous frame is analyzed. Block-based histogram back-projection is conducted along the estimated contour point. Each color model of objects and background can be generated from back-projection images. The probabilities of links between neighboring pixels are decided by the logarithmic based distance transform map obtained from the estimated contour image. Energy of the graph is defined by predefined color models and logarithmic distance transform map. Finally, the object is extracted by minimizing the energy. Experimental results of various test images show that our algorithm works more accurately than other methods.

Object Classification Using Autonomous Extraction and Learning of Feature Information (특징 정보의 자율적 추출 및 학습을 이용한 객체 분류)

  • Kim, Sung-Oan;Lim, Seung-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09.01a
    • /
    • pp.237-240
    • /
    • 2009
  • 감시 시스템은 지역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환경 및 설치 조건을 가지게 되며, 지능적 처리 요구에 따라 객체 분류를 필요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검출된 객체로부터 특징 정보의 자율적 추출 및 학습을 이용하여 객체를 분류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다양한 환경 및 설치 조건에서도 감시 시스템의 입력과 처리에 대한 추가적 보정 과정이 필요하지 않으며,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객체의 형태와 움직임 정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객체의 특징 추출 및 분류가 가능하게 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