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객관성

검색결과 2,232건 처리시간 0.034초

과학지식의 객관성에 관한 고찰: 마이클 폴라니의 인식론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Objectivity of Scientific Knowledge: Focused on Michael Polanyi's Epistemology)

  • 김만희;김범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00-116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폴라니의 개인적 지식을 중심으로 과학지식의 객관성을 고찰하고, 이의 과학교육적 함의를 논의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론적 연구이며, 주로 문헌자료에 의존하였다. 현대 인식론은 지식의 객관성과 상대성에 대한 견해가 혼재해 있으며, 특히 과학교육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식의 객관성에 대한 재해석이 필요하다. 이에 과학지식의 객관성에 대한 과학철학자들의 견해를 살펴보고, 객관성을 주관성과 관련시켜 지식의 성격을 이해한 칸트, 왕양명, 키에르케고르의 사상을 교육과 관련지어 간단히 고찰하였다. 나아가 폴라니의 인식론을 중심으로 과학지식에의 개인적 관여 및 공동체적 성격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개인적 지식에서 시사하는 과학교육적 함의를 논의하면서, 과학교육에 인간의 목소리가 회복되며, 지적 열정이 살아있도록, 과학자의 삶을 재연하는 과학교사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정보시스템 감리평가를 위한 정량화 모델 (A Quantitative Model for Information System Audit Evaluation)

  • 김영호;전상덕;한기준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IT서비스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23-426
    • /
    • 2008
  • 정보시스템 감리의 의무화와 감리수요의 증가에 따라 정보시스템 감리의 품질과 감리의 준거성 객관성 신뢰성 확보 및 향상이 대두되고 있으나, 현행 정보시스템 감리는 감리원의 경험 및 기술력, 그리고 주관적인 판단에 의존하는 바가 크며, 감리 이해 관계자로부터 감리결과에 대한 객관성 및 신뢰성에 대한 불신감을 초래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보시스템 감리평가의 정량화 모델을 제시함으로써 정보시스템 감리의 준거성 객관성 신뢰성의 확보 및 향상을 통하여 전반적으로 감리의 품질향상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 PDF

순서형 프로빗 모델을 활용한 정성적 평가 결과의 객관성 확보방안 (Securing Objectivity of Qualitative Assessment Results using Ordered Probit Model)

  • 정민규;강윤철;김남철;정광헌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81-94
    • /
    • 2022
  • 서비스 산업에서 널리 사용되는 설문조사 형태의 정성적 평가방법은 서비스 품질을 평가하는 주요한 평가 수단으로 활용되는데, 이때 설문조사 결과에 응답자의 주관적 판단이 개입될 수 있는 여지가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정성적 평가 결과에 포함될 수 있는 주관적 판단을 최대한 배제하고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특히 같은 종류의 정성적 평가도구가 여러 사람에 의해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상황에서의 객관성 확보 방안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Ordered Probit 모델 및 제3자 평가 결과를 함께 활용하여 주관성 개입 여부를 판단하고, 주관성을 보정한 후, 최종 결과에 대해 통계적으로 검증하는 절차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어플리케이션은 의료서비스 분야이며, 특히 특정 의료서비스 제공 환경에서 해당 서비스 제공자가 자가 진단한 실제 평가 결과를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방법론을 통해 어떻게 객관성이 확보될 수 있는지 구체적으로 설명하였다.

한국어 단어 시소러스 구축 시스템의 설계 (Design of construction system for thesaurus of korean world)

  • 이종인;한광록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1998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논문집
    • /
    • pp.313-316
    • /
    • 1998
  • 본 논문은 한국어 단어의 의미 영역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시소러스를 설게하고 이를 구축하기 위한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기존에 TOP_DOWN이나 BOTTOM_UP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 각각 비 객관성과 작업 속도의 문제와 비구조성, 비일관성의 문제를 안고 있어 이를 혼합하여 어의문을 이용하여 객관성을 유지하면서도 기본모델을 이용하여 비구조성과 비일관성의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또한 그 동안 필요성이 증가되었으나 작업을 하지 못했던 가장 큰 이유인 단어의 방대성으로 기인한 작업속도의 문제해결하기 위하여 C/S 모델을 적용하여 다수의 입력자들에 의해 동시 입력을 가능케 함으로써 작업 속도의 향상을 이루었다.

  • PDF

침입차단시스템 제품 인증을 위한 취약성 평가 방법 (Vulnerability Evaluation Methodology for firewall Certification)

  • 김점구
    • 정보학연구
    • /
    • 제3권3호
    • /
    • pp.27-37
    • /
    • 2000
  • 정보보호 제품의 신뢰성 보증에 대한 평가 기준은 통일을 가져왔지만 국가별 평가 방법 등의 객관성 확보는 모호한 부분이 있다. 즉, 정보보호 제품의 취약성 평가에는 평가의 범위, 깊이, 시험 등에 적용하는 도구와 시나리오, 그리고 평가자 등이 있으나 이러한 요소들에 따라 평가 결과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평가의 공정성, 객관성 확보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정보보호 제품 보안 취약성 평가의 공정성, 객관성, 그리고 효율성을 보증할 수 있는 정보보호 제품 보안 취약성 평가 방법을 제안하고, 평가 수행을 자동화 할 수 있는 시스템(TSVES)을 설계 구현하였다.

  • PDF

교실에서 듣기 평가 시험의 객관성 고찰 (A Study on the Objectivity of Listening Test at a Classroom)

  • 이광현;김종식;이용주;강성훈
    • 한국음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음향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20권 2호
    • /
    • pp.279-282
    • /
    • 2001
  • 해마다 실시되고 있는 대학수학능력시험의 듣기 평가시험에 있어서, 고사장 및 지점별 음향 성능에 기인한 레벨 편차와 명료도를 산출하여 학생 선발의 공공성과 객관성을 검토해 보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듣기 평가가 이루어지는 각 고사장은 듣기 평가 실시에 지장이 없는 고등학교 교실로 지정하고 있지만, 균등한 음 환경을 제공해야 하는 시험의 성격에 반해 학교 자체의 방송 시설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은 평가의 형평성 및 객관성에 충실하지 못하게 되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각 고사장의 확성 시스템에 따른 음성 전달품질과 수험생간의 좌석별 음압 레벨 및 명료도를 평가하였고, 실험 결과 RASTI를 비롯한 음성 및 음절 명료도를 나타내는 파라메터에서 좌석별로 큰 편차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관찰과 재현에 대한 예비 생물교사들의 가치지향점 -객관성을 중심으로- (Pre-service Biology Teachers' Value Orientation Related to Observation and Representation: Focus on Objectivity)

  • 신세인;이준기;하민수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617-628
    • /
    • 2016
  • 과학교육현장에서 이루어지는 과학적 실천(practice) 과정에는 다양한 암묵적 지식이 존재한다. 교사는 이 암묵적 지식을 학생들에게 지도하는데 있어 자신의 과학에 대한 가치지향점을 반영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현미경 세포 관찰 실험 상황에서 관찰 및 이미지 재현이라는 과학적 실천의 지도 과정에서 나타나는 예비교사들의 가치지향점을 확인해보고자 한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과학적 관찰행동의 가장 큰 지향점인 객관성을 중심으로 예비교사들의 인식을 확인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예비교사 50명에게 현미경 세포 관찰 실험에서 일어날 수 있는 상황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서술하게 하였고, 서술한 자료들은 과학교육 전문가 2인의 반복적 비교분석을 통해 귀납적으로 범주화되었다. 그 결과 존재의 확인을 위한 수단으로서 관찰을 인식하는 '존재 확인 지향', 관찰은 객관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기계적 객관성 지향', 관찰의 주관적 성격을 인정하는 '학생의 주관성 지향', 관찰 대상과 표본 제작 및 관찰 과정에서 나타나는 인공적 산물을 구별하는 능력을 중시하는 '훈련된 판단 지향'의 4가지 유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중 '기계적 객관성 지향' 유형이 예비 생물교사들에게 가장 많이 나타나 객관성이 관찰과 이미지 재현 행위에 대해 중요한 신념으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하나의 실험과 그 실험에 매개된 암묵적 지식에 대한 지도 과정에서 예비교사들의 다양한 가치지향점이 반영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교사들의 과학적 실천에 대한 이러한 가치지향점은 학생들의 지도행위와 평가에 직접적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앞으로 교사교육에 많은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학술적 글쓰기에서의 객관화 전략 사용 양상 연구 - 한국어 학습자와 한국어 모어 화자 간의 비교를 중심으로 - (Study on the Use of Objectification Strategy in Academic Writing)

  • 김한샘;배미연
    • 비교문화연구
    • /
    • 제49권
    • /
    • pp.95-126
    • /
    • 2017
  • 이 논문은 학습자의 학술적 텍스트와 모어 화자의 학술 텍스트를 비교해 구체적으로 학습자들의 객관화 전략의 사용 양상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객관화 전략은 학문적 탐구의 결과를 보편성과 타당성을 갖추어 과학적으로 기술하기 위해 적용하는 담화 기제로서의 객관성을 갖추기 위해 필자가 사용하는 전략이다. 이 연구에서는 객관화 전략의 언어적 표지를 관련된 의도성, 정확성, 완화 등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객관화 표지가 관련 기제들을 나타내는 표지와 일부 겹치기는 하지만 개념은 변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객관화 표지는 크게 연구 결과의 상태성을 강조하는 것과 연구 주체를 연구 결과와 분리하는 것, 연구 내용을 일반화하는 것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지속 표현과 명사화 구문은 상태성을 강조하는 역할을 하고, 비인칭 표현, 피동 표현, 자기인용 등은 주장하는 바와 필자의 거리를 유지하게 하며, 1인칭 대명사와 접미사 등을 통한 복수화는 연구 내용을 일반화 하는 데에 기여한다. 모어 화자 말뭉치와 비교하여 학습자 말뭉치를 분석한 결과 연구 결과의 상태성을 강조하기 위해서 학습자들이 모어 화자에 비해 '-고 있다'는 더 많이 사용하는 반면, '-(으) ㄴ/는 것이다' 등의 문법적 연어는 적게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주체의 분리를 위한 비인칭 표현의 사용이 학습자 말뭉치에서는 '본 연구'와 '본고'에만 집중된 반면 모어 화자는 '본고, 본 연구, 본 논문, 본장 등'과 '이 연구, 이 논문, 이 장 등'이 고른 분포로 나타났다. 복수화를 통한 연구 내용의 일반화는 모어 화자 말뭉치에서 활발하게 구현되었다. 이 연구는 객관성 구현의 관점에서 한국어 학술 텍스트의 특성을 파악하고 학문 목적 학습자의 담화 표현 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가상사설망(VPN)시스템의 보안성 품질평가모델 개발 (VPN secure quality evaluation system development)

  • 마쯔종;김금옥;양해술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331-1332
    • /
    • 2011
  • 가상사설망(VPN)시스템은 기존 사설망의 고비용과 비효율적인 관리를 해결하기 위해 인터넷망을 마치 전용선으로 사설망을 구출한 것처럼 개발한다. 본 연구에서는 ISO/IEC 9126과 ISO/IEC 25000를 기반을 둔 객관성 있는 품질평가 방법을 구축하고 가상사설망시스템 제품 고유의 보안특성을 접목한 품질평가 체계를 구축함으로써 객관성과 타당성을 갖춘 평가모델을 개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