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개화

Search Result 1,811,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Why Does Draft Bamboo Bloom Once in a Lifetime on a Large Scale and then Die? -Analysis of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of Draft Bamboo Flowering Area and Its Life Strategy- (조릿대는 왜 평생 한 번 대규모로 꽃을 피우고 죽는가? -조릿대 개화지의 외적 환경인자 분석 및 그 생활사 전략-)

  • Park, Seok-Gon;Choi, Song-Hyu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31 no.6
    • /
    • pp.564-577
    • /
    • 2017
  • We investigated whether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acted as a trigger for flowering in the draft bamboo (Sasa borealis (Hack.) Makino) blooming area of Mt. Baekwoon located in Gwangyang, South Jeolla Province. We then considered the cause for flowering, flowering patterns and life history strategies of the draft bamboo based on the investigation.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soil, physical conditions, and light amount between the draft bamboo flowering and non-flowering areas. The precipitation and temperature of the areas in Korea and Japan where it blossomed from 2014 to 2017 were similar to the normal year values (for the past 30 years). Moreover, most of the draft bamboo died after flowering on a large scale, but some did not, or some culms were developed again. In other words, the draft bamboo bloomed simultaneously regardless of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and most of the culms were dead, but some were left alive.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e flowering is triggered by the specific genes (referred as to clock genes) expressed periodically by a biological clock rather than the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Meanwhile, the draft bamboos generally bloom on a large scale by synchronizing with other ones in the distance but may also bloom several times separately on a small scale. It may be a kind of an insurance system established to disperse the risk of failed sexual propagation when flowering once in a lifetime. The results reveal that the long-period monocarpy of the draft bamboo has been strengthened to optimize the sexual propagation to overcome the increased environmental instability caused by the expansion of distribution of tropical bamboos and bamboo species to the temperate regions.

Effect of Forcing Date and Temperature on Growth and Flowering of Iris koreana and Iris minutoaurea (노랑붓꽃과 금붓꽃의 입실시기 및 온도가 생장 및 개화에 미치는 영향)

  • Lee, Jeong Ho;Lee, Chung Hee;Park, Gwang Woo;Song, Cheon Yo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96 no.6
    • /
    • pp.699-704
    • /
    • 2007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growth and flowering characteristics of Iris koreana and Iris minutoaurea Makino native to Korea for potting plant of early spring treated by forcing date and temperature. As forcing date delayed from November 1 to December 1, the plant height and number of leaves were increased, however no difference in the number of flower and date of flowering. In Iris koreana, the plant was not flowering in forcing on November 1, flowering 30% on November and 100% on December 1. However all the forcing plant flowered in Iris minutoaurea Makino. As forcing temperature increased from $7^{\circ}C$ to $15^{\circ}C$, the plant height and number of leaves were decreased, however the number of flower in $7^{\circ}C$ was increased and date of flowering was earlier than ones of higher temperature. In Iris koreana, the plant was not flowered in forcing $12^{\circ}C$ and $15^{\circ}C$, all flowered in forcing $7^{\circ}C$. Iris minutoaurea Makino was flowered 30% forcing in $12^{\circ}C$ and all flowered forcing in $7^{\circ}C$.

Effects of BA on Flowering of Cymbidium encifolium 'Tekkotsusosin' (BA처리가 심비디움 '철골소심'의 개화에 미치는 영향)

  • Lee, Young-Ran;Lee, Dong-Woo;Won, Je-Yang;Kim, Mi-Seon;Kim, Jae-Yeong;Lee, Jeong-Sik
    •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 /
    • v.16 no.4
    • /
    • pp.531-532
    • /
    • 199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optimum concentration and time of BA treatments for the improvement of flowering in Cymbidium encifolium 'Tekkotsusosin'. The flowering rate was increased by the higher concentration of BA treatment, and reached 100% by $400mg{\cdot}L^{-1}$ treatment. But high concentration induced the flower malformation. Therefore, the optimum concentration of BA for increased of flowering rate was about $300mg{\cdot}L^{-1}$. In the time of BA treatment, plants which were treated in June to August by BA $300mg{\cdot}L^{-1}$ were flowered, especially up to 100% in August. However, those treated in April, May, and September did not.

  • PDF

The Ways of Discourses in the Novels and Editorials During the Period of Korean Enlightenment (개화기 소설과 신문 사설에 나타난 담화방식)

  • Eum, Yeong-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07a
    • /
    • pp.226-227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개화기 소설과 신문사설에 나타난 담화방식을 연구한 것이다. 개화기 소설과 신문 사설은 당시 대표적인 담론 매체였다. 대중들에게 쉽게 전달할 수 있는 담화방식은 개화기소설의 경우 대화체 토론체 연설체 담화방식으로 나타났다. 이는 신문 사설이 갖고 있는 한계인 설명 추상보다 진일보한 것으로 당대의 시대정신을 잘 구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 PDF

Characteristics of Flower of Plus Tree Clones of Pinus koraiensis S. et Z. (잣나무 수형목(秀型木) clone의 개화특성(開花特性))

  • Han, Sang Sup;Lee, Sang Boo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79 no.3
    • /
    • pp.290-301
    • /
    • 1990
  • The 167 plus tree clones of Pinus koraiensis in clone bank planted in 1983 were investigated for time of flowering, rate of flowering, and number of flowering from 1986 to 1989.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re were clones in the minority which do not cross in natural pollination between earlest flowering female clones and latest shedding male clones. 2) The rate of male flowering appeared less than rate of female flowering and received influence of genetic more than rate of female flowering. 3) The numbers of flowering in female and male flower were affected by small number of clones. 4) The flowering number for female strobili was not related to the flowering number of male flower. The 42 clones among 167 clone had not male flower. 5) The flowering number of 167clones were classified three groups in female flower and four groups in male flower by L.S.D 5% test. 6) The clones with abundant female and male flower were selected based on the component analysis. 7) As Based on flowering rate and number of female, the juvenile phase of plus tree clones appeared to be until four years after grafting ; the transition period appeared to be from five to seven years after grafting ; the adult phase appeared to begin from eight years after grafting, 8) The grafted trees of Pinus koraiensis appeared early flowerring about six years compared with seedling trees.

  • PDF

Quantification of the Distribution of the Internal Lesions of Sweet Potatoes Over Storage Periods (저장 기간에 따른 고구마 내부 병변의 분포 정량화)

  • Ji-Woo Jung;Dong-Il Lee;Seong-Young Choi;Roshanzadeh Amir;Eung-Sam Kim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0.12a
    • /
    • pp.66-66
    • /
    • 2020
  • 쌈채소나 산나물로 알려진 곤달비(Ligularia stenocephala)의 종자나 종묘는 시장 거래가격이 높게 형성되어 재배농가의 경영비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또한, 곤달비의 종자는 대개 농가 자가 채종으로 생산되며, 채종재배에 대한 체계가 정립되어 있지 않다. 이에 본시험은 곤달비의 우량종자 생산을 위한 종자결실률 향상 재배조건과 채종적기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전북 남원시 허브산채시험장에서 2018년 10월에 2년생 곤달비 종묘를 포장에 정식하여 시험을 실시하였다. 적정 채종 재배조건을 구명하기 위해 2019년 노지, 하우스, 55% 차광막을 설치한 노지포장에서 곤달비의 개화시기, 개화율, 생육특성, 결실률 등을 조사하였다. 더불어 채종적기를 설정하기 위해서 곤달비 개화 후 50일~100일 동안 7일 간격으로 채종하여 결실률, 채종량, 종자 발아율을 조사하였다. 곤달비의 개화는 하우스재배, 노지재배의 경우 7월 하순, 차광재배는 8월 초순 개화가 시작되었으며, 개화 최성기도 하우스재배와 노지재배가 차광재배와 비교해 15일 정도 일렀다. 하지만 개화 종료 시기는 노지재배가 가장 빨랐으며 하우스재배가 가장 늦었다. 개화율은 하우스재배, 차광재배, 노지재배 순으로 높았다. 개화기 생육특성는 차광재배일 때 초장과 화경장이 가장 컸으며, 화서수와 자방수는 하우스재배가 타 재배방법에 비해 다소 많았다. 곤달비 재배방법에 따른 결실률은 차광재배가 70.1%, 노지재배가 21.9%, 하우스재배가 15.8%이었으며, 채종량은 차광재배의 경우 10a당 39.6kg, 노지재배 4.9kg, 하우스재배 4.6kg이었다. 백립중과 종자길이, 종자너비 또한 차광재배가 타 재배방법에 비해 양호하였다. 채종시기에 따른 결실률은 채종시기가 늦어질수록 높은 값을 가졌으나, 화경당 채종량은 개화 후 70일에 85일 사이에 가장 많았다. 발아율은 노지재배의 경우 개화 후 70일 이후부터 90% 이상으로 높은 발아율을 보였고, 차광재배는 개화 후 65일부터 95% 이상의 발아율을 나타냈으나 하우스재배의 경우에는 개화 후 80일 이후부터 85% 이상으로 발아율이 양호하였다. 따라서 곤달비의 우량종자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55% 차광막을 설치한 노지에서 재배하여 개화 후 65일 이후부터 종자가 비산하기 전까지 채종해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 PDF

Prediction Model for Flowering date of Rhododendron mucronulatum Turcz. using a Plant Phenology Model (생물계절모형을 이용한 진달래 개화 예상시기 모형 연구)

  • Sung-Tae Yu;Byung-Do Kim;Hyeon-Ho Park;Jin-Yeong Baek;Hye-Yeon Kwon;Myung-Hoon Yi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0.08a
    • /
    • pp.31-31
    • /
    • 2020
  • 본 연구는 대표적인 봄 꽃 식물인 진달래(Rhododendron mucronulatum Turcz.)의 개화시기를 예측하기 위해 지난 9년간(2011년-2019년) 주왕산 지역에 생육하는 진달래의 식물계절자료(파열·개화·개엽·만개·낙엽)와 기상자료(일평균기온·일최고기온·일최저기온)를 토대로 이탈리아 생물기상연구소(IBMET)의 Chill Day 개화 예측모형인 생물계절모형을 실시하였다. 생물계절모형에 의한 예상 발아일간 편차의 제곱을 최소로 하는 조합은 기준온도 5℃, 저온요구량과 가온요구량은 97.94로 나타났다. 즉, 휴면해제일로부터 기준온도 5℃로 Chill Day를 누적시켜 97.94에 도달하는 날짜가 낙엽~내생휴면해제일이자 내생휴면해제일~발아기간까지의 값이며, 내생휴면해제일을 기점으로 개화일까지 102.93이 개화에 필요한 가온량으로 나타났다. 2011년부터 2019년까지 개화예상일을 기상청 회귀모형을 실관측기온에 적용한 결과 오차는 MAE=1.44이며, 생물계절모형을 적용할 경우 오차는 MAE=1.39, 기준온도 5℃일 경우 MAE=4.23, 기준온도 6℃일 경우 MAE=5.47, 기준온도 7℃일 경우 MAE=5.05로 나타나 생물계절에 의한 관측과 기상청의 회귀모형이 가장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최근인 2018년과 2019년의 기상청 회귀모형와 생물계절모형의 개화 예측일을 비교한 결과, 2018년의 경우 청송지역의 진달래는 기상청 회귀모형에서 3월 30일 전후로 개화를 예상하였고 생물계절모형은 기준온도 5℃에 적용할 경우 내생휴면일에 가장 근접한 날은 3월 26일이였으며 이를 기준으로 가온량의 합이 102.93에 가깝게 되는 날인 4월 2일을 전후로 개화를 예측하였다. 실제 청송 주왕산의 진달래는 4월 3일에 개화를 시작하여 생물계절모형과 매우 유사함을 확인하였다. 2019년의 경우 청송지역의 진달래는 기상청 회귀모형에서 3월 25일 전후로 개화를 예상하였고 생물계절모형은 기준온도 5℃에 적용할 경우 내생휴면일에 가장 근접한 날은 3월 8일이였으며 이를 기준으로 가온량의 합이 102.93에 가깝게 되는 날인 3월 29일을 전후로 개화를 예측하였다. 실제 청송 주왕산의 진달래는 4월 5일에 개화를 시작하여 오히려 생물계절모형과 더욱 유사함을 확인하였다.

  • PDF

Optimum Culture Condition and Seed Harvesting Time For the Superior Seed Production in Ligularia stenocephala (곤달비 우량종자 생산을 위한 적정재배 조건 및 채종시기)

  • Song Hee Ahn;Jung Seob Moon;Gue-Saeng Yeom;Jin Ho Yang;Min Sil Ahn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0.08a
    • /
    • pp.66-66
    • /
    • 2020
  • 쌈채소나 산나물로 알려진 곤달비(Ligularia stenocephala)의 종자나 종묘는 시장 거래가격이 높게 형성되어 재배농가의 경영비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또한, 곤달비의 종자는 대개 농가 자가 채종으로 생산되며, 채종재배에 대한 체계가 정립되어 있지 않다. 이에 본시험은 곤달비의 우량종자 생산을 위한 종자결실률 향상 재배조건과 채종적기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전북 남원시 허브산채시험장에서 2018년 10월에 2년생 곤달비 종묘를 포장에 정식하여 시험을 실시하였다. 적정 채종 재배조건을 구명하기 위해 2019년 노지, 하우스, 55% 차광막을 설치한 노지포장에서 곤달비의 개화시기, 개화율, 생육특성, 결실률 등을 조사하였다. 더불어 채종적기를 설정하기 위해서 곤달비 개화 후 50일~100일 동안 7일 간격으로 채종하여 결실률, 채종량, 종자 발아율을 조사하였다. 곤달비의 개화는 하우스재배, 노지재배의 경우 7월 하순, 차광재배는 8월 초순 개화가 시작되었으며, 개화 최성기도 하우스재배와 노지재배가 차광재배와 비교해 15일 정도 일렀다. 하지만 개화 종료 시기는 노지재배가 가장 빨랐으며 하우스재배가 가장 늦었다. 개화율은 하우스재배, 차광재배, 노지재배 순으로 높았다. 개화기 생육특성는 차광재배일 때 초장과 화경장이 가장 컸으며, 화서수와 자방수는 하우스재배가 타 재배방법에 비해 다소 많았다. 곤달비 재배방법에 따른 결실률은 차광재배가 70.1%, 노지재배가 21.9%, 하우스재배가 15.8%이었으며, 채종량은 차광재배의 경우 10a당 39.6kg, 노지재배 4.9kg, 하우스재배 4.6kg이었다. 백립중과 종자길이, 종자너비 또한 차광재배가 타 재배방법에 비해 양호하였다. 채종시기에 따른 결실률은 채종시기가 늦어질수록 높은 값을 가졌으나, 화경당 채종량은 개화 후 70일에 85일 사이에 가장 많았다. 발아율은 노지재배의 경우 개화 후 70일 이후부터 90% 이상으로 높은 발아율을 보였고, 차광재배는 개화 후 65일부터 95% 이상의 발아율을 나타냈으나 하우스재배의 경우에는 개화 후 80일 이후부터 85% 이상으로 발아율이 양호하였다. 따라서 곤달비의 우량종자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55% 차광막을 설치한 노지에서 재배하여 개화 후 65일 이후부터 종자가 비산하기 전까지 채종해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 PDF

Effects of Fertilizer Levels and Plant Densities on Flowering and Bolling in Cotton (시비량과 재식밀도가 목화의 개화 및 결삭에 미치는 영향)

  • 김상곤;박홍재;성병열;정동희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37 no.5
    • /
    • pp.436-441
    • /
    • 199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iscuss the influences of the different fertilizer levels and plant densities on the flowering and balling in cotton in Mokpo Branch Station, Crop Experiment Station in 1991. The cotton flowered 67% before Aug. 25 which is the limit date of picked-cotton harvest, and the ratio of flowering for stalk-cut cotton was 30%. The 1.5 times fertilizer levels and the 70cm row density had more flower buds, flowers and bolls per m$^2$ than any other treatment plot. The crop growing was bad in dense planting due to the nutrient deficiency. The flowering ratio to flower bud was about 70%, and the balling ratio to flower numbers was about 48%. The bolling ratio was lower in the case of more flower number. The shedding ratio of flower buds was about 30% in average and showed increasing tendency by dense planting. It was observed that the higher ratio of bud shedding tended to accompany with shedding the lower ratio of boll shedd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