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개판(蓋板)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29초

만곡형전개판의 유동특성해석에 관한 수치해석적 및 실험적 연구

  • 박경현;이주희;현범수;배재현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1년도 추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37-38
    • /
    • 2001
  • 그물 전개판과 같은 복잡한 유동장에서 동작을 하게되는 몰수체의 역학적 특성을 예측하고 성능향상 위해서는 수반하는 유동장의 거동을 파악하는 것이 필연적이다. 일반적인 계측기를 이용한 정량적인 계측방법과 고전적인 유동가시화 방법(flow visualization)으로는 유동장의 정량적인 정보 또는 정성적인 정보만을 제공하여 유동 해석에 필요한 정량적인 결과를 얻기 힘들었다. (중략)

  • PDF

조선시대 판장(板墻)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an-Jang in the Joseon Dynasty)

  • 오준영;김영모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9권1호
    • /
    • pp.68-83
    • /
    • 2016
  • 본 연구는 가변적, 재료적 특성으로 인해 원형의 실체가 분명하지 않았던 판장(板墻)을 대상으로, 판장의 사용양상과 용례, 구성요소와 구조에 대한 실증 및 고찰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나무널로 만든 담장을 가리키는 판장은 기능, 구조, 단청색 등에 따라 다양한 용례로 사용되었다. 유사한 용례인 판장문과 목판장은 전통적인 판장과 밀접한 관계가 없다. 또한 판장과 재료적으로 유사한 중국의 목영벽과 일본의 판병도 판장과는 분명한 구조적 차이가 있다. 둘째, 판장의 변용유형은 크게 이목기판장, 살판장, 흙판장 그리고 한자어가 다른 판장(板障)으로 구분된다. 이목기판장은 두 단의 방연이 사용된 판장을 가리키며, 살판장은 살대와 널로 만든 투시형 판장을 의미한다. 흙판장은 흙담과 판장의 절충적 형태이며, 판장(板障)은 벽체의 성격을 지닌 고정형 시설로 추정된다. 셋째, 판장의 목부재로는 신방, 기둥, 도리, 중방, 인방, 널, 띠목, 초엽, 방연, 개판, 평고대, 연함 등이 조영의도와 구조형식에 따라 선별적으로 사용되었다. 목부재 외에 못, 잠금장치, 구체적인 용처를 알 수 없는 부속요소도 함께 사용되었다. 넷째, 판장의 기단부는 목부재의 종류와 결구에 따라 크게 세 가지로 구분되며, 축부는 상인방의 사용유무에 따라 두 가지로 구분된다. 지붕부 재료로는 개판과 기와가 사용되는데, 각각의 재료에 따라 명확한 구조적 차이가 나타난다.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소장 뒤주의 보존처리 (Conservation of Wooden Rice Chest in National Museum of Korean Contemporary History)

  • 김수철;오진서;황인선;박정혜;안주영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37호
    • /
    • pp.43-51
    • /
    • 2016
  • 대한민국역사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뒤주는 검은색 칠이 유물 전체에 칠해져 있으나 칠이 열화되어 부분적으로 벗겨진 상태이다. 정면과 좌측면의 칠은 상대적으로 양호한 상태이나 천판과 뒷면, 우측면 칠의 경우 열화로 인한 박락이 심하다. 또한 다리부분의 열화가 심하고, 하얗게 변색되어 있어 취약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된다. 처리 전 조사를 통하여 뒤주의 전체적인 상태를 판단한 후 건식 클리닝과 습식 클리닝을 진행하였다. 습식 클리닝은 먼지가 심하게 고착되어 있는 부위에 한하여 실시하였다. 열화된 칠층에 붉은 아교를 도포하여 안정화처리를 하였는데 취약한 다리 부분은 추가 도포를 하여 강화처리 하였다. 개판을 제외한 다른 부분은 상대적으로 이질감이 덜하였기 때문에 색맞춤은 개판을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 PDF

조선시대에 간인(刊印)된 "춘추(春秋)" 판본(板本)에 관한 서지적(書誌的) 연구 (A Study on the Printed Books of Ch'un-ch'iu(春秋) Commentary in Chosun Dynasty Period)

  • 염종일;송일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331-346
    • /
    • 2007
  • 이 연구는 조선시대에 간행된 $\ulcorner$춘추(春秋)$\lrcorner$ 주해서의 여러 판본(板本)에 대하여 문헌상의 기록과 판본에 대한 실제 조사를 통해 현존하는 판본들의 유형별, 형태별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그 특징에 대하여 서지학적 고찰을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조선시대에 간행된 <책판목록(冊板目錄)> 가운데 비교적 그 작성시기가 명확한 것을 선정하여 살펴봄으로써 문헌상에 나타나는 $\ulcorner$춘추(春秋)$\lrcorner$ 판본의 개판(開板) 상황을 조사하였으며, 고서를 소장하고 있는 주요 기관들의 고서종합목록과 주요대학도서관의 고서목록DB를 검색하여 $\ulcorner$춘추(春秋)$\lrcorner$ 개판(開板)의 종합적인 서목을 작성하고, 이를 근거로 각 소장기관을 방문하여 실물의 확인과 촬영, 복사 등을 통해 현존본 $\ulcorner$춘추$\lrcorner$ 판본의 서지사항을 담은 <종합서목(綜合書目)>을 작성하였다. 이렇게 작성된 <종합서목>을 기준으로 활자본 14종과 목판본 13종이 현존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이들의 유형별 특징에 대해서 서지학적으로 고찰하였다.

전개판에 대한 수직해법 - 3 . 슬롯에 따른 단순만곡형전개판의 성능분석 - (Computational Fluid Analysis for the Otter Boards - 3 . Efficiency Analysis of the Single Cambered Otter Boards for the Various Slot Position -)

  • 고관서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27권4호
    • /
    • pp.278-285
    • /
    • 1991
  • 현재 사용되고 있는 전개판의 성능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비행기의 익이론에 기초를 두고, 전개판의 경계층을 흡입하거나 제거하는 방법 중에서 역류역을 흡입하는 슬롯(slot)을 전개판에 적용하였다. 성능분석을 위해서 단순만곡형전개판에 슬롯이 없는 기준형과 슬롯의 위치에 따른 5종의 모형전개판에 대하여 성능실험과 가시화실험을 통하여 그 성능과 유체역학적 특성을 비교해 보았다. 실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circled1 최대전개력계수는 0.6C, 0.4C, 기준형, 0.8C, 0.2C의 순으로, 슬롯의 위치 0.6C인 전개판이 영각 27$^{\circ}$에서 1.59로 가장 우수하였다. \circled2 항력계수는 슬롯의 위치가 후연으로 갈수록 감소하며, 슬롯을 준 경우가 기준형보다 작게 나타났다. \circled3 양항비는 0.6C, 0.4C, 0.8C, 0.2C, 기준형의 순으로 모두 기준형보다 높게 나타났다. \circled4 0.2C, 0.4C 및 0.6C의 전개판이 기준형과 0.8C의 전개판보다 박리가 후연에서 발생하였다. \circled5 전개판의 전.후면에서 유속차는 영각 15$^{\circ}$~25$^{\circ}$까지는 점차 증가하고, 30$^{\circ}$에서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circled6 박리역의 크기는 0.6C의 전개판에서 가장 적게 나타났다.

  • PDF

부속구를 부착한 슬롯 만곡형전개판의 성능에 관한 모형실험 (Model Test on the Three-Slot Cambered Otter Board with Accessories)

  • 권병국;고관서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0권2호
    • /
    • pp.71-77
    • /
    • 1994
  • A serious of study is carried out to practical use of the three-slot cambered otter board improved by the authors. As the first step, we designed main plates, slots and accessories, such as holding plate, fan-shaped towing plate, normans, center ring, etc. Standing on this design, we made the simple cambered and three-slot cambered model otter board with accessories in a linear scale 6:1. and carried out model test to examine the efficiency of these boards. The obtained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On the simple cambered board with accessories, the values of the maximum shear coefficient($C _{LX}$ ). drag coefficient(($C _{D}$) and hydrodynamic efficiency($C _{L}$/$C _{D}$ ) are 1.39, 0.56, 2.48 at $22^{\circ}$ of the angle of stall respectively. 2. On the three-slot cambered board with accessories, $C _{LX}$/$C _{D}$ and $C _{I}$/$C _{D}$ are 1.67, 0.92, 1.82 at $32^{\circ}$ of the angle of stall respectively. 3.$C _{LX}$ of board with accessories is smaller 10~12% than that of only the main plate, and the angle of stall is almost same. 4. $C _{LX}$ and the angle of stall of the three-slot cambered board with accessories are greater 20% and $10^{\circ}$ than that of the simple cambered board respectively.

  • PDF

훅타입 말뚝두부보강 기초의 안정성 평가 (The Evaluation of Stability for Hook-type Bonding Method of Pile Foundation and Cap)

  • 이흥길;오세욱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8권3호
    • /
    • pp.41-49
    • /
    • 2007
  • 강관말뚝과 확대기초를 연결하는 대표적인 두부보강공법은 +자 보강 덮개판을 이용한 볼트식 말뚝두부 보강방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실물 크기의 +자 보강 덮개판을 이용한 말뚝머리 보강방법과 훅타입의 새로운 말뚝 두부보강공법을 적용한 실물크기의 확대기초를 제작하여 연직재하시험과 수평재하시험을 수행하여 말뚝두부 결합부의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실물모형 기초의 연직재하 시험결과 볼트타입 및 훅타입으로 보강된 말뚝기초는 강관말뚝 재료의 항복내력을 8.5~21%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나 압축력에 대해 충분한 안전성을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수평재하 시험결과 훅타입 두부보강장치의 최대 파괴하중은 41.1tonf으로 볼트타입 두부보강 시험체에 비해 약 33%정도 크게 나타났다.

  • PDF

전자파환경 측정을 위한 합성 등방성 패턴 안테나 (A Synthesized Isotropic Pattern Antenna for Electromgnetic Environment Measurements)

  • 윤현보;최익권;임계재;백낙준;유희준
    • 한국전자파학회지:전자파기술
    • /
    • 제3권1호
    • /
    • pp.20-27
    • /
    • 1992
  • $\lambda$/2 다이폴 안테나 3개판 x,y,z축상에 서로 직교되도록 배열하여 각 소자의 수신 출력을 합성하므로써 등방성 패턴 안테나가 실현되었다. 각 소자는 H20MHz-895MHz익 서례 주파수 대역에서 임피먼스 정합플 양호하게 하고, 소자간의 상호 결합 효과를 최소로하기 위하여 슬리브 형태의 $\lambda$/2 다이폴 안테나를 사용하였다. 설계된 등방성 패턴 얀테나로 부터 복사된 충 전계의 세기는 원방계에서 각 촉상의 다이폴에 의해 발생 되는 Magnetic Vector Potential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계산결과, 총 전계의 세기는 원점으포 부터의 거리에는 반비례하였고, 패턴상수 차이는 2.1dB이하이었다. 또한, x,y,z 축상에 배열된 안테나에서 수산된 합성전계의 편차는 2.8dB이하로 이론적 계산치와 O.7dB 정도의 차이가 있었다.

  • PDF

단일 슬롯 만곡형전개판의 유체역학적 특성에 대한 연구 (The Study on the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Single Slot Cambered Otter Board)

  • 박경현;이주희;현범수;배재현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7권1호
    • /
    • pp.1-8
    • /
    • 2001
  • This study deals with the experimental and numerical investigations to design the high performance otter board.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most effective slot size of single-slot cambered otter board in the circulation water channel of BAEK KYUNG IND. Co. LTD. Numerical analysis was done by the commercial CFD code, FLUENT, to provide some valuable physical interpretations and finally to design the otter board section by numerical method.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 1. In experiment, the maximum lift and drag coefficients of simple cambered type otterboard were 1.41, 0.55, respectively, at the angle of attack $28^\circ$, while those of slot one with slot size 0.02C (C denotes the chord length) were 1.72, 0.42 at the angle of attack $24^\circ$. 2. The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depending upon slot size shows the greatest at 0.02C of the slot size. 3. Numerical results well visualized the streamlines, pressure fields, and speed vectors of a simple cambered and slot cambered otter board with slot size 0.02C. The slot cambered one with slot size 0.02C was shown that pressure field was distributed moderately on front and back side of otter board. And, the delay and decrease of separation were favorably achieved by flow through slot. 4. Computed result on the pattern of hydrodynamic field and the values of $C_L$ and $C_D$ by the commercial CFD code, FLUENT, show almost the same as those of the experimental result.

  • PDF

보성선원(寶成禪院) 삼존불(三尊佛)의 복장전적(腹藏典籍) 연구(硏究) (A Study on the bibli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relics inside of Buddhist triad Samantabhadra in the Boseong Temple)

  • 송일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271-295
    • /
    • 2012
  • 이 연구는 보성선원의 대웅전에 봉안되어 있는 석가불 문수상 보현상 등 삼존불에서 수습된 복장전적에 대해 서지학적 측면에서 분석한 글이다. 보성선원의 대웅전에 봉안되어 있는 삼존불은 1647년 이전에 경상도 거창의 견암사(見巖寺)에서 조성되어 현재의 보성선원으로 이관된 불상이다. 삼존불 중 석가불에서 37책이, 문수상과 보현상에서는 각각 18책이 수습되어 전체 13종 73책에 달하는 복장전적이 수습되었던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 중에는 새로운 3종(화엄경, 금강경, 천태사교의집해)의 불교전적은 처음으로 나타난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리고 보성선원의 복장본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전체 13종 73책 중 경전류가 6종 65책으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특히 이 중에는 조선시대에 우리나라에서 독자적으로 간행된 5계통의 법화경 46책이 포함되어 있다. 이들 판본은 불상이 조성된 이전에 주로 경상도와 전라도 지역에서 개판된 사실을 분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