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개체인식

검색결과 449건 처리시간 0.028초

융복합 공연예술의 경험적 가치와 소통인식 연구 (A Study For The Experiential Value And Communication Perceptions Of Convergence Performing Arts)

  • 안주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364-370
    • /
    • 2017
  • 공연예술의 창의적 사고와 융복합적 다양성은 장르별 새로운 소통을 전제로 경험적 가치실현의 정착을 추구한다. 이러한 새로운 가치와 소통은 또 다른 의미의 시도와 함께 집단지성의 유형을 창조하며 대중의 개체소통과 수평적 사고를 토대로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21세기 융복합 공연예술의 경험적 가치와 소통은 새로운 유형과 분석을 통해 가능하고 아울러 예술가의 수평적 창작구조로 이해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융복합'의 올바른 가치개념은 장르별 예술가들의 경험적 사고능력에 따른 경험적 소통으로 인식되었다. 둘째, 탈장르화와 협업경향은 지적능력에 따른 협력과 장르별 수평적 소통인식에 의한다. 셋째, 협업에서 대중의 개체화된 소통능력과 보편적 소통인식이 전제되어야 하고 나아가 집단지성의 경험적 정의에 인식을 함께 해야 할 것이다. 결국 융복합적 공연예술의 경험적 가치와 소통은 집단지성의 실험적 창조를 가능케 하고, 관계구조는 공연예술의 융복합적 해석과 표현의 유의미한 전이로 확장됨을 결론지었다.

음향적 요소분석과 DRNN을 이용한 음성신호의 감성인식 (Analyzing the acoustic elements and Emotion Recogintion from Speech Signal based on DRNN)

  • 박창현;심귀보
    • 한국지능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퍼지및지능시스템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 /
    • pp.489-492
    • /
    • 2002
  • 최근 인간형 로봇에 대한 개발이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루고 있고, 친근한 로봇의 개발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써 감성/감정의 인식이 필수적이라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본 논문은 음성의 감정인식에 있어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피치의 패턴을 인식하여 감정을 분류/인식하는 시뮬레이터의 개발과 실험결과를 나타낸다. 또한, 피치뿐 아니라 음향학적으로 날카로움, 낮음등의 요소를 분류의 기준으로 포함시켜서 좀더 신뢰성 있는 인식을 할 수 있음을 보인다. 시뮬레이터의 내부 구조로는 음성으로부터 피치를 추출하는 부분과 피치의 패턴을 학습시키는 DRNN 부분, 그리고, 음향적 특성을 추출하는 음향 추출부가 주요 요소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피치를 추출하는 방법으로는 Center-Clipping 함수를 이용한 autocorrelation approach를 사용하고, 학습 시 최적의 개체를 찾는 방법으로써 (1+100)-ES를 사용한다.

항공 Lidar 데이터를 이용한 산림지역의 개체목 자동 인식 및 수고 추출 (Automatic Extraction of Individual Tree Height in Mountainous Forest Using Airborne Lidar Data)

  • 우충식;윤정숙;신정일;이규성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6권3호
    • /
    • pp.251-258
    • /
    • 2007
  • 항공 Lidar 기술을 이용한 산림조사 기법은 현지조사 및 항공사진을 이용한 기존 조사방법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산림지형의 특성을 고려하여 개체목 인식 및 수고(樹高)추출을 위한 항공 Lidar자료의 기본적인 처리기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경기도 유명산 조림지를 대상으로 촬영된 항공 Lidar 원시자료로부터 비지면점을 제거하는 기법을 적용하여 순수 지표면을 표현하는 수치표고모형자료(DEM)를 생성하였다. 이렇게 제작된 DEM자료를 기반으로 비지면점에 해당하는 신호값들을 추출한 후 수관고모형(CHM)자료를 생성하였다. CHM자료에 개체목의 수고를 추출하는 필터링 기법을 개발하였다. 연구 지역의 낙엽송 및 잣나무 표본임분을 대상으로 항공사진 및 현지 측정된 자료와 비교한 결과, 개체목의 본수는 90% 이상의 정확도로 추출되었으며, 수고는 평균 1.1m 낮게 추정되었다.

젖소의 개체인식 및 형상 정보화를 위한 컴퓨터 시각 시스템 개발 (I) - 반문에 의한 개체인식 - (Development of Computer Vision System for Individual Recognition and Feature Information of Cow (I) - Individual recognition using the speckle pattern of cow -)

  • 이종환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27권2호
    • /
    • pp.151-160
    • /
    • 2002
  • Cow image processing technique would be useful not only for recognizing an individual but also for establishing the image database and analyzing the shape of cows. A cow (Holstein) has usually the unique speckle pattern. In this study, the individual recognition of cow was carried out using the speckle pattern and the content-based image retrieval technique. Sixty cow images of 16 heads were captured under outdoor illumination, which were complicated images due to shadow, obstacles and walking posture of cow. Sixteen images were selected as the reference image for each cow and 44 query images were used for evaluating the efficiency of individual recognition by matching to each reference image. Run-lengths and positions of runs across speckle area were calculated from 40 horizontal line profiles for ROI (region of interest) in a cow body image after 3 passes of 5$\times$5 median filtering. A similarity measure for recognizing cow individuals was calculated using Euclidean distance of normalized G-frame histogram (GH). normalized speckle run-length (BRL), normalized x and y positions (BRX, BRY) of speckle runs. This study evaluated the efficiency of individual recognition of cow using Recall(Success rate) and AVRR(Average rank of relevant images). Success rate of individual recognition was 100% when GH, BRL, BRX and BRY were used as image query indices. It was concluded that the histogram as global property and the information of speckle runs as local properties were good image features for individual recognition and the developed system of individual recognition was reliable.

인공지능 기반 개체명 인식 기술을 활용한 보안 위협 정보 식별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Identification Method of Security Threat Information Using AI Based Named Entity Recognition Technology)

  • 김태현;임준형;김태은;엄익채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34권4호
    • /
    • pp.577-586
    • /
    • 2024
  • 새로운 기술이 개발 됨에 따라, 랜섬웨어를 만들어 주는 AI 기술 등장과 같은 새로운 보안 위협도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보안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XDR와 같은 신규 보안장비가 개발되었지만, 단일 보안장비 환경이 아닌 다양한 보안장비를 함께 사용하는 경우 필수 데이터 식별 및 분류를 위해 수많은 정규표현식을 만들어야 하는 어려움이 존재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보안장비 사용 환경에서 인공지능 기반 개체명 인식 기술을 도입하여 위협 정보 식별을 위한 필수 정보 식별 방안을 제안한다. 보안장비 로그 데이터를 분석하여 필수 정보를 선정한 뒤, 정보의 저장 포맷과 인공지능을 활용하기 위한 태그 리스트를 정의하였고, 인공지능을 이용한 개체명 인식 기술을 통해 필수 데이터 식별 및 추출 방안을 제안한다. 다양한 보안장비 로그 데이터와 23개의 태그 기반 개체명 인식 시험 결과 태그별 f1-score의 가중치 평균이 Bi-LSTM-CRF는 0.44, BERT-CRF는 0.99의 성능을 보인다. 향후 정규표현식 기반의 위협 정보 식별·추출 방안과 인공지능 기반의 위협 정보 식별·추출 방안을 통합하는 프로세스를 연구하고 신규 데이터 기반으로 프로세스를 적용해 볼 예정이다.

RF/ID 카드를 이용한 Door lock system 개발 (Door lock 시스템 Development using RF/ID)

  • 박종연;김한수;박유길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0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D
    • /
    • pp.3103-3105
    • /
    • 2000
  • 본 논문은 RF/ID 카드를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의 개발에 관한 것이다. 기존 기계적 도어락 시스템의 보안과 편리성을 도모하기 위해 전자식 도어락가 현재 널리 쓰이고 있다. 대부분의 도어락 시스템이 버튼식이지만 현재 RF/ID 카드를 많이 쓰는 추세이다. RF/ID카드는 비접촉식으로 보안성과 그 신뢰성이 뛰어나며 안테나 설계와 Tag의 특성에 따라서 그 통신 범위도 작게는 몇Cm에서 크게는 몇십m 까지 된다. 따라서 그 응용 범위 또한 광범위해서 사람. 개체. 물류등의 개체인식에 널리 쓰이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RF/ID 카드를 소규모 도어락 시스템을 요구하는 가정, 또는 오피스텔과 같은 곳에서 쓰일 수 있는 도어락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 PDF

대규모 지식그래프와 딥러닝 언어모델을 활용한 기계 독해 기술 (Machine Reading Comprehension based on Language Model with Knowledge Graph)

  • 김성현;김성만;황석현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9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922-925
    • /
    • 2019
  • 기계 독해 기술은 기계가 주어진 비정형 문서 내에서 사용자의 질문을 이해하여 답변을 하는 기술로써, 챗봇이나 스마트 스피커 등, 사용자 질의응답 분야에서 핵심이 되는 기술 중 하나이다. 최근 딥러닝을 이용한 기학습 언어모델과 전이학습을 통해 사람의 기계 독해 능력을 뛰어넘는 방법론들이 제시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사람이 인식하는 질의응답 방법과 달리, 개체가 가지는 의미론(Semantic) 관점보다는 토큰 단위로 분리된 개체의 형태(Syntactic)와 등장하는 문맥(Context)에 의존해 기계 독해를 수행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높은 성능을 나타내던 기학습 언어모델에 대규모 지식그래프에 등장하는 개체 정보를 함께 학습함으로써, 의미학적 정보를 반영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본 논문이 제시하는 방법을 통해 기존 방법보다 기계 독해 분야에서 높은 성능향상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영역별 개체명 사전 자동 구축을 위한 상호 중요도 계산 기법 기반의 집합 확장 시스템 (The Set Expansion System Using the Mutual Importance Measurement Method to Automatically Build up Named Entity Domain Dictionaries)

  • 배상준;고영중
    • 인지과학
    • /
    • 제19권4호
    • /
    • pp.443-458
    • /
    • 2008
  • 오늘날 웹페이지(Web page)는 많은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정보추출(information extraction) 등에서 유용하게 사용되는 개체명(named entity)을 웹(Web)을 이용하여 영역별로 자동으로 추출하는 집합 확장 시스템을 제안한다. 그 방식은 전체적으로 3단계의 구성을 가진다. 우선 사전을 구축하고자 하는 영역의 몇 개의 원소를 씨앗단어로 이용하여 웹페이지를 검색한다. 다음으로 검색되어진 웹페이지와 씨앗단어 정보를 이용하여 패턴 규칙을 추출한다. 추출된 패턴 규칙을 다시 웹페이지에 적용하여 개체명 후보들을 추출하고 최종적으로 추출된 후보들과 웹페이지 사이의 상호 중요도를 재귀적으로 계산하여 개체명 후보들에 대한 순위를 정하게 된다. 이 방식의 실험은 한국어와 영어로 나누어서 실험을 수행하였고, 한국어는 3개의 영역에서, 영어는 8개의 영역에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한국어에서는 78.72%의 MAP를 얻을 수 있었고, 영어에서는 96.48%의 MAP를 얻었다. 특히, 영어 개체명 인식에서의 성능은 구글에서 제공하고 있는 구글셋의 결과보다도 높은 성능을 보였다.

  • PDF

Location Based Concierge Service with Spatially Extended Topology for Moving Objects

  • Lee, Byoung-Jae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7권4호
    • /
    • pp.445-454
    • /
    • 2009
  • 이 연구는 센서 네트워크를 통한 단순한 정보 전달을 넘어서서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의 진정한 상황인식 위치 기반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제안을 하고자 한다. 그러기 위해, 이 글에서는 점 개체의 영향력 범위에 대한 새로운 형식의 접근이 소개된다. 여기서, 영향력 범위란 점 개체 주변에 점 개체로 인해 어떤 현상이나 사건이 발생한 가능성이 있는 구역을 설정한 것을 뜻한다. 점 개체는 이러한 영향력 범위설정을 통해 공간적으로 확장 될 수 있다. 이러한 점 개체를 Spatially Extended Point (SEP) 개체라 한다.SEP와 그 주변 환경 사이의 위상적 관계의 점진적 변화 조합은 그 개체의 정성적 공간 행위를 표현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렇게 표현된 정성적 공간 행위들은 좀더 구체적이고 적합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데 필요한 기준으로 쓰일 수 있다.

  • PDF

국가 차원의 PID 기반 연구 개체의 식별 및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dentifying and Utilizing PID-Based Research Entity at a National Level)

  • 김규환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215-237
    • /
    • 2024
  • 본 연구는 영국, 독일, 캐나다, 일본, 중국, 호주 등 주요 국가의 운영 사례 조사를 토대로 연구 개체 및 PID 선정안과 PID 컨소시엄 구축 및 운영 전략을 제안하였다. 연구 개체 및 PID 선정 기준은 '연구생명주기'와 'PID 인프라 성숙도' 2가지를 제시하였다. 2가지 선정 기준에 따른 연구 개체-PID 쌍은 초기 단계에는 '연구자-ORCID', '출판물-DOI', '데이터-DOI', '기관-ROR', '보조금-DOI', '프로젝트-RAiD'를 고려하고 이후 단계에서는 PID 인프라 성숙도가 신흥 단계에 있는 다른 연구 개체와 PID로 확장해 나갈 것을 제안하였다. PID 컨소시엄 구축 및 운영 전략은 다양한 PID 이해관계자의 참여를 독려하고 국내·외 PID 기관과의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PID에 대한 인식 제고와 활용율 증대를 위한 교육 및 홍보 활동을 추진하고 정책적 지원과 재정적 안정성을 확보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국내 연구 개체들이 글로벌 차원에서 가시성과 접근성을 확보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