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개인적 변인

검색결과 855건 처리시간 0.035초

남아의 권위주의적 의사소통 관련변인 (Influential Variables on the Husbands' Authoritarian Communication)

  • 김순옥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3권1호
    • /
    • pp.157-167
    • /
    • 1995
  • 본 연구는 평등한 부부관계로의 변화를 요구하는 현대사회에서 부인과의 대등하고 민주적인 의사소통을 저해하고, 부인의 정신.신체증상 호소라든가 가족문제를 야기시키는 한국남편의 전형적인 권위주위적 의사소통에 대한 관련변인을 밝혀내어 부부간의 민주적인 관계형성을 도모하고자 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서울시에 거주하는 328쌍의 부부를 대상으로 남편의 권위주의적 의사소통에 대한 관련변인을 살펴본 결과 개인적 변인으로 자아존중감 성역할태도, 부부간의 변인으로 부부간의 의사결정권, 부부간의 학력차, 부부간의 연령차, 가족환경적 변인으로 남편의 성장가족에서 친부의 권위주위적 행동, 주관적인 사회계층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으며, 개인적 변인, 부부간의 변인, 가족환경적 변인은 남편의 권위주의적 의사소통의 전체분산 중 14.5%, 11.3%, 11.5%를 각각 설명해 주고 있다. 개인, 부부간, 가족환경 변인을 모두 고려하였을 때는 자아존중감, 부부간의 의사결정권 친부의 권위주의적 행동, 성역할 태도, 부부간의 학력차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으며, 이들 변인은 남편의 권위주의적 의사소통의 전체분산 중 25.2%를 설명해 주고 있다.

  • PDF

신발 추천 서비스를 위한 딥러닝 기반 발 변인 추정 (Deep Learning Based on Foot Parameters Estimation for Shoe Recommendation Service)

  • 김운용;윤정록;김회민;전성국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1년도 제64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9권2호
    • /
    • pp.549-550
    • /
    • 2021
  • 사용자에게 맞춘 개인화된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의 발전으로 개인화의 수요는 점점 늘어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또한 개인 맞춤형으로 전문 스포츠 선수화, 족부 장애우를 위한 정형 제화 등 전문적인 기능 중심의 개인화나 패션을 위한 스타일 중심의 개인화 등 개인 맞춤 제작 신발을 제작할 때 기존의 아날로그적인 방식으로 발 변인을 측정했을 때 각 변인에 대해 기준점이 명확하지 않아서 재현성이 떨어진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자를 이용해 간단히 측정 가능한 기본적인 발 변인 이용하여 다른 변인들을 학습하고 딥러닝을 이용해 추정하는 방법에 대해 서술한다. 이를 위해 20개의 발 변인을 휙득 하였고 그 중 6개의 기본적인 발 변인을 이용해 14개 변인을적합 방지를 위해 Dorpout을 적용해 학습하고 학습한 데이터를 이용해 학습하지 않은 데이터를 테스트해 각 변인별 결과를 보여준다.

  • PDF

개인, 교육기관, 사회적 변인이 사이버대 재학생의 중도탈락의도 결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ersonal, Institutional, Social Variables on Determination of The Cyber University Students' Dropout Intention)

  • 권혜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404-412
    • /
    • 2010
  • 본 연구는 사이버대학생의 개인적 변인, 교육기관 변인, 사회적 변인이 중도탈락의도 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 사이버대학생의 중도탈락동기를 낮추고 학업 지속 환경을 조성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A사이버대학에 재학생을 대상으로 편의 표집법(convenience sampling)을 이용하여 2009년 4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 500명에게 설문을 의뢰하였다. 수집된 336명의 자료 중 응답내용이 불성실하다고 판단되거나 중다반응으로 유효하지 않은 자료 총 32명 응답분량을 제외하여 본 연구에서는 총 304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for Winow 15.0을 활용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개인의 흥미변인이 중도탈락 의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기관 환경적 변인이 중도탈락 의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환경변인이 중도탈락 의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개인, 교육기관, 사회적 변인이 사이버 대학생의 중도탈락 의도에 미치는 영향 중 개인 변인만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중도탈락 의도를 결정하지 않게 하는 데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규 미디어 서비스/기기 레퍼토리 구조 결정 요인 (Determinants of Media Repertoires based on New Services and Technologies)

  • 전범수;박주연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49권
    • /
    • pp.20-38
    • /
    • 2010
  • 본 연구는 신규 미디어 서비스 및 기기 레퍼토리 결정 요인 및 이에 따른 레퍼토리 이용 집단 간 판별 요인들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규 미디어 서비스 및 기기 이용 다양성 결정 요인을 살펴보기 위해 혁신성, 개인연결망, 사회적 영향력, 인구사회 변인, 미디어 이용 정도 등을 선행 변인으로 투입한 회귀모델을 적용한 결과 개인 연결망이나 사회적 영향력 변인, 인구사회학적 요인 및 미디어 이용 정도 변인들 모두 부분적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설명 변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신규 미디어 서비스 및 기기 채택 또는 비채택 이용자를 판별하는 요인들을 살펴본 결과 신규 미디어 서비스는 지상파TV 시청 정도와 연령, 가처분 소득 등이 유의미했으며 신규 미디어 기기는 소득 변인을 포함해 신문, 인터넷, 라디오 이용 정도가 유의미한 판별 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신규 미디어 서비스 및 기기를 다수 채택/비채택하는 이용자 판별 요인들을 살펴본 결과 신규 미디어 서비스는 개인연결망이나 사회적 동질감, 그리고 개인별 가처분 소득 등이 유의미한 판별 요인으로 나타났다. 반면 미디어 기기 다수 채택/비채택 판별 요인은 개인 연결망 및 사회적 동질감, 성별이나 연령, 개인별 가처분 소득 등으로 나타났다.

  • PDF

만 4세 유아의 야간수면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분석 (An Analysis on Factors Influencing Nocturnal Sleep Duration in 4-year-olds)

  • 유연지;김진욱
    • 육아정책연구
    • /
    • 제12권3호
    • /
    • pp.55-76
    • /
    • 2018
  • 본 연구는 2012년 전국 규모로 실시된 5차 한국아동패널의 자료를 활용하여 만 4세 유아의 개인적 특성요인(기질), 가족특성변인(모 취업여부), 생활시간변인(육아지원기관 이용시간, 기관에서의 낮잠시간, 전자매체 사용시간)이 유아의 야간수면시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와 가장 높은 설명력을 가지는 변인이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유아의 개인적 특성변인, 가족특성변인, 생활시간변인이 야간수면시간과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적 설명력은 생활시간변인, 가족특성변인 순으로 높았으며 개인적 특성변인은 유의하지 않았다. 이에 따라 유아가 가정에서 충분한 야간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부모는 적절한 생활환경을 제공해 주어야하며 자녀의 양육을 지원하기 위해 가정과 기관의 연계 강화, 부모의 근무시간 유연제 등의 제도 확산과 시행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및 부적응 행동 : 유아의 개인적 변인과 어머니의 심리사회적 변인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Personal and Parental Variables on Young Children's Daily Stress Levels and Maladjustment Behaviors)

  • 이숙;김수미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1-12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 relative influences of individual variables (sex, age, temperament) and mother's psychosocial variables (maternal attitude, parenting stress, marriage satisfaction) on daily stress levels and maladjustment of young children attending at daycare centers. Subjects were 224 pairs of children and their mothers, and 18 teachers from 5 child-care centers in Gwangju City. Children were tested individually using 22-item daily stress inventory with illustrations which described certain stressful situations. Questionnaires were also administered to mothers and teachers.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Cronbach's $\alpha$,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WIN 14.0) program.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Overall average score of children's daily stress was equivalent with the median. 'Blame and attack situation' and 'anxiety and frustrated situation' were perceived as more stressful for children than 'lose self-respect situation'. Overall average score of children's maladjustment was lower than the median. 'Overactivity' was highest among subscores of maladjustment. Age was the only significant influential factor on children's daily stress level. Sex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on 'overactivity', 'aggression', and 'regression' of young children. Activity and maternal stress were the second most influential factor on 'overactivity' and 'aggression', respectively.

사회복지 종사자의 직무수행에 관한 다수준 연구 (Social Work Practitioner's Job Performance - a Multi-Level Analysis -)

  • 조성우;엄명용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1권4호
    • /
    • pp.137-161
    • /
    • 2009
  • 사회복지행정 연구에서는 직무수행의 결정요인으로서 주로 종사자의 지식, 기술과 같은 개인차 변인에 큰 관심을 가져왔지만, 점차 조직 환경 이론의 연구관점이 사회복지행정 연구에 활발히 도입되면서 개인의 수행연구에서도 개인차 변인이외에도, 팀수준이나 조직수준의 변인들이 주목받기 시작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추세를 반영하며, 사회복지 종사자의 직무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팀, 조직 변인의 영향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개인변인으로는 지식, 기술, 만족, 성격, 비생산적 행동이 투입되었고, 팀이나 조직수준의 변인으로는 상황적 제약, 조직공정성, 직무특성, 정부의존성, 조직간 협력이 투입되었다. 전국 23개 사회복지조직에서 활동하는 314명의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직무수행(과업수행, 맥락수행)에 개인차 변인, 팀 변인, 조직변인이 다양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아동의 개인적·환경적 특성과 또래괴롭힘 (Personality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ho are Bullies and/or Victims)

  • 서미정;김경연
    • 아동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93-108
    • /
    • 2004
  • This study investigated personality and environmental variables influencing peer bullying by sex and by differences between bullies, victims, bully-victims, and normal children. Findings were that the proportion of the total sample involved in peer bullying was 47.88%. Of the bullying children, 38.15% were bully-victims, followed by victims and bullies. The bullying of both boys and girls was influenced by exposure to violence, delinquent friends, and peer support. Bullies had higher levels of aggression and exposure to violence than normal children and higher levels of peer support than victims. Victims had higher levels of delinquent friends and exposure to violence than normal children. Bully-victims showed higher levels of aggression, immaturity, delinquent friends, exposure to violence and lower levels of peer support than normal childre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