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개인인증

검색결과 976건 처리시간 0.034초

심전도 신호를 이용한 개인 바이오인증 기술 융합과 smart key 기능이 탑재된 wearable device 개발 (Development of wearable device with smart key function and convergence of personal bio-certification and technology using ECG signal)

  • 방걸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5호
    • /
    • pp.637-642
    • /
    • 2022
  • 심전도(ECG, electrocardiogram) 신호를 이용한 본인 인증기술은 기존의 바이오 인증을 대체할 수 있는 본인 인증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디지털 전자키를 인식하는 장치를 차량에 탑재하여 자동차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게 하고, 스마트폰 등을 활용해 자동차의 차 문을 잠금 또는 해제하거나, 시동을 걸 수 있는 기능을 스마트폰을 통해 차량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스마트키는 보안에 취약하여 이를 해결하고 운전자의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해 바이오 인증기술을 적용한 스마트키를 연구하였다. 심전도를 이용한 개인인증 알고리즘을 시계 형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탑재하여 바이오인증을 하고 개인인증이 완료되면 자동차의 스마트키 기능을 할 수 있었다. 인증율 95%를 달성하였다. 운전자는 스마트키를 소지할 필요가 없고, 분실 및 해킹에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대안으로 스마트키를 제안한다. 심전도를 이용한 개인 인증기술을 활용한 스마트키는 개인인증을 통해 다양한 분야에 적용이 가능하고 향후 심전도를 이용한 본인확인 장치 등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할 계획이다.

개정 고시에 따른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PIMS)인증의 주요변화

  • 전진환;조강래
    • 정보보호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20-23
    • /
    • 2013
  • 방송통신위원회는 2011년부터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PIMS)를 시행하고, 심사를 통해 신청기업이 개인정보보호를 위해 일정수준 이상의 관리적 기술적 물리적 대책을 수립 및 운영하고 있을 경우 인증을 부여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이용자 및 정보주체는 해당 기관의 인증취득 여부를 통해 개인정보의 누출가능성을 최소화하고 효과적으로 보호하고 있음을 갈음하는 수단이 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개정 정보통신망법에 따라 지난 9월11일 방통위 의결을 통과한 개정 PIMS 고시에서의 주요하게 변화된 내용 중 민간인증기관 지정, 인증심사 항목의 개선에 대해 살펴보고, PIMS 인증을 준비 중인 기업의 이해를 돕고자 한다.

개인정보에 기초한 인증, 서명 및 키 분배 통합 시스템 (ID-based integrated cryptosystem for authentication, digital signature, and key distribution)

  • 이형철;하재철;문상재
    • 한국정보보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보호학회 1995년도 종합학술발표회논문집
    • /
    • pp.275-287
    • /
    • 1995
  • 개인정보에 기초한 암호법은 통신자간 인증문제를 극복하고 공개 키 화일을 제거할 수 있는 방안으로 많이 연구되고 있다. Ham-Yang은 AMV 서명 기법에 기반하여 사용자 인증, 디지탈 서명과 키 분배가 가능한 개인정보에 기초한 암호법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분석하고 Moon의 서명기법을 사용하여 개인정보에 기초한 사용자 인증, 디지탈 서명과 키 분배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 시스템의 안전성은 이산대수에 근거하며, 연산량과 시스템 구현 측면에서 효율적이다 대화형 간접 인증 키 분배 방식을 개선하였고 E-mail 등의 일방향 통신에 적합한 키 분배 방안을 제시한다

  • PDF

개인 인증 체계의 발전 방향 (Development Direction of Personal Authentication System)

  • 양기철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17-119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개인 인증 체계의 유형별 장단점을 살펴보고 개인 인증 시스템의 발전 방향을 제시한다. 현재 흔히 사용하고 있는 개인 인증 시스템은 텍스트 기반의 패스워드 시스템이다. 하지만 현재 대부분의 텍스트 기반 패스워드 시스템은 사용성이나 보안성이 취약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텍스트 기반 패스워드 시스템을 대체할 수 있는 개인 인증 체계가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 개발된 그래픽 패스워드 시스템을 예로 들어 텍스트 기반 패스워드 시스템을 대체할 수 있는 조건과 가능성을 찾아보고 개인 인증 체계의 발전 방향을 제시한다.

  • PDF

자체인증 개인식별정보 (Self-certified Identity)

  • 박성준;양형규;원동호
    • 한국정보보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보호학회 1994년도 종합학술발표회논문집
    • /
    • pp.9-13
    • /
    • 1994
  •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개념인 자체인증 특성을 갖는 개인식별정보 방식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식은 자체인증 공개키 개념을 개인식별정보에 적용한 방식이다. 그리고 자체인증 개인식별정보 방식을 사용하여 역설적인 id-based 암호시스템(id-based identification scheme, id-based 서명방식, id-based 키분배방식 등)을 구성하였다. 제안한 방식의 안전성은 고차잉여류 문제와 이산대수 문제에 근거하며, Schnorr 방식과 비슷한 효율성을 가지는 암호시스템이다.

  • PDF

메타마스크와 연동한 블록체인 기반 사용자 인증모델 (A Blockchain-based User Authentication Model Using MetaMask)

  • 최낙훈;김희열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119-127
    • /
    • 2019
  • 본 논문은 사용자 인증과 개인정보의 관리를 위해 중앙집중화된 서버를 사용하는 서비스 제공자들의 개인정보 탈취와 그로인한 개인정보 도용 문제의 해결을 위한 새로운 인증 모델을 제안한다. 탈중앙화 플랫폼인 블록체인을 통해 사용자 인증과 정보저장공간을 제공해 중앙집중화 이슈를 해결하며, 사용자별 대칭키 암호화를 통해 정보의 기밀성을 보장한다. 제안 모델은 퍼블릭 블록체인인 이더리움과 웹기반의 지갑 확장프로그램인 메타마스크를 이용해 구현되었으며, 사용자는 브라우저상에서 메타마스크를 통해 이더리움 메인네트워크에 접속해 스마트 컨트랙트에 암호화한 개인정보를 저장한다. 향후 사용자는 새로운 서비스 이용을 위해 자신의 이더리움 계정을 통해 서비스 제공자에게 개인정보를 제공하며, 이 과정은 가입이나 새로운 인증과정 없이 사용자 인증과 개인정보를 제공한다. 서비스 제공자는 별도의 인증 방식 및 개인정보의 저장을 위한 비용을 절감하고 개인정보유출로 인한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개인 맞춤형 사용자 인증 시스템 설계 (Design of the Personalized User Authentication Systems)

  • 김성열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143-148
    • /
    • 2018
  • 본 논문은 사용자 인증시 사용할 패스워드 키워드를 사용자가 맞춤형으로 정의하여 사용자 인증시 다단계로 사용될 수 있는 개인 맞춤형 사용자 인증 시스템(PUAS)을 설계 제안한다. 제안 개념은 사용자 인증시 서버 시스템 접근시 취득한 패스워드를 다시 사용하는 수동적인 재전송 공격에 강력히 대처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증시 사용될 패스워드 키워드를 사용자가 스스로가 맞춤형으로 정의한다. 인증단계도 단일단계에서 다단계로 확장할 수 있도록 설계한다. 또한 사용자가 정의한 패스워드 관련 정보를 시스템 내에 임의의 암호화된 장소에 저장하도록 설계하여 네트워크의 불법적인 접근을 무력화하도록 설계 제안한다. 따라서 설계 제안한 시스템을 이용하면 침입자가 시스템에 접근하더라도 개인만이 갖고 있는 독특한 개인정보를 통한 패스워드 키워드를 생성하여 개인인증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인증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장소를 알 수 없어 어떠한 수동적 재전송 공격이라도 무력화할 수 있다는 강력한 보안 특성을 갖는다.

지문 생체알고리즘을 통한 개인 인증 연구 (Thank with CA method of biologic algorithm)

  • 정지문;신정길;장동진;최성
    • 한국데이타베이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데이타베이스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대회 E-Business와 정보보안
    • /
    • pp.253-258
    • /
    • 2000
  • 오늘날 많은 국가들이 전자상거래 부문을 세계 여러 국가들 보다 빨리 선점하기 위해서 많이 노력하고 있다. 그리고 전자상거래가 활성화된 국가에서는 앞선 기술로서 가상공간에서의 자국의 위치를 높이고 있다. 우리나라도 전자상거래가 활성화되는 과정에 있다. 그러나 가상공간 즉, 인터넷에서 해결되지 못한 문제들이 많이 있다. 그 중에서도 세계 여러 나라들도 해결하지 못한 문제 바로 보안에 관한 문제이다. 인터넷에서의 보안문제는 여러 가지 문제들이 있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개인 인증에 관하여 중점적으로 다루려 한다. 개인 인증 방법에는 PKI 개념에서 RSA 암호알고리즘과, 전자서명 등이 있다. 그리고 공인 인증기관에서 개인에 대한 인증을 해 주는 경우가 있다. 현재 이러한 인증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고, 문제점과 함께 해결방안으로 생체알고리즘을 통한 인증 방법, 특히 지문에 대해서 개인 인증 방법을 다루려 한다. 특히 지문을 통한 생체알고리즘은 패턴 인식방향 보다 이미지에 대한 직접적인 의미 부여를 통해서 전송속도와 전송량을 줄이려고 노력했다. 이런 방식으로 얻어낸 이미지를 전자주민 카드 지문 시스템과 상호 호환이 될 수 있도록 연구하였다.

  • PDF

이노.메인비즈 인증기업

  • 김상호
    • 프린팅코리아
    • /
    • 제7권9호
    • /
    • pp.56-71
    • /
    • 2008
  • 현대를 특징짓는 말 가운데 "자격증"의 시대라고 말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는 개인의 능력을 객관적으로 측정하고 전문성을 강조하게 되었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이런 경향은 더욱 확산되어 개인들의 자격증 취득 열풍을 넘어 기업들도 여러 자격증(인증)을 받는 것이 보편화되는 시대가 되었다. 회사들이 취득하고자 하는 인증에는 수십여 개에 달하고 있으나 근래 들어 두각을 드러내는 것으로 이노비즈(기술혁신형 중소기업 인증)와 메인비즈(경영혁신형 중소기업 인증)를 들 수 있으며 인쇄업계도 인증을 받거나 신청하는 기업들이 줄을 잇고 잇다. 이처럼 기업들과 관련된 각종 인증이 크게 늘어남에 따라 취득하고자 하는 인증의 정확한 내용과 의미, 취득 이후에 따르는 지원책 등을 알아보고 자사에 적합한 인증이 무엇인지 등을 검토, 확인하고 신청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었다. 근래 들어 중소기업들의 이목을 끌고 있는 이노비즈와 메인비즈를 소개한다.

  • PDF

개인키 위탁관리 서버를 이용한 전자의무기록 지문인증 모델 (An Fingerprint Authentication Model of ERM System using Private Key Escrow Management Server)

  • 이용준;전태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1-8
    • /
    • 2019
  • 의료정보는 환자에게 중요한 개인정보로써 반드시 보호되어야 하는 중요 정보이다. EMR((Electronic Medical Records) 시스템은 개인정보와 의료정보가 유출될 경우, 환자의 사생활 침해 등 매우 심각한 피해를 초래할 수 있어 EMR 시스템의 의료정보는 사용자 접근에 관한 제어 및 통제 강화 등 높은 보안성이 요구되는 시스템이다. 특히 의료인이 전자의무기록에 접근할 때, 보안이 강화된 신원확인에 대한 인증방식이 반드시 필요하다. 그러나 기존의 공인인증서 기반의 인증모델은 개인키 관리, 권한위임 등의 문제로 인해 전자의무기록의 보안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전자의무기록(EMR) 시스템 접근 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보안이 강화된 지문인식 기반 인증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한 인증 모델은 PEMS(Private-key Escrow Management Server)를 이용한 EMR 지문인증 모델로서, 개인키 위탁 프로토콜과 개인키 인출 프로토콜을 적용하여, 개인키 관리와 권한위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제안한 인증 모델은 성능 실험을 통해 기존의 공인인증서 기반 인증에 비해 수행시간 단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기존 전자서명 비밀번호 방식을 대체 가능하며,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가된 장점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