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개인색채이미지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34초

개인색채이미지에 기반한 통합적인 패션색채디자인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n Integrated Color Design System for Fashion Based on Personal Color Image)

  • 김영인;김희연;한은주
    • 복식
    • /
    • 제60권7호
    • /
    • pp.61-73
    • /
    • 2010
  •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 fashion color design system based on personal color and sensorial images. This web-based system has a parallel structure which a user can search her own personal color, sensorial, and fashion images. The fashion image was presented according to the type of personal color image and sensorial image: futuristic fashion image from alluring image on all of personal color images; elegant fashion images from calm with pure/splendid images or faint/calm with alluring images; modern fashion image from pure/calm with alluring images or faint with lively images; plain fashion image from plain images with all personal color images but pure image; romantic fashion image from calm image with all personal color images but calm image. Fashion color and color combination palettes based on personal color images were presented with the each of those fashion images.

식품색이 맛의 연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초콜릿 색채에 의한 맛 연상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Food Colors on the Associations of Flavor -with the Association of Flavor by Chocolate′s Colors-)

  • 김유진;권은숙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69-75
    • /
    • 2001
  • 식품의 맛은 미각, 후각, 시각, 청각, 촉각에서 느낀 여러 가지 인상과 개인의 경험이나 기호가 복합적으로 적용되어 인식된다. 특히 맛을 결정하는 영향 요인 중에서 시각을 통해 인지하는 색은 실제 맛을 지각하기 전에 맛에 대한 이미지를 연상시킴으로써, 식품 선택에 결정적인 영향을 준다. 따라서 식품색을 적용함에 있어 식품 자체의 맛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색을 활용함으로써, 소비자들이 좀더 관능적으로 선호할 수 있는 식품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들이 특정 식품을 선택하여 구매하고자 할 때 인지하게 되는 맛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도구로서 색채를 사용하기 위해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사례연구는 초콜릿색에서 연상되는 맛에 관한 웹 설문을 통해 진행되었다.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식품색에서 연상하게 되는 맛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추출하고, 초콜릿 맛의 종류와 느낌의 정도에 따른 주요 색채의 경향성을 도출함으로써 시각을 이용하여 보다 정확하게 초콜릿 맛의 공감각적 특성을 전달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안하였다.

  • PDF

이미지의 색채 감성속성을 이용한 대표감성크기 정량화 알고리즘 (Represented by the Color Image Emotion Emotional Attributes of Size, Quantification Algorithm)

  • 이연란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39호
    • /
    • pp.393-412
    • /
    • 2015
  • 사람의 이미지를 보고 느끼는 감성인식은 환경, 개인적 성향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한다. 그리하여 이미지 감성인식을 숫자로 제어하려는 감성컴퓨터 연구에 집중되고 있다. 그렇지만 기존의 감성컴퓨팅 모형은 숫자화된 객관적이고, 명확한 측정이 미흡한 상황이다. 따라서 이미지 감성인식을 감성컴퓨팅을 통해 정량화하고, 객관적인 평가 방식의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본 논문은 이미지 감성인식을 계산 방식에 따라 숫자화한 정량화로 감성크기를 표현했다. 그리하여 이미지 감성인식의 주요한 속성인 색채를 구성인자로 적용한다. 또한 디지털 색채 감성컴퓨팅을 적용하여 계산하는데 연구의 중점을 두었다. 이미지 색채 감성컴퓨팅 연구방식은 감성속성인 색상, 명도, 채도에 중요도에 따른 가중치를 감성점수에 반영한다. 그리고 감성점수를 이미지 감성계산식에 적용하여 쾌정도(X축), 긴장도(Y축)를 숫자 방식으로 계산한다. 거기에 쾌정도(X축), 긴장도(Y축)의 교차하는 위치점을 이미지 감성좌표의 감성점으로 위치한다. 이미지 색채 감성좌표는 러셀의 핵심 효과(Core Affect)를 적용하여 16가지 주요대표감성을 기반으로 한다. 이미지 감성점은 기준의 위치에서 대표감성크기와 감성상관관계를 숫자화하고, 이미지 감성을 정량화한다. 그리하여 이미지 감성인식은 숫자 크기로 비교한다. 감성점수의 대소에 따라 감성이 변화함을 증명한다. 비교 방식은 이미지 감성인식을 16개 대표감성과 연관된 감성의 상위 5위로 구분하고, 집중된 대표감성크기를 비교 분석한다. 향후 감성컴퓨팅 방식이 사람의 감성인식과 더 유사할 수 있도록 감성계산식의 연구가 필요하다.

개인의 색채이미지 유영에 의한 국내 색조화장품의 스토리 개발과 색채 계획 (A Development of the Color Story and Color Scheme for Domestic Makeup Product Based on the Personal Color Images)

  • 김영인;주미영;이현주;김희연
    • 복식
    • /
    • 제55권6호
    • /
    • pp.1-14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akeup color range for developing the new makeup product line of domestic cosmetic brand, and suggest the special color stories and color palettes appropriate to characteristics of brand image For this study, personal color images are analyzed and classified through the literature survey of Korean womens' skin rotor like korean PCDS and japanese PCS. Also, a total of 3879 colors were selected from the 18 cosmetic brands and were analyzed by hue/tone color system. Based on the color analysis, the color range for makeup products are determined, and the typical colors of 4 personal color images are suggested. As a results, personal color images are classified into 4 types: DEW of p, lt, b tone; FLASH of s, v tone; MIST of ltg, g, sf, d tone; TERRA of dk, dkg, dp tone. we developed the color stories through five senses and lifestyles based on the consumers' emotion, and the rotor palettes suitable to each type of personal color images are developed.

대학생의 색채 이미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lor Image of University students)

  • 안옥희;손주희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1-7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230명의 대학생올 대상으로 색채의 이미지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여 색채 자체가 가지고 있는 이미지를 분명히 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대학생의 색선호는 파랑, 흰색에 대한 선호정도가 높으며, 혐오색에 있어서는 개인차가 크다는 것을 알았다. 그리고 봄은 노랑, 여름은 파랑, 겨울은 흰색올 계절색으로 생각하고 있으나, 가을의 이미지색은 선택익 폭이 넓었다. 흰색-회색一검정의 무채색은 각각 고유의 이미지를 가지고 있으며, 검정은 공정적 이미지가 나타났다. 그리고 유채색의 경우에는 12개의 색상 중 빨강, 노량, 파랑, 연두만이 고유의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냈다. 특히, 빨강은 기존연구와 같은 이미지들 가지고 있으며, 노링은 일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파랑온 기존의 연구결과와 상반된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광원색의 1차색(빨강, 녹색, 파랑) 에 포함되는 녹색은 고유의 이미지를 나타내지 않았다.

  • PDF

감성어휘를 이용한 감성이미지 수집 (Collecting Affective Images using Affective Word List)

  • 류기곤;임희석;남기춘;김현철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10년도 제22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114-117
    • /
    • 2010
  • 특정 대상 또는 외부 자극에 대해 반사적이고 직관적으로 발생하는 느낌으로 정의되는 감성은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개개인이 서로 다른 반응을 보이는 특징을 가진다. 이러한 감성은 맞춤형, 적응형 및 개인화된 서비스를 요구하는 현대사회에서 반드시 필요하고 연구되어야 하는 대상이다. 하지만, 감성은 외부 자극에 따라 빠르게 변하고 객관성을 유지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복합적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측정하거나 표현하기가 매우 어렵다. 시각정보는 감성을 이해하고 전달하는 데 큰 비중을 차지하며, 대상에 대한 종합적인 정보를 전달하여 빠르게 인지하고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을 준다. 그 중 색채정보는 대상의 객관적인 특정, 심리적 속성 및 사회적 배경을 반영할 수 있어 복합적인 감성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전달한다. 많은 연구를 통해 감성과 색채정보 간의 관계를 생성하고 정의하였지만, 단일 시각정보로 감성을 표현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종합적인 시각정보를 고려한 감성연구를 제안하기 위해 대용량의 감성어휘와 이미지를 수집하였다. 감성어휘는 The Center for the Study of Emotion and Attention(CSEA)에서 생성한 균형 감성어휘 중 273개를 사용하였고 감성이미지는 객관성과 공통성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자의 참여가 활발하고 이미지에 부착된 태그가 비교적 정확한 Flickr를 사용하여 수집하였다. 감성어휘 당 약 500개의 이미지를 수집하고자 시도하였고, 총 130,944개의 감성이미지 후보를 수집하였다. 한 번 수집된 이미지는 중복을 피하였고, JPEG형식으로 저장되어 있다. 또한, 각 이미지에는 사용자 태그가 평균적으로 약 25개가 포함되어 있고, 총 2,l47,645개의 태그를 수집하였다.

  • PDF

승용차 영상광고에 나타난 색채적용 분석에 관한 연구 (The Research about Color Image Analysis Shown in Automobile Video Advertisement)

  • 강민구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17호
    • /
    • pp.147-161
    • /
    • 2009
  • 색채는 디자인 요소에 있어서 감각적이며 감성적인 동시에 시각적으로 우선시 되는 비언어적 상징이기도 하다. 제품의 선택에 있어서 소비자에게 우선되어지는 중요한 요소이고, 브랜드에 있어서 차별화된 전략 및 일관된 통합성을 주는 상징이 되기도 한다. 광고에서 색채는 장기적인 브랜드 아이덴티티(identity) 측면뿐만 아니라 제품의 이미지와 광고의 컨셉을 표현하는 중요한 도구이다. 본 논문의 주제는 광고 크리에이티브의 발전을 위해 승용차 영상광고의 주도적 색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2000cc급이하 경 소형승용차 광고의 색채적용은 명도와 채도가 높고 밝은 분위기로 권위보다는 개인의 개성을 중시, 파스텔조의 색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2000cc급 이상의 중 대형승용차 광고는 전반적으로 명도와 채도가 낮고 어두운 색채가 대세를 이루고 있는 경향을 볼 수 있다. 경 소형승용차 광고는 실용적 가치를 중시하는 제품외형에 초점을 맞추었고, 중 대형승용차 광고는 상징적 이미지에 초점을 맞추어 광고표현을 하는 차이를 느낄 수 있다. 광고에 사용되는 색채는 곧 소비자의 감성을 대변하는 것이다. 영상광고에서 소구 대상이 누구냐에 따라서, 또한 어떤 상품이냐에 따라서 색채의 컨셉이 설정이 되어야 하며, 또 그에 따른 색채에 의한 감성을 파악하여 광고 전략에 맞게 활용될 때 브랜드와 제품의 가치를 높일 수 있다.

  • PDF

색채심리치료를 위한 VR색채영상의 영향 (The Influence of VR Color Image for Color Psychotherapy)

  • 홍기윤;이언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0호
    • /
    • pp.376-384
    • /
    • 2017
  • 색채치료는 고유의 진동과 주파수를 가진 색을 이용하여 심리적인 문제를 치료하는 진단 방법이다. 색은 주관적인 심리가 강하여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색이나 안정이 되는 색을 봄으로서 심리 안정에 효과를 줄 수 있다. 또한 감정에 다양한 영향을 주는데, 이러한 감정을 평가하기 위해 뇌파를 통해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스트레스 설문지(BEPSI-K)에 응답한 뒤, 빨간색과 파란색 두 가지의 VR색채영상을 시청하였다. 이 때, 뇌파를 통해 측정 가능한 4가지의 감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파악하여 실시간 변화를 분석하였다. 또한 스트레스 설문지를 사용하여 감정 지수를 수치화하였고, 3D 가상현실 상에서 색채 이미지 영상이 감정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분석하였다.

식품색이 맛의 연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초콜릿 색채에 의한 맛 연상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Food Color on the Association of Flavor - with the Association of flavor by Chocolate's Colors)

  • 김유진;권은숙
    • 감성과학
    • /
    • 제4권2호
    • /
    • pp.25-32
    • /
    • 2001
  • 식품의 맛은 미각, 후각, 시각, 청각, 촉각에서 느낀 여러 가지 인상과 개인의 경험이나 기호가 복합적으로 적용되어 인식된다 특히, 맛을 결정하는 영향요인 중에서 시각을 통해 인지하는 색은 실제 맛을 지각하기 전에 맛에 대한 이미지를 연상시킴으로써 식품선택에 결정적인 영향을 준다. 따라서, 식품색을 적용함에 있어 식품 자체의 맛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색을 활용함으로써 소비자들이 좀더 관능적으로 선호할 수 있는 식품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들이 특정식품을 선택하여 구매하고자 할 때 인지하게 되는 맛의 종류와 느낌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도구로써 색채를 사용하기 위해 문헌조사를 바탕으로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사례연구는 초콜릿색에서 연상되는 맛에 관한 웹설문을 통해 진행되었다. 설문결과를 바탕으로 식품색에서 연상하게 되는 맛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추출하고, 초콜릿의 맛의 종류와 느낌의 정도에 따른 주요 색채의 경향성을 도출함으로써 시각을 이용하여 보다 정확하게 초콜릿맛의 공감각적 특성을 전달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안하였다.

  • PDF

여성정치지도자의 패션컬러를 통해 본 휴먼이미지 연구 (Human Image Analysis Through Fashion Color of Female Political Leaders)

  • 김세아;장성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247-256
    • /
    • 2017
  • 21세기는 사람의 이미지를 디자인하는 시대가 되었다. 사람의 이미지를 디자인함으로써 개인 내면의 숨겨진 능력을 밖으로 표출시켜 줄 수 있다. 현대사회는 빠르게 변화되고 이러한 사회는 이제 빠르고 복잡함보다는 배려와 공감, 이해심, 소통의 여성 리더십이 새로운 원동력으로 주목받고 있다. 세계적으로 큰 기업에서는 여성 최고 경영자가 선출되는 것이 빈번할 뿐만 아니라 북유럽에서는 여성 국회의원의 수가 40%를 육박하고 있다. 여성리더십의 향상과 함께 여성 지도자의 패션은 주목받고 있으며 장소와 상황에 적합한 패션 컬러는 여성 지도자에게 중요한 이미지 전략 중 하나로 쓰여 진다. 본 연구는 시각 이미지이자, 감각 언어인 컬러 이미지를 통해 여성 정치 지도자의 패션을 분석하고 연구하고자 한다. 그리고 여성 지도자들이 패션컬러를 통해 제시하는 휴먼이미지를 분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