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개방형 수학 문항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17초

개방형 문항에 대한 중학교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반응 연구

  • 이강섭;황동주;서종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17권
    • /
    • pp.181-190
    • /
    • 2003
  • 이 연구에서는 이강섭 ${\cdot}$ 황동주 ${\cdot}$ 서종진(2003)의 자료를 추가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이 검사에 참여한 모든 학생들이 0${\sim}$80% 정도의 성취도를 보이고 있으므로 개방형 문항이 수학 창의성을 변별하거나 수학 영재를 판별하는 도구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둘째, 개방형 문항은 학년별 (중1 및 중2)차이는 유창성과 문항 2를 제외하고는 무관하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셋째, 집단별(일반학생 및 영재학생)차이는 p<.01 수준에서 문항 1에서 문항 5까지의 모든 문항과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다.

  • PDF

수학과 창의성 평가에서 개방형 문항의 특성과 중학교 학생들의 반응유형에 관한 연구

  • 이강섭;황동주;서종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16권
    • /
    • pp.201-215
    • /
    • 2003
  • 이 연구에서는 창의적인 문제해결능력을 검사하는 도구로 널리 알려진 개방형 문항 5 문제를 수정 또는 번역하여 중학교 2학년 학생들에게 적용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검사도구에 대한 양호도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항 내적 일관성 신뢰도(Cronbach ${\alpha}$)의 계수는 0.8이다. 둘째, 문항반응이론에 근거한 문항의 적합도 지수는 모두 1.2미만으로서 분석모형에 적합한 문항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문항간의 난이도의 차이는 로짓트 점수가 0.6을 넘지 않은 범위에서 골고루 분포되어 있다. 셋째, 문항 신뢰도 지수가 모두 0.80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나 사용된 문항들은 서로 잘 분리되어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추정하고 변별하는데 무리가 없다. 학생들의 반응에 대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문항1에서 곡선을 이용한 반응은 영재학생들에서만 발견할 수 있었다. 문항2에 대한 각 반응의 독창성 점수는 모두 0이다 이것은 문항2가 널리 알려진 문제에 기인한 것으로 해석된다. 문항3은 영재학생들이 더 많은 반응을 보인 것으로 모든 반응이 독창성 점수를 부여받았다. 문항4에 대하여 일반학생들은 거의 반응을 하지 못하였다. 문항5는 대부분의 학생이 반응을 하였으며 반응의 종류도 가장 다양하였다.

  • PDF

수학적 창의성의 평가에 대한 고찰 (II)

  • 김부윤;김철언;이지성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19권1호통권21호
    • /
    • pp.241-251
    • /
    • 2005
  • 수학적 창의성의 평가에 대한 연구에 있어서 이를 직접 다루기보다는 주로 일반적 창의성에 기반을 두고 창의성의 증진이나 육성 방안의 검증을 위한 검사 문항의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수학적 창의성이 일반적 창의성과 다르게 가지는 요인을 언급하고, 수학적 창의성의 평가에 대한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평가목표를 제시하고 수학적 창의성의 하위 구성요소인 창의적 사고력과 창의적 태도에 대한 검사가 일관되게 연결되어, 궁극적으로 수학적 창의성의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본고에서는 우선 창의적 사고력에 대한 평가에 관하여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평가에서 개방형 문제가 중요함을 역설하면서 계속적인 문항 개발이 필요함을 강조하고자 한다.

  • PDF

고등학생용 수학불안 요인 측정 도구 개발 및 타당도 검증 (Development of a Tool to Measure Math Anxiety Factors for High School Students and Validation of Validity)

  • 강양구;한선영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6권2호
    • /
    • pp.201-227
    • /
    • 2022
  • 한국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적합한 수학불안 요인 측정도구를 개발하기 위하여 요인 탐색, 문항 개발,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의 단계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문헌분석을 통해 기 개발되어 사용되어온 문항을 수정 보완하고,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개방형 조사를 통해 사교육 및 수학 교수 방법에 대한 시대적 배경을 반영한 신규 문항을 추가하였다. 개발된 측정문항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타당도를 검증하였으며, 연구 결과, 수학교과의 특성에 기인하는 불안 요인이 구체화되었고, 모둠학습이나 발표수업 등과 같은 교수학습 방법 등이 반영되었다.

수학 학습과 관련한 고등학생들의 긍정심리분석 및 측정도구 개발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Positive Psychology Experience Inventory in Mathematics)

  • 홍진곤;김태국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2권1호
    • /
    • pp.69-99
    • /
    • 2012
  • 본 연구는 수학 학습과 관련한 긍정적인 심리체험의 구성요소 전반에 대한 특성을 보다 포괄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신뢰도와 타당도가 높은 검사 도구를 개발하여 학생들의 강점들을 각각 측정하고, 개개인이 가지고 있는 강점에 대한 자료를 학생들에게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여러 가지 문헌연구를 통하여 수학 학습과 관련한 긍정적 심리체험의 요소들을 추출하였고, 개방형 설문조사를 통하여 문헌연구의 결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이러한 과정을 거쳐 얻어진 요소들을 이용하여 106개의 문항으로 된 1차 예비 설문지와 이를 수정 보완한 66문항의 2차 예비 설문지를 만들어 꾸준히 검사지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여, 최종적으로 65문항의 '수학 학습과 관련한 학생들의 긍정적 심리체험 검사'를 위한 측정도구를 만들었다.

  • PDF

초등학생용 컴퓨터화 개방형 수학 시험 방식의 사용가능성 검증 (A Usability Test of a New Computerized Open-ended Math Testing Syste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 박주용;김용국
    • 인지과학
    • /
    • 제21권2호
    • /
    • pp.283-307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을 위한 새로운 수학평가 시스템을 만들고 그 사용가능성을 알아보았다. 이 시스템은 최근 제안된 구성적 선다형 방식(constructive multiple-choice testing system)을 수학에 확장한 것이다. 구성적 선다형은, 동일한 문제에 대해 먼저 개방형으로 반응한다음 다시 같은 문제를 선다형으로 반응하게 하는 방식이다. 그 장점은 과정 정보를 나중에 확인할 수 있고, 수험자는 시험 종료 직후 선다형에 근거하여 피드백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시스템은, 수학 문제의 출제, 계정 관리를 위한 관리자 모드와 학생들이 실제 풀이 과정을 메뉴바와 키보드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시험 모드로 구성되어 있다. 이 방식으로 시험을 보게 한 집단과 중간 과정을 지필식으로 보게 한 집단을 비교했을 때, 시험 시간은 길어졌지만, 선다형의 집단 간 평균 점수 상에서는 차이가 없음이 관찰되었다. 이 결과는 본 연구에서 구현된 개방형 수학 시험 시스템이 실제 교실 평가에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 PDF

아동 문학을 활용한 수학 수업이 수학적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Mathematics Instruction Using Children's Literature on Mathematical Communication)

  • 김은하;오영열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97-124
    • /
    • 2012
  • 이 연구는 아동문학을 활용하여 수학 수업을 운영하는 것이 학생들의 수학적 의사소통과 수학적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를 실행하기 위해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학 6-나 단계 교과 내용을 재구성하여 아동문학을 활용한 세 가지 유형의 수업방식을 10주간 20회에 걸쳐 현장에 적용하였으며, 그 효과를 수학적 의사소통 능력 측면과 수학적 태도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수학적 의사소통 능력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사전, 사후 개방형 문항 검사를 실시하여 t-test로 검증하였으며, 수학적 태도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사전, 사후 설문검사를 실시하여 t-test와 공변량분석으로 결과를 각각 검증하였다. 또한 학습 상황에서 일어나는 의사소통 과정 및 수학적 태도의 양상을 관찰하기 위해, 아동문학을 활용한 수업 과정을 캠코더로 촬영하여 그 중 각 유형별 수업을 임의로 선택하여 프로코콜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또한 학생들의 활동 모습을 관찰하고 인터뷰한 내용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아동문학을 수학 수업에 적용하면, 교과서 중심의 일반적인 수학 수업을 진행했을 때보다 학생들의 수학적 의사소통 능력과 수학적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융합적 과학수업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론적 신념과 실행 -조사연구 및 자기연구- (Elementary Teachers' Epistemological Beliefs and Practice on Convergent Science Teaching: Survey and Self-Study)

  • 이수아;전영석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59-374
    • /
    • 2020
  • 본 연구는 조사연구와 자기연구의 복합 형태로 구성되었다. 조사연구로서 초등 교사의 융합 수업 및 융합 지식에 대한 인식론적 신념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대표하는 사례로서 교사이자 연구자인 "나"를 연구 참여자로 하여 융합 수업을 실행하는 교사로서 나의 융합 수업과 융합 지식에 대한 인식론적 신념을 살펴보고, 속력을 주제로 수학-과학-체육의 가족 유사성에 근거한 융합 과학수업 프로그램을 지도한 양상을 자기연구로 실행하였다. 초등 교사들의 융합 수업과 융합 지식에 대한 인식론적 신념에 대한 개방형 검사 문항을 초등 교사 28명에게 서면 질의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연구에 참여했던 초등 교사들은 융합 수업을 교과 활용적 접근 또는 다학문적 접근의 융합으로 생각하였다. 융합 지식을 개별 교과의 집합체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융합된 지식은 학생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습득할 수 있다는 인식론적 신념을 가지고 있었다. 교사이자 연구자인 나 역시 비슷한 신념을 지니고 있었다. 자기연구를 수행하는 동안 나는 가족유사성의 범주별 분석 결과와 그것에 근거한 융합 지식 체계를 반영하기 위해 노력하였으나, 간학문적 접근의 융합 활동을 구현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수학의 단위, 비와 비율의 개념은 과학의 속력 개념과 연계되어 있어서 두 교과의 개념을 융합적으로 이해하는데 효과가 있었으며, 체육 활동은 수학과 과학 개념을 융합적으로 학습하기 위한 맥락을 제공하여 간학문적 접근의 융합 수업을 촉진시킬 수 있었다. 가족유사성에 근거한 간학문적 융합 지식 체계와 교사인 나의 인식론적 신념 간의 간극과 해결 양상에 대한 논의가 제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