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개방적 탐구

검색결과 108건 처리시간 0.025초

그래핑계산기를 활용한 탐구 학습 상황 분석: ‘수학적 의사소통/시각화’의 관점에서 (An Analysis of Inquiry Learning Situation Using Graphing Calculator: On the Viewpoint of Mathematical Communication/Visualization)

  • 강윤수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8권1호
    • /
    • pp.19-33
    • /
    • 2005
  • 이 연구는 수학적 재능이 있다고 판단되는 네 명의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그래핑계산기를 활용한 탐구학습을 진행하고, 그 과정에서 수집된 질적자료를 '수학적 의사소통/시각화'의 측면에서 분석하여 다음 사항들을 발견하였다. 첫째, 그래핑계산기는 탐구학습 과정에서 학생들끼리 또는 학생과 교사 사이의 수학적 의사소통을 증진시킨다. 둘째, 그래핑계산기는 탐구학습 과정에서 개방적인 분위기를 유도한다. 셋째, 그래핑계산기는 '시각정 상'에 관련되 새로운 학습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학생들이 더 고차적인 수학적 관계를 탐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 PDF

초등 수학에서 탐구를 위한 탱그램 과제 변형 (Tangram Task Modification for Exploring in Elementary Mathematics)

  • 유재근;박문환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2권1호
    • /
    • pp.95-111
    • /
    • 2019
  • 본 연구는 초등 수학 교과서의 과제를 내용 기반 개방형 과제로 변형함으로써, 탐구를 위한 탱그램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선행연구를 분석한 결과, 수학 과제 변형의 교육적 효과와 탱그램 활동의 교육적 가치를 확인하였으며, 교과서 분석을 통해 교과서에 제시된 탱그램 활동은 놀이 수준에 그칠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 탱그램 과제의 변형을 시도하였다. 연구 결과, 폐쇄형 과제를 개방형 과제로 변형을 시도해 본다면 교사의 전문성 향상과 학생들의 다양한 반응 등을 기대할 수 있었다.

'탐구공동체'의 과학 교육적 함의에 대한 이론적 고찰 : '과학 교실 탐구공동체'를 향해서 (Theoretical Investigation on Implications of 'Community of Inquiry' for Science Education: Toward 'Community of Inquiry in Science Classroom')

  • 정용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303-319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탐구공동체의 의미와 특징을 Peirce와 Dewey의 관점을 중심으로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탐구공동체가 갖는 과학 교육적 함의에 대해 과학 수업과 교실, 과학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논의함으로써 탐구공동체의 과학 교육적 적용 방안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탐구공동체의 의미와 특징은 다음과 같이 다섯 가지로 요약될 수 있었다: 첫째, 탐구공동체에서 탐구는 진정한 의심으로부터 시작된다. 둘째, 탐구공동체에서 탐구가 시점은 진정한 믿음의 상태이다. 셋째, 탐구공동체에서 탐구는 실제적 효과의 관찰에 바탕을 둔 최선의 설명과 해결책을 시도한다. 넷째, 이상적으로 탐구공동체는 끊임없이, 그리고 무한히 탐구하는 공동체를 전제한다. 다섯째, 현실적으로 탐구공동체는 공동체 속에서 서로의 의견을 자유롭게 의사소통함으로써 최선의 설명과 해결책에 찾게 되는 공동체를 전제한다. 이를 바탕으로 학교 과학교육의 장에서 탐구공동체가 구현되려면, 흥미, 개방성, 엄격성, 오류가능성의 견지, 참여, 끊임없는 탐구 지향, 충분한 시간을 그 조건으로 하는 "자연 현상이나 사물과 관련하여 진정한 의심의 상태를 믿음의 상태로 바꾸는 것을 목적으로, 참여자로서 목적을 공유한 구성원들이 실제적 효과에 대한 관찰과 오류가능성을 견지하면서 자유로운 의사소통을 통해 최선의 설명과 해결책에 이르고자 끊임없이 노력하는 교실 공동체"인 과학 교실 탐구공동체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끝으로 이를 바탕으로 과학 교육과정과 관련하여 몇 가지 제언을 하였다.

고등학교 수학교과서의 수열 단원에 포함된 개방형 과제의 특징 분석: 인지적 난이도 관점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open-ended tasks presented in sequences of high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Focusing on cognitive demands)

  • 오영석;김동중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2권2호
    • /
    • pp.257-268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개방형 과제의 특징을 인지적 난이도 관점에서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고등학교 수학교과서 3종을 대상으로 수열 단원에 포함된 개방형 과제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인지적 난이도 수준이 낮은 개방형 과제는 이전의 과제 또는 해당 과제 내에 절차를 포함하고 있는 특징이 있었다. 반면에 인지적 난이도 수준이 높은 개방형 과제는 구하고자 하는 것에 접근하기 위하여 새로운 조건을 능동적으로 탐구하거나 판단 근거를 요구하는 과제 또는 다양한 표상을 수열의 개념과 연결 짓거나 다양한 해답을 요구하는 특징이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의도된 교육과정 측면에서 인지적 난이도가 높은 개방형 과제의 특징을 구체화하였을 뿐 아니라 인지적 난이도가 높은 개방형 과제 개발에 그 방향성을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중학생들의 과학 탐구에 대한 인식론적 견해 (Epistemological Views of Middle School Students on Scientific Inquiry)

  • 한수진;최숙영;노태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82-94
    • /
    • 2012
  • 이 연구에서는 중학생들의 과학 탐구에 대한 인식론적 견해를 조사하였다. 9학년 학생 141명을 대상으로 과학 탐구에 대한 견해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 검사 도구는 과학 탐구의 배경, 과학적 탐구 방법, 자료의 해석, 자료와 증거에 관한 5개의 개방형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분석 결과, 전반적으로 학생들의 과학탐구에 대한 인식론적 이해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은 과학자들의 탐구 문제 및 방법의 선택에 여러 가지 요인이 영향을 미친다고 제안하였으나 그 요인들의 다수는 주요 요인이 아니었다. 과학자가 하는 일이나 '과학적' 인 활동의 특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학생들은 적었으며, 학생들은 과학에서 실험의 의미나 과학적 방법의 다양성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였다. 또한, 자료가 다양하게 해석된다는 것을 잘 알고 있는 견해를 지닌 학생들의 비율이 낮았다. 학생들은 자료와 증거의 차이도 이해하지 못하였다. 이에 대한 교육적인 함의를 논의하였다.

과학영재 교육에서 자율탐구활동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 (Theoretical Review on the Meaning and Importance of Autonomous Inquiries for the Gifted in Science Education)

  • 이효녕;조현준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2권2호
    • /
    • pp.33-50
    • /
    • 2008
  • 이 연구는 영재교육기관의 양적 팽창 중심의 현실 속에서 과학영재들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질 제고를 위해 계획되었다. 저자는 이 글을 통해 과학 영재들에게 적합한 교육프로그램의 하나로 자율탐구활동의 중요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개방형 탐구활동과 비교를 통해 자율탐구활동의 의미를 규정하고, 과학 영재의 교육목적과 관련하여 영재들을 위한 자율탐구활동의 중요성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과학 영재들을 위한 교육이 기존 프로그램의 답습에서 벗어나 영재들의 독립성, 창의성, 자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 PDF

교사학습공동체 활동을 한 초임중등과학교사의 과학 탐구에 대한 이해 (Understanding of Scientific Inquiry Developed by Beginning Science Teachers in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 김유림;최애란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221-232
    • /
    • 2019
  • 과학 교육에서는 탐구 중심 과학 수업의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강조되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사들의 과학 탐구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교육 현장에서 과학 탐구 수업이 그 의미대로 실행되지 못하고 있다고 여러 선행 연구에서 언급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사학습공동체에서 과학 탐구 수업이라는 공동의 목표를 자발적으로 설정하고 1년 이상 과학 탐구 수업 계획, 실행 경험 공유, 반성을 함께 한 5명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과학 탐구에 대해 어떠한 이해를 갖고 있는지, 과학 탐구에 대한 이해가 어떻게 변화되었다고 인식하는 지를 개방형 설문과 개별 면담 자료를 통해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모든 교사들은 과학 탐구를 '과학자가 하는 일'로 설명하였으며 구체적으로는 '자연 현상에 대한 궁금증을 과학적 탐구 기능을 수행하여 해결하는 과정', '과학 실천을 하여 과학지식을 구성하는 과정'으로 이해하고 있었다. 또한, 학생들이 과학자의 탐구 과정을 수행하는 것이 과학 탐구라고 이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 참여한 두 명의 교사는 과학 탐구가 과학자 또는 학생이 과학을 하는 과정이라는 이해를 기반으로 과학 탐구를 교수-학습 방법으로 이해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교사들은 교사학습공동체 활동 전에는 과학 탐구가 실험과 동일하거나 손으로 조작하는 활동이 필수라는 탐구에 대한 제한적인 이해를 가지고 있었으나 교사학습공동체 활동을 통해 다양한 방법의 과학 탐구가 있으며, 실험을 수행하는 것뿐만 아니라 모형을 개발하거나 사용하여 현상을 설명하고, 학생들 간 증거 기반의 논의에 참여하는 것도 중요한 과학 탐구 과정이라는 발전된 이해를 가지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긍정탐구리더십이 종업원 인게이지먼트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Appreciative Leadership for Employee Engagement)

  • 김진욱;장영철;안치성;조영덕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3권2호
    • /
    • pp.81-100
    • /
    • 2014
  • 본 논문은 긍정탐구리더십(Appreciative Leadership)이 종업원 인게이지먼트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토하고자 하였다. 긍정탐구리더십에서는 리더를 '서로 다른 스타일의 리더십들의 통합된 혼합물을 효과적으로 다룰 수 있으며, 자문과 방향 제시가 가능한 사람들'이라고 설명하고 있다(Withney & Trosten-Bloom, 2010). 또한 긍정탐구리더십은 '전체를 위한 조직의 목표를 가진 공유가치시스템과 개인의 강점에 기초한 성장을 통해 미래의 건설적인 공동창조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긍정적 리더십 행동의 한 방식'으로도 설명하고 있다(Withney & Trosten-Bloom, 2010). 긍정 질문과 개방적인 대화를 통해 구성원들을 몰입시키며, 긍정적 리더는 구성원들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영감을 불어넣으며, 스스로 소중하다고 느끼도록 한다. 연구결과, 긍정탐구리더십의 하위 요인 중 Inspiration(영감불어넣기)는 종업원 인게이지먼트의 직무몰입과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Inquiry(질문하기)는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

개방형 혁신의 성공을 이끄는 혁신중개자의 역할과 기능 (The Role and Function of Intermediaries in Driving the Success of Open Innovation)

  • 김정호;박현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235-246
    • /
    • 2022
  • 중소기업은 외부산업환경의 변화에 따라 생존을 위해 지속적인 기술혁신을 강요받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이나 기술협력 파트너의 발굴을 위해서는 산학연을 중심으로 개방형 혁신의 적극적인 도입이 필요하다. 그러나 중소기업은 외부 자원에 대한 접근성이 떨어져 독자적인 추진이 어려워 개방형 혁신중개자의 활용이 필요하고, 이에 따라 개방형 혁신중개자의 역할이 중요하다. 지금까지의 연구는 기술이전 분야에서 기술공급자 중심으로 성과요인이나 영향 요인이 연구되었고 중재자에 연구는 매우 미비하다. 본 연구는 기술이전 중개자의 역할과 기능을 분석하여 개방형 혁신중개자의 역할과 기존 기술이전 중개자와 어떻게 다른지 탐구하는 것이다. 이러한 개방형 혁신중개자의 역할을 정부지원사업의 수행 결과 토대로 중개자의 역할을 다루었다는 점에서 실무적인 의미가 있고, 향후 개방형 혁신 중재자들에 관한 연구에 대한 토대가 되는 것이 학술적인 의미가 있다.

지도교사의 목소리를 통한 학교 밖 과학 탐구 활동으로서 전국과학전람회의 현주소 (Present State of National Science Contest as a Informal Scientific Education through the Voices of Teachers)

  • 김진욱;이종진;백영경;안유민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96-209
    • /
    • 2023
  • 본 연구는 학교 밖 과학교육 활동 중 하나인 과학전람회의 교육수요자로서 교사의 인식과 요구를 파악하기 위하여 전국과학전람회를 지도한 경험이 있는 교사 11명을 대상으로 개방형 질문지를 활용하여 그들의 의견을 심층 조사하였다. 총 7문항에 대해 평균 3,600자 이상을 서면 답변하였으며, 이에 대한 질적 분석을 통해 과학전람회 참여로 인한 학생과 교사의 성장, 대회 참여의 어려운 점, 활성화를 위한 교사의 목소리를 알아볼 수 있었다. 교사들은 과학전람회 참여가 개방형 탐구과정을 경험하고 이로 인해 학생의 과학 관련 지식 및 태도의 향상, 이공계 분야 진로 진학으로의 연계가 활발해진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의견을 제시하였다. 다만 대회 참가 학생들은 학교생활기록부에 탐구내용을 기록할 수 없고, 지도교사들은 참신한 주제 발굴에 대한 강박과 탐구과정 지도에서 오는 부담, 전공지식에 대한 전문성 한계를 지적해 과학전람회 참여에 어려움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과학전람회 활성화를 위해서는 지도교사와 학생의 역량 강화를 위한 17개 시·도 교육청 수준의 지원 방안, 국립중앙과학관의 홍보 방법 및 심사 방식 개선, 교육부의 학교생활기록부 기재 요령의 개선을 요구하였고, 이를 통해 학교 현장에서 공감할 수 있는 과학전람회 제도 개선의 필요성을 도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