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개방수면

Search Result 33,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Understanding the Impact of Environmental Changes on the Number of Species and Populations of Odonata after Creating a Constructed Wetland (인공습지 조성 후 환경변화가 잠자리목의 종수 및 개체수에 미치는 영향 파악)

  • Lee, Soo-Dong;Bae, Soo-Hyoung;Lee, Gwang-Gyu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34 no.6
    • /
    • pp.515-529
    • /
    • 2020
  • Constructed wetlands undergo biological and physical changes such as an increase in the proportion of arid plants due to the natural succession process after formation. It can adversely affect not only the purification function but also the habitat of species. As such, this study aims to identify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biodiversity and propose management plans based on the monitoring results of physical environmental changes and the emergence of species in seven constructed wetlands selected based on the water depth and surrounding conditions among the lands purchased by the Nakdong River basin. We examined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emergence of the Odonata, which is a wetland-dependent species, to predict the trend of changes in biodiversity and abundanc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open water area decreased as the emergent plants spread to the deep water in 2015 compared to 2012 when they were initially restored to a depth of 0.2 to 1 m. While a total of 54 dragonfly species were observed, the habitat diversity, such as vegetation, water surface, and grassland, remained similar to the initial formation of the wetlands despite the expansion of the emergent plants. On the other hand, the number of Agrionidae species, which prefer areas with fewer aquatic plants, decreased between 2012 and 2015 due to the diminished water surface. The p-values of the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species and population between wetlands by year were 2.568e-09 and 1.162e-08, respectively, indicating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he decrease in open water surface was found to have the greatest effect on the biodiversity and habitat density of dragonflies. The time-series survey of constructed wetlands confirmed that the spread of Phragmites communis, P. japonica, Typha orientalis, etc., caused a decrease in species diversity. It suggests that environmental management to maintain the open water surface area is necessary.

Delft-3D Simulation using Open Boundary Condition in Delft Dashboard (Delft Dashboard 개방경계조건을 이용한 Delft-3D 수치모의)

  • Kwon, Kab Keun;Kim, Jin;Kim, Gun H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210-210
    • /
    • 2021
  • Delft Dashboard는 유동모델을 위한 오픈소스 프로그램으로 로컬 및 글로벌 데이터 세트를 사용하여 다수의 입력 매개변수를 신속하게 생성, 편집하고 모델 내 입력을 시각화하도록 설계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이다. 특히 Delft Dashboard에 제공하는 개방경계조건을 이용하면 격자영역을 인식하여 개방경계를 자동으로 분배 및 지정하고, 각 개방경계 위치에서 분조별 조석조화상수 값도 산출되므로 유동 모델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지만 상황에 따라 적합하게 경계를 분배하여 개방경계로 지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Delft Dashboard에서 제공하는 개방경계조건 중 TPXO 8.0을 이용한 Delft-3D 해수유동 수치모의를 수행하여 개방경계조건이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TPXO 8.0의 경우 격자영역에서 개방경계조건을 설정할 때 사용자가 경계조건에 포함될 격자 수를 지정하면 전체 격자경계에서 격자 수에 해당하는 만큼 경계를 나누어 개방경계를 지정하고 각 개방경계 위치에서의 분조별 조석조화상수값을 산출한다. 특히 격자 수에 따라 개방경계로 지정되는 정도에 따른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인위적으로 경계를 다양하게 분배하여 개방경계를 지정한 후 수치모의에 적용하였다. 수치모의는 동해안 고리원전 인근을 대상으로 격자 생성 후 Delft Dashboard TPXO 8.0을 이용하여 전술된대로 다양한 개방경계조건을 생성하였고 이를 Delft-3D내 적용하여 해수유동 모의를 수행하였다. 각 개방경계 조건별 초기 수면 변위 분석 및 인근 조위관측소의 관측값의 비교를 통해 개방경계조건이 모의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 PDF

Sleep Characteristics in Infants (영아의 수면 특성)

  • Rhie, Seonkyeong
    • Sleep Medicine and Psychophysiology
    • /
    • v.27 no.2
    • /
    • pp.33-40
    • /
    • 2020
  • An infant's sleep varies considerably from that of adults in terms of structure, amount, and breathing pattern. After birth, sleep becomes evenly distributed throughout the day and night. Nighttime sleep gradually increases with the maturation of circadian rhythm, and sleep is gradually consolidated. Electroencephalography characteristics change with age, from early and dominant active (REM) sleep in newborns to increasing NREM sleep. Similar to other elements of growth, the upper respiratory tract and ribcage gradually increase in size with age, and respiratory control also improves. With these changes, sleep patterns also change. At this time that various sleep disorders may appear. Improved understanding of age-dependent changes in infant sleep can help determine the etiology and facilitate diagnosis of infant sleep diseases.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Upstream Flow by Downstream Weir with Gates Operation (하류 보 운영에 따른 상류 흐름 특성 변화 연구)

  • Park, Jun Su;Seol, Myung Su;Lee, Chung D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72-272
    • /
    • 2019
  • 보는 수로나 하천의 수위를 조절하고 취수 등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건설되는 하천 구조물이다. 일반적인 보(고정보)는 상시 담수 되어 농업용수, 생활용수, 공업용수 등의 취수원으로 활용되지만, 최근에 설치되는 보(가동보)들은 수문을 설치하여 필요에 따라 수위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보의 운영은 보 상류의 유속, 수심, 흐름 특성, 하천 형상 등의 변화를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보 상류에 위치한 수위관측소의 수리학적 영향에 대하여 검토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광주천 유역에 위치한 광주광역시(유촌교)관측소를 대상으로 하류 900m에 위치한 가동보 수문 운영 조건에 따른 보 상류부의 수위, 유속, 수심, 흐름 특성을 조사하고 가동보의 수문 개방과 폐쇄에 따른 영향을 분석하였다. 가동보는 상시 폐쇄되어 있으며, 강우 발생 시에만 일정 수위 이상에서 자동으로 개방되는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총 30회의 수위관측 및 유량측정을 하였다. 가동보 운영에 따른 수위, 유속, 흐름 특성 변화와 유량 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광주시청 및 광주환경공단의 협조 요청을 통해 광주광역시(유촌교)관측소를 기준으로 상류 약 50m와 하류 약 420m에 측정 위치를 선정하여 동시 유량측정을 하였다. 또한 가동보 운영에 따른 수면경사의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광주광역시(유촌교)관측소를 기준으로 상류 약 50m, 10m, 5m, 하류 약 420m, 500m, 900m에 각각 수위표를 설치하여 총 6회 수면경사를 계측하였다. 그 결과 광주광역시(유촌교)관측소에서는 보 수문 운영에 따라 수리학적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이를 이용하여 흐름 특성 변화를 반영한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을 개발하였다.

  • PDF

Changes in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Stream Habitats with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River-Crossing Structures in the Geum-gang River, South Korea (금강에서 횡단구조물의 설치와 운영에 따른 하천 서식처의 경관 특성 변화)

  • Kim, Dana;Lee, Cheolho;Kim, Hwirae;Ock, Giyoung;Cho, Kang-Hyun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v.8 no.1
    • /
    • pp.64-78
    • /
    • 202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effect of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river-crossing structures on the habitat landscape characteristics in the Geum-gang River, South Korea. A total of three study reaches were selected in the downstream of the Daecheong Dam: the Buyong-ri reach, which is a control that is not affected by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the weir of the Four Rivers Project and Sejong-bo Weir reach and Gongju-bo Weir reach of the upper and lower sections of each weir that are affected by the weir construction and operation. The habitat type was classified, and then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landscape were analyzed using aerial photographs taken before and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Daecheong Dam, before and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weir, and before and after the weir gate operation. After the construction of Daecheong Dam in Geum River, the area of the bare land greatly decreased, and the area of grassland and woodland increased in the downstream of the dam. In addition, the patch number in the river landscape increased, the patch size decreased, and the landscape shape index and the habitat diversity increased. Therefore,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dam, the bare land habitat was changed to a vegetated habitat, and the habitat was fragmented and diversified in the downstream of the dam.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weirs, the area of open water increased by 18% in the Sejong-bo reach and by 90% in the Gongju-bo reach, and the landscape shape index of the open water decreased by 32% in the Sejong-bo reach and by 35% in the Gongju-bo reach, and the habitat diversity index decreased to 25% in the Sejong-bo reach and to 24% in the Gongju-bo reach. Therefore, the open water habitat was expanded, the shape of the habitat was simplified, and the habitat diversity decreased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of the weirs. After water-gate opening of the weir, the bare land that disappeared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weir reappeared, and the landscape shape index and habitat diversity index increased in both terrestrial and open water habitats. Therefore, it was found that the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the river habitats were restored to the pre-construction of the weir by the operation of the weir gate. The effect of weir gate opening was delayed in the downstream than in the upstream of the weir. Although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ndscape structure in the river habitat changed due to the construction of the river-crossing structures, it is thought that proper technology development for the ecological operation of the structures is necessary as the habitat environments can be restored by the operation of these structures.

Predictions of Discharges and Water Level in Lock using DWSL Model (DWSL 모형을 이용한 갑문에서의 유량과 수위예측)

  • Kim, Jong-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684-688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갑실내에서 3차원적인 흐름 현상을 해석하기 위해 GUI 기반의 간략한 1차원 단순모형 DWSL이 개발되었으며, 갑실에서 수위와 유량변화를 예측하였다. DWSL에 의해 산정된 값과 실험치를 비교분석한 결과, 계산값이 대체로 일치되었다. 연구결과로써 갑실에서의 유량과 수위변화는 갑실내의 수리인자(유량계수, 갑문의 개도속도, 갑문의 개도높이, 수면경사, 갑문 개방시간)들에 의존하고 있다. 갑실내에 첨두유량 시간은 수면경사 증가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갑실상부 지점까지 도달수위 시간은 짧아졌다. 첨두유량 도달시간이 갑문개도 속도 증가에 따라 짧아지는 동안, 개도면적이 변화하지 않을 경우 갑실내의 수위와 유량은 유량계수증가에도 불구하고 변화하지 않았다. 또한 연구결과로써 갑문의 개도높이가 증가함에 따라 첨두유량 도달시간과 수위도달시간은 감소하였다.

  • PDF

Analysis of in Pipeline Systems Using Rigid Water Colum Model (강성수리 모델에 의한 파이프라인계의 서어징 해석)

  • 김선주
    •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 /
    • v.32 no.1
    • /
    • pp.87-102
    • /
    • 1990
  • 개방식과수로는 낮은 압력으로 다량의 용수를 수송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으나 유량변동에 의한 서어징현상이 현저한 것이 단점이다. 관로내의 흐름을 안정시키기 위해서는 이 서어징의 특성이 규명되어 대규모의 서어징에 대한 대책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개방식관수로계의 서어징을 강성수주이론으로 계산하기 위하여 운동방정식 연속방정식가 스탠드 수조의 중간벽에 설치된 언의 월유공식등을 조합한 기초방정식이 유도되었다. 본 연구의 수치해석 모델은 가장 일반적인 4차의 Runge-Kutter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이 모델의 정당성과 프로그램의 유통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수리모형실험치와 수치해석치가 비교되었다. 그 결과 관로에 공기의 혼입이 없는 경우에는 실험치와 해석치가 실용상의 지장이 없는 정도로 잘 일치되었지만, 공기의 혼입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실험치가 해석치에 비해 약간 크게 나타나서 이 경우에도 서러징의 해석이 가능한 새로운 모델의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본 강성수주 모델을 이용하여 현재 서어징 문제로 곤란을 받고 있는 일본 자하연 비파호 부근의 용수간선을 대상으로 그 서어징의 특성과 개선방법을 경계한 결과 개설 개방식관수로계의 스탠드 중 매3개소 스탠드마다 1개소 스탠드의 하류측 수조 수면적 확장하는 것이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 PDF

Numerical simulation of a double dam break driven swash using an overset dynamic mesh capability of OpenFOAM (OpenFOAM overset 동격자 기법을 활용한 이중 댐 붕괴 파랑수치모형실험)

  • Ju Hee Ok;Yeulwoo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222-222
    • /
    • 2023
  • 오픈 소스 유체역학 소프트웨어인 OpenFOAM은 다양한 유체 흐름에 적용 가능한 프로그램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interFoam은 밀도가 다른 두 유체(i.e., 물, 공기) 간의 경계를 추적하는 기법을 기반으로 한 프로그램으로, 파랑의 거동 모의에 주로 쓰이고 있다. 파생형 프로그램으로는 동격자(dynamic mesh) 및 중첩 격자 기법(overset grid method)을 interFoam에 추가한 overInterDyMFoam이 있다. 두 기법을 사용하면 각각 여러 영역에서 유체흐름과 다중 물체 간의 상호작용을 효율적으로 모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overInterDyMFoam을 사용하여 두 개 수문의 개방 움직임을 구현하고 생성된 파랑이 포말대(swash zone)에 접근하였을 때의 흐름 특성을 조사하였다. 수치모형실험 결과 수문 개방 속도가 댐 붕괴 파랑 흐름 전파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또한, 처오름과 처내림의 상호작용에 의한 난류 운동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수문 개방시간 간격을 0초~3초로 설정하였다. 수치모형실험 결과는 수리모형실험의 수면 변동 시계열과 속도 시계열 결과와 비교하여 모형의 정확성이 검증되었다.

  • PDF

The Analysis of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Major Wetland Types in Seoul (서울시 주요 습지유형별 생태적 특성 분석)

  • 이경재;권전오;이수동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7 no.1
    • /
    • pp.44-55
    • /
    • 2003
  • The wetland in the city could be mainly divided into the deep water type and the abandoned paddy type, so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characteristics between the two types of the wetland. The former sample site was located near the Olympic village in Songpa-gu of Seoul, and the latter sample site was in front of the Mt. Bukhan fortress in Eunpyeong-gu of Seoul. The actual vegetation, vascular plants, and avian fauna were researched. In the actual vegetation, the deep water type had the broad surface of water and the emerged plant as Phragmites communis have grown widely, but the abandoned paddy type had the narrow sur-face of water and hydrophyte as Persicaria thunbergii have grown widely. It might be judged because the water depth of the abandoned paddy type were shallow wholly. And the floating-leaved plants and the free-floating planktonic plants were not observed such as Nymphaea tetragona var. angusta, Lemna paucicostata in the abandoned paddy type wetland. The wild birds were mainly observed at the edge of the wetland(at the edge of woodland) in the abandoned paddy type, but were observed equally in the deep water type. 28 families 433 species were observed at the former site and 32 families 365 species were observed at latter site. It was judged that the various topographical structure(habitat diversity) might make all items various.

Analysis of Visual Preference Factor for Youngsan River Scenery considering the Variation of River Stage (영산강 하천경관의 수위변화에 따른 시각적 선호요인 분석)

  • Yoo, Sang-Wan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20 no.3 s.71
    • /
    • pp.141-150
    • /
    • 2007
  • This study began with the question: "what influence would the width of river surface have on visual preference, provided that the environment surrounding the river does not change?" to evaluate the visual preference factors of the river scenery which could vary according to the change of water level. To estimate the minimum flow needed for river sceneries, field survey of Youngsan river was carried out to collect the field data and evaluated the visual preference factors to obtain a most preferred W/B ratio. At Youngsan bridge location, the feeling of open space factors, physical characteristic factors and complexity factors appeared to have significant relations to visual preferences. At Imgok bridge location, complexity factors, aesthetic factors and physical characteristic factors have significance to visual preferences. As a result of multi regression modeling, it was found that physical factors affected visual preferences the most at urban river locations and complexity factors affected the most visual preferences at rural river locations. As a results of this study, the most preferred W/B ratio was estimated as which vary from 0.5 to 0.7 and this results can contribute to the field of river landscape design to maximize the users' satisfaction leve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