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개발운영

Search Result 9,092, Processing Time 0.053 seconds

Monthly Oerating Rules Considering Reliability Levels for Multipurpose Reservoir Systems (신뢰도를 고려한 다목적 저수지의 월별 운영율)

  • Lee, Hui-Seong;Sim, Sun-Bo;Go, Seok-Gu
    • Water for future
    • /
    • v.25 no.1
    • /
    • pp.75-82
    • /
    • 1992
  • This paper presents a methodology of developing reservoir operating rules which can consider the reliability levels incorporated with the discharge policy. The operating rules were derived based on the regression and risk analysis of the optimally operated results by using the long term historical and generated reservoir inflows. The methodology was applied to the operation of the Chungju reservoir system which is consisted of two reservoirs and powerplants, and monthly operation rules were developed. Simulations were performed by using the developed operating rules can not only significantly improve the output from the existing system but also improve the reliability incorporated with the output.

  • PDF

A Development of System for water supply in the Agricultural Purpose of Bank-high Reservoir (농업용 둑높임저수지 운영시스템 개발)

  • Kim, Hae-Do;Lee, Kwang-Ya;Joo, Jin-Hun;Lim, Hyung-Ch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188-188
    • /
    • 2012
  • 기존 농업용저수지는 농업용수 공급이라는 단일한 목적으로 비교적 간단하게 운영되어왔다. 그러나 둑높이기사업 후 기존 농업용수를 공급함과 동시에 하천유지용수를 연중 공급해야 하기 때문에 경험적 물관리로는 갈수기간 동안의 물관리 및 홍수기 동안의 저수율 조정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따라서 기왕의 경험적 용수공급에서 탈피하고 가이드라인에 의한 공급이 이루어져야 용수목적별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물수지 분석 등 기술적으로 분석해야하는 과정을 종합하여 관리자가 쉽게 운영할 수 있도록 의사지원체계가 구축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둑높임저수지 운영데이터를 구축하고 저수지 운영곡선을 프로그램화 하여 현장 계측데이터를 연계한 물관리 의사지원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시스템은 지리정보시스템을 기반으로 작성되었으며, 운영물수지 프로그램이 모듈로 구축되어 농업용수와 하천유지용수 등 용수목적별로 월별 공급량을 계획하여 운영자 및 유관기관에게 제공하는데 있다. 기존 설계용량산정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운영에 필요한 운영 물수지분석 모델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둑높임저수지의 일부 사업지구에 대한 운영곡선을 프로그램화 하였다. 시스템 개발은 분석에 필요한 정보를 DB화하고, 이를 활용한 운영물수지분석, 운영곡선 모의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축되었다. 물관리 센터-현장을 연계하여 운영할 수 있는 의사지원 모듈 즉, 센터에서 운영기준과 운영계획량을 수립(모의)하고, 이에 따라 조견표, 개도율로 현장을 운영할 수 있도록 단순화하였다. 추가적으로 스마트 단말기를 통해 홍수기 업무지원이 가능토록 기능을 구현하였다. 본 시스템은 가이드라인에 의한 농업용저수지 운영관리라는 관점에서 유일한 시스템으로 유역별 환경변화 인자와 현장운영 경험치를 적용한 첫 번째 사례이다. 또한 관행적 물관리에서 탈피하여 과학적 수자원 관리로 국가 물관리 정책수립에 필요한 의사결정지원에 활용될 예정이다.

  • PDF

천체투영관을 활용한 천문교육 프로그램 개발

  • Baek, Chang-Hyeon;Lee, Gang-Hwan;Lee, Dong-Ju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5 no.1
    • /
    • pp.85.1-85.1
    • /
    • 2010
  • 2010년 현재 국내에는 약 30여 개의 천체투영관(Planetarium)이 운영 중에 있으며 매년 2-3개의 천체투영관이 건설 되고 있다. 국내 다수의 천체교육시설은 천문학전공자가 아닌 비전문가들의 건설기획 운영으로 천체투영관의 근본적 역할과 기능을 다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천체투영관의 긍정적 운영과 교육적 활용을 높이기 위하여 1)현재 운영 중인 천체투영관의 운영실무자들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여 각 천체투영관 시설 현황과 운영 교육 프로그램을 조사하고, 2)설문조사 결과와 학년별 과학과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천체투영관을 활용한 천문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려 한다. 본 발표에서는 설문조사 결과와 교육프로그램 개발 계획에 대해 이야기 하고자 한다. 향후 개발된 교육프로그램은 국립과천과학관에서 시범운영하고 설문결과를 얻어 발표할 예정이다.

  • PDF

The Development of The Automated Container Terminal Simulator for Evaluating of AGV Guide Path and AGV Numbers (첨단 자동화 컨테이너 터미널의 AGV 이동경로 평가 및 적정 운영 대수 산정을 위한 시뮬레이터 개발)

  • 민상규;정귀훈;하승진;김형식;변성태;이영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05a
    • /
    • pp.152-157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컨테이너 터미널의 자동화 설비 중 안벽용 크레인(Quay Crane: QC)과 장치장용 크레인(Automated Transfer Crance: ATC)간의 컨테이너 이송을 담당하는 AGV(Automated Guided Vehicle)의 운영에 관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는 전용의 시 뮬레이터를 개발하는데 목적은 두고 수행하였다. 자동화 컨테이너 터미널의 처리 능력은 선석의 QC 능력에 의해서 결정되지만, QC의 능력을 최적화하기 위해서는 컨테이너 터미널 내에서의 AGV의 운영 효율이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또한 AGV의 운영 효율에는 장치장의 ATC 작업시간이 영향을 준다. 연구결과, AGV의 운영 효율 평가를 위한 시뮬레이터를 개발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QC의 작업시간과 ATC의 작업시간에 따른 AGV의 적정대수를 산출하였다. 본 시뮬레이터는 실제 컨테이너 터미널의 운영 상대와 유사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고, 컨데이니 터미널의 운영 능력을 산출하는데 적합하도록 개발되었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Portable Middleware on Realtime Operating Systems QNX (실시간 운영체제 QNX 인터페이스용 미들웨어 설계 및 구현)

  • Lee, Soong-Yeol;Lee, Cheol-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10a
    • /
    • pp.454-458
    • /
    • 2006
  • 응용프로그램은 특정 운영체제에 의존적으로 개발되기 때문에 다른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시스템에 그대로 이식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운영체제가 변경될 경우 응용프로그램을 다시 개발하여야 하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또한 응용프로그램의 시스템 종속성으로 인해 동일한 기능을 제공하는 응용프로그램을 중복 개발함으로써 개발 단계뿐 아니라 유지 및 관리에 많은 노력과 비용을 필요로 하게 된다. 응용프로그램의 운영체제에 대한 의존성을 줄이고 플랫폼이 변경되더라도 응용프로그램의 정상 동작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미들웨어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 운영체제들의 대표적인 API 함수를 선택하여 기본 API 를 선정하고 대표적 실시간 운영체제인 QNX 위에서 POSIX 기반의 미들웨어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optimal operating standards for deep stormwater storage-drain facilities for urban flood defense. (도시유역 홍수방어를 위한 대심도 빗물저류배수시설 최적운영기준 산정기법 개발)

  • Yoon, Jun-Seo;Moon, Hyeon-Tae;Moon, You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84-284
    • /
    • 2022
  • 최근 세계적으로 급변하는 기후는 연 강수량이 여름에 집중되는 한국 강우 특성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도시화된 대도시의 배수 시설 능력 부족은 돌발 강우, 국지성 집중 호우로 인한 침수 피해를 야기한다. 미국, 유럽, 일본 등의 선진국의 경우 대심도 저류배수터널을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시설운영기준 및 매뉴얼 개발 등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국내에는 이와 같은 시설물에 대한 운영사례가 없고, 시설물 내 복잡한 수리 현상에 대한 수리모형 실험도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서울시 강서·양천 일대에 설치된 대심도 터널인 신월 빗물저류배수시설을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안정적인 운영계획 수립을 위한 최적운영기준을 개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도시유역 강우유출모의에 적합한 XP-SWMM 모형을 활용하여 강우조건에 따라 달라지는 수직구별 유입유량, 도달시간 등의 유출특성을 반영하고 수문개방시간을 고려한 시설물 운영기준을 산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도시유역 홍수예방을 위한 빗물저류배수시설의 안정적인 운영계획 수립 및 시설물 운영 매뉴얼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Development of Multi-Reservoir Fuzzy Optimization Operation Model (저수지군 운영을 위한 퍼지 최적화 운영 모형 개발)

  • Choi, Chang-Won;Yi, Jae-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287-291
    • /
    • 2009
  • 지구 온난화의 영향으로 최근 이상홍수에 의한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국내 다목적댐의 경우 월별 목표수위를 기준으로 하는 저수지 운영률이 존재하지만 이것은 실제 이상홍수가 발생할 경우 저수지 운영에 도움을 주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자원배분문제의 최적해를 찾는데 사용되는 최적화기법의 하나인 선형계획법과 수자원 문제와 같이 불확실성이 산재해있고, 애매모호한 문제를 다루기에 적합한 퍼지제어 기법을 적용하여 이상홍수 발생 시 두 개 이상의 다목적댐 군을 연계운영하기 위한 퍼지 최적 운영 기법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시험유역으로는 낙동강 상류에 위치한 안동댐과 임하댐 유역을 대상으로 PMF 발생 시 댐의 안전성을 높이고 안동시 지점에서의 최대홍수량을 최소화하기 위한 퍼지최적운영기법을 개발하였다.

  • PDF

Software Develoment Requirements for Nuclear Power Plant Simulators (원자력발전소 시뮬레이터의 소프트웨어 개발요건)

  • 박근옥;이종복;서용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10a
    • /
    • pp.480-482
    • /
    • 2000
  • 원자력발전소의 운영 목표는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설비를 운영하여 양질의 전기를 소비자에게 공급하는데 있다. 시뮬레이터는 설비의 운영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운전원의 작업 숙련도 향상뿐만 아니라 설계도구로 활용되는 중요한 설비이다. 국내 원자력산업계는 연구기관의 주도하에 다수의 시뮬레이터를 개발하였으며 최근에는 일반 산업체를 개발에 참여시키고 있다. 그러나, 시뮬레이터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관련 요건이 일반 산업체에게 충분히 인식되지 못하여 개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뮬레이터 개발을 위한 소프트웨어 개발요건을 고찰하고 국내 일반 산업체에게 권고되는 개발 참여 전력을 제안한다.

  • PDF

그린ICT 융합 S/W 사례: 에너지통합최적 운영시스템 개발

  • Yu, Seong-Min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1 no.7
    • /
    • pp.8-14
    • /
    • 2014
  • 에너지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게 되면서 에너지부족문제에 대한 크게 대두되기 시작하였다. 특히 에너지 사용급증은 에너지 부족문제 초래뿐만 아니라 화석사용연료 사용 급증으로 인한 이산화탄소 배출증가 및 에너지 비용증가가 국가적 이슈로 자리잡기 시작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여러 기관들에서는 에너지관리시스템 개발에 착수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은 별도의 관리자 및 운영비용이 들기 때문에 에너지 절감이득에 비하여 비용에 대한 혜택이 없는 중소형 건물 적용에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KT 융합기술원에서는 에너지통합운영시스템이 개발하였으며, 중소형 건물에도 적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고에서는 다수의 건물 관리가 가능한 건물통합에너지관리 최적운영시스템 개발에 관하여 다루어 보고자 한다.

A Study for Integrated Operation of SWG program based on Scenario (시나리오 기반 SWG 프로그램 통합 운영에 대한 연구)

  • Kang, Hyun Joong;Gwon, Yong Hyeon;Jung, Ji Won;Jung, Seung K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638-638
    • /
    • 2015
  • 스마트워터그리드는 기후변화 등 한정된 수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하여 효율적인 물 관리 인프라 시스템 구축하는 연구로써 수자원관리에 필요한 여러 가지 프로그램들이 개발되어지고 있다. 수자원 관리와 정보통신기술의 패러다임 변화에 따라 양방향 통신의 다차원적인 접근 전략과 더불어 수자원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스마트워터그리드의 여러 프로그램을 통합적으로 운영 관리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나리오 기반으로 스마트워터그리드 프로그램의 입 출력 데이터를 연계 운영하고, 동일한 개발환경인 플랫폼기반으로 구축하여 프로그램의 통합 운영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통합적인 운영을 위한 시나리오는 다중수원의 실시간 계측과 수용가의 상수도 사용량을 실시간 계측하여 DB서버에 저장되고, 이 자료를 물부족 위험평가 프로그램의 입력자료로 활용하여 다중수원의 부존량이 산정된다. 부존량은 다시 가용수량 산정프로그램에 입력 데이터를 사용되고, 출력데이터는 수처리조합공정을 걸쳐 워터루프를 통하여 배분 및 공급하도록 시나리오를 수립하였으며. 이러한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스마트워터그리드의 여러 프로그램을 통합 운영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수자원 생산, 배분, 공급 등 관리에 필요한 각각의 스마트워터그리드 프로그램이 통합 운영됨으로써, 국내 통합 수자원 관리에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