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개념 모델

Search Result 3,523,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n Extended Conceptual Model of Architectural Description (확장된 아키텍처 기술의 개념적 모델)

  • Park, Jin-Wook;Chae, Heu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10c
    • /
    • pp.396-401
    • /
    • 2006
  • 아키텍처에 대한 기술은 아키텍처 평가와 검증을 위해서 반드시 필요하다. 아키텍처 기술(Architecture Description)을 위해서 아키텍처 기술언어, 아키텍처 모델에 대한 다양한 연구들이 있었다. IEEE-1471의 아키텍처 기술을 위한 개념적 모델이 아키텍처 기술에 대한 일반적인 모델로 제시되었고 이후에 아키텍처 기술에 대한 새로운 요소들이 제시되었다. 그러므로 IEEE-1471의 개념적 모델은 새로운 요소들의 개념 사이에 혼란이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IEEE-1471의 개념적 모델을 바탕으로 이후에 제시된 세 가지 요소를 추가함으로써 IEEE-1471의 개념적 모델을 확장하고자 한다.

  • PDF

Social Transformation of Students' Conceptual Model in an RME-based Differential Equations Course: An Analysis of Students' Use of Conceptual Metaphor (RME 기반 수학 교실에서의 개념적 모델의 사회적 변환: 미분방정식에 대한 개념적 은유 사용 패턴 분석)

  • 주미경;권오남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 /
    • v.14 no.3
    • /
    • pp.221-237
    • /
    • 2004
  • This research analyzed mathematical discourse of the students in an RME-based differential equations course at a university in order to investigate the social transformation of the students' conceptual model of differential equations. The analysis focused on the change in the students' use of conceptual metaphor for differential equations and pedagogical factors promoting the change. The analysis shows that discrete and quantitative conceptual model was prevalent in the beginning of the semester However, continuous and qualitative conceptual model emerged through the negotiation of mathematical meaning based on the inquiry of context problems. The participation in the project class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extension of the students' conceptual model of differential equations and increases the fluency of the students' problem solving in differential equations. Moreover, this paper provides a discussion to identify the pedagogical factors Involved with the transformation of the students' conceptual model. The discussion highlights the sociocultural aspect of teaching and learning of mathematics and provides implications to improve teaching of mathematics in school.

  • PDF

모델베이스 개발을 위한 개념적 모델링 도구에 관한 연구

  • 정대율
    • Proceedings of the Korea Association of Information Systems Conference
    • /
    • 1997.10a
    • /
    • pp.197-216
    • /
    • 1997
  • 본 연구는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의 모델베이스 개발에 있어 개념적 스키마 설계를 위한 개념적 모델링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개념적 모 델베이스 설계에 있어 객체모델링기법(Object Modeling Technique : OMT)에서 제시된 객 체모델의 확장을 시도한다. 또한 본 연구는 확장된 객체모델을 이용하여 특정 문제영역에서 개념적 모델링을 위한 방법을 제시하며, 확장된 객체모델이 실제문제를 얼마나 효과적으로 모델링 할 수 있는가를 보이기 위하여 정유회사의 수송문제에 적용하였다.

  • PDF

Transformation Methodology for Component Interface MEta Modeling of the TMN Agents (TMN 에이전트의 컴포넌트 인터페이스 메타 모델링을위한변형 방법론)

  • 박수현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Conference
    • /
    • 2000.04a
    • /
    • pp.40-44
    • /
    • 2000
  • 미리 제작되어 있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를 조립하여 소프트웨어 개발공정을 산업화하는 과정인 CBD(Component Based Development)는 Farmer 모델에 의하여 설계된 시스템을 실제로 구현하기 위하여 매우 적합한 개념이다. CBD개념의 도입을 위하여 Farmer 모델이 갖는 개체노드, 측면노드 및 KLB/OLB 등과 같은 객체들이 수행하는 기능에 대한 명세를 나타내는 인터페이스 명세 모델이 반드시 필요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Farmer 모델에 의하여 정의된 개념을 컴포넌트 인터페이스 메타모델에서의 개념으로 변형시키는 방안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 PDF

Comparison of Conceptual Models of XML Based on Extended Entity Relationship Model (확장된 개체 관계 모델 기반 XML의 개념적 모델 비교)

  • Kim, Young-Ung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19 no.6
    • /
    • pp.197-202
    • /
    • 2019
  • XML has been established as a de facto standard for representing and exchanging documents, and has been widely used as a logical data model. Using XML as a logical database model, it requires a conceptual model for the semantics that XML has. However, the existing conceptual models, such as Entity Relationship models and UML, have been extended their concepts to express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XML, but so far, there are no standard models. This paper compar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typical model of conceptual model of XML by Extended Entity Relationship model from the perspective of database field. For this, we propose the requirements that must be met for XML, and on the basis of these requirements, the approaches of each model are compared.

Semantic Web Services Discovery Using An Integrated Concept Model (통합 개념 모델을 이용한 시맨틱 웹 서비스 탐색)

  • Du Hwa-Jun;Shin Dong-Hoon;Lee Kyo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06c
    • /
    • pp.4-6
    • /
    • 2006
  • 최근들어 웹 서비스의 수가 증가하면서 필요한 서비스를 정확하게 탐색하는 것이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이를 위해 온톨로지에 기반한 시맨틱 웹 서비스 탐색에 관한 연구들이 진행되었다. 그러나 기존 연구는 제한된 개념 해석 방식을 사용하고, 명확한 개념 기술 방법을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매칭 오류가 발생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통합 개념 모델과 이를 적용한 웹 서비스 탐색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통합 개념 모델은 개념 타입, 클래스, 프로퍼티를 이용한 유연하고 명확한 개념 기술 방벌을 제공한다. 제안된 탐색 방법은 통합 개념 모델에 기반하여 서비스와 사용자 요구사항을 기술하고 매칭을 수행한다. 또한 복합 매칭을 지원하여 보다 정교한 서비스 탐색이 가능하다.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요구사항에 대해 실험한 결과, 제안된 방법은 기존 연구보다 더 높은 정확률과 재현율을 보였다.

  • PDF

다측면 객체 모델의 정형화에 관한 연구

  • 조동영;황종선;백두권;손진곤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1.10a
    • /
    • pp.293-302
    • /
    • 1991
  • 다측면 객체모델은 개념적 데이타베이스 모델인 EA모델을 확장한 객체중심 데이타 모델로서, 여러 측면에서 관측되고 표현될 수 있는 실세계의 동일객체들을 직접 데이타베이스의 동일객체로 모델링 할 수 있도록하여 데이타베이스의 개념적 스키마 설계를 용이하게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다측면 객체모델의 기본개념들을 설명하고, 수학적 접근에 의한 형식론을 구성하였으며, 그 모델의 구성을 위한 단계적 접근방법을 소개하였다.

  • PDF

A Data Model for XML

  • LEE, Dae-Woo;CHOI, Ok;KIM, Young-C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Conference
    • /
    • 2001.11a
    • /
    • pp.169-171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을 위한 데이터 모델을 제시하기 위해 현재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elational database) 개념을 적용한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업무 요구사항의 분석으로부터 고수준의 개념적 데이터 모델을 사용해서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개념적 스키마(conceptual schema)를 생성한 다음, 고수준 개념적 데이터 모델을 구현 데이터 모델로 변환하여 논리적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생성한다. 이때, 고수준 개념적 데이터 모델링의 대표적인 방법으로 ER모델을 사용하고, 구현 데이터 모델로 관계 모델(relation model)을 사용한다. XML은 문서의 논리적 구조를 정의하는 DTD와 XML Schema 등을 갖는다. XML의 DTD와 정보 모델링 기법인 E/R 모델은 모두 작은 세계(real world)를 모델링하는 도구들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XML의 DTD와 E/R 모델의 구성요소들을 분석하여 서로 사상(mapping)시키는 'XML을 위한 데이터 모델(A Data Model for XML)'을 제시한다. 최종적으로 제시된 XML을 위한 데이터 모델에 의해 작은 세계(real world)을 모델링하는 XML DTD에서 정의한 구조(XML Structure)을 따르는 유효한 XML문서(validate XML document)들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게 된다.

  • PDF

Speakers' Intention Classification using a Mutual Retraining Method (상호 재학습 방법을 이용한 화자 의도 분류)

  • Lee, Hyunjung;Seon, Choong-Nyoung;Kim, Harksoo;Seo, Jungyu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2.10a
    • /
    • pp.157-159
    • /
    • 2012
  • 화자의 의도를 결정하는 문제는 대화 시스템에서 핵심적인 부분이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모델의 간소화를 위해 화자의 의도를 화행과 개념이라는 두 요소로 분리하여 분석하였다. 하지만 두 요소는 서로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모델의 간소화는 의도 분석 성능 저하의 원인이 되었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화자 의도 분류를 위한 재학습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화자의 의도를 분석하기 위해 화행 분류 모델과 개념열 분석 모델로 분리하여 분석한다. 학습 단계에서 화행 분류 모델은 개념열 분류 결과를 입력으로 사용하고 개념열 역시 마찬가지로 적용하였다. 목적 지항 대화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제안된 시스템은 화자 의도 분류에서 최대엔트로피 모델과 지지 벡터 기계의 성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켰다.

  • PDF

A Study on the comparison of models for teaching the concept of function (함수개념 지도를 위한 모델 비교 연구)

  • Heo, Hae-Ja;Kim, Jong-Myung;Kim, Dong-Won
    •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 /
    • v.24 no.4
    • /
    • pp.97-118
    • /
    • 2011
  • This study aimed finding effective models for the teaching the concept of function. We selected two models. One is discrete model which focuses on the 'corresponding relation of the elements of the sets(domain and range). The other is continuous model which focuses on the dependent relationship of the two variables connected in variable phenomenon. A vending machine model was used as a discrete model, and a water bucket model was used as a continuous model in our study. We taught 2 times about the concept of function using two models to the 60 students (7th grade, 2 classes) living in Taebak city, and tested it twice, after class and about 3 months later. A vending machine model was helpful in understanding the definition of function in the 7th grade math textbook. Also, it was helpful to making concept image and to recalling it. On the other hand, students who used the water bucket model had a difficultly in understanding the all independent variables of the domain corresponding to the dependent variables. But they excelled in tasks making formula expression and understanding changing situ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