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개념틀

Search Result 768,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Interpretation of Pre-service Teachers' Knowledge by Shulman-Fischbein Framework : For Students' Errors in Plane Figures (평면도형 영역에서 Shulman-Fischbein 개념틀을 활용한 학생의 오류에 대한 예비 교사의 지식 분석)

  • Kim, Ji Sun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32 no.3
    • /
    • pp.297-314
    • /
    • 2018
  • This article aims at providing implication for teacher preparation program through interpreting pre-service teachers' knowledge by using Shulman-Fischbein framework. Shulman-Fischbein framework combines two dimensions (SMK and PCK) from Shulman with three components of mathematical knowledge (algorithmic, formal, and intuitive) from Fischbein, which results in six cells about teachers' knowledge (mathematical algorithmic-, formal-, intuitive- SMK and mathematical algorithmic-, formal-, intuitive- PCK). To accomplish the purpose, five pre-service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and they performed a series of tasks that were designed to investigate their SMK and PCK with regard to students' misconception in the area of geometry. The analysis revealed that pre-service teachers had fairly strong SMK in that they could solve the problems of tasks and suggest prerequisite knowledge to solve the problems. They tended to emphasize formal aspect of mathematics, especially logic, mathematical rigor, rather than algorithmic and intuitive knowledge. When they analyzed students' misconception, pre-service teachers did not deeply consider the levels of students' thinking in that they asked 4-6 grade students to show abstract and formal thinking. When they suggested instructional strategies to correct students' misconception, pre-service teachers provided superficial answers. In order to enhance their knowledge of students, these findings imply that pre-service teachers need to be provided with opportunity to investigate students' conception and misconception.

An Application of the Interpretive Social Science to the Landscape : - A Paradigm for Landscape Design - (경관해석을 위한 해석적 사회과학 개념의 응용: -조경설계를 위한 개념적 틀-)

  • Kim, Sung-Kyu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15 no.1
    • /
    • pp.1-8
    • /
    • 1987
  • 최근 인문사회과학은 지역적 특수성과 문화적 배경(context)를 무시하고 법측과 체계(system)을 추구하는 자연과학의 개념을 인간사회에 적용하려는 여러 이론들이 인간의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는데 한계가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이러한 법치주의에 의한 법인간적인 해석보다는 지역적이고 문화적 상황하에서 인간사회의 문제를 이해하려는 경향이 지금까지 행태(behavior)나 사회구조(social structure system)의 이해를 통해 인간사회를 분석하고 있다. 그 방법론으로는 전체의 맥락(context)이나 주변의 연관관계를 통해 의미를 이해하는 책(text)의 해석(interpretation)의 비유를 그 틀(paradigm)로 하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예술과 미의 문제도 같은 체계(system)속에서 이해하여 현대의 전통, 문화와 대중으로부터 분리된 예술과 미로부터 전통, 문화, 개인과 생활이 공명할 수 있는 본래의 예술과 미를 찾으려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사회문화 이론의 개념을 분석하고 그 원리와 이론의 축면에서 경관(landscape)을 해석하고 경관의 의미(미를 포함한)체계(meaning system)을 분석하여 설계언어(design language)를 찾아내며 이를 설계에 응용할 수 있게 하는 기본적 틀(paradigm)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의학교육입문검사의 의미와 구조에 대한 연구

  • An, In-Seop
    • Korean Medical Education Review
    • /
    • v.4 no.1
    • /
    • pp.1-15
    • /
    • 2002
  • 본 연구의 목적은 의학교육입문검사의 개념의 틀을 형성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의학교육입문검사라는 의학 적성측정도구를 개념화 하기위하여 지금까지의 일반적인 적성 검사와는 달리 의학적 인지능력 정의적 심리 구인과 의학관련 배경지식과 사고라는 의학적 적성 스펙트럼을 만들고자 한다. 한국 상황에서 적용가능하고 21세기에 요구하는 의학교육입문검사를 개념화하여 이론적 틀을 만들고자 했다. 둘째, 이 연구는 의학교육입문검사의 개념의 틀 위에서 각 개념을 양화를 통한 측정도구의 가능성을 열었다. 셋째, 본 연구는 본 검사를 통하여 의학대학과 의학전문대학원 지원 하고자하는 사람들에게 다양한 개인의 정보를 부여할 뿐만 아니라, 대학과 대학원에서의 학생 선발의 타당성을 높일 수 있는 실제적 자료를 제공해 입시사정에 유용한 자료를 얻을 수 있다는 의미에서 실제적 가치를 갖고 있다.

A Study on Elementary Students' Conceptual Metaphor Structures about Light through Analysis of Their Image Schema (초등학생들의 빛에 대한 이미지 스키마 분석을 통한 개념적 은유 구조 연구)

  • Jung, Jinkyu;Kim, Youngmi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38 no.6
    • /
    • pp.813-823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lementary students' conceptual metaphor forms of light through their image schema of light. The participants were 162 $6^{th}$ grade students from G city, Gyeongsangnam-do. For this study, the analysis framework was developed as image schema analysis and systemic functional grammar analysis. Then, students' metaphorical expressions of light concepts were analyzed by the framework(image schema analysis and systemic functional grammar analysi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understanding of source of light, students had two structures of light. (a)Light comes out from a light source and goes straight in space. (b)Light is dispersed around a light source. Second, in the understanding of the process to see a material, students had five structures including scientific concept as light came out from a light source approaches the material and reflects off the material, then the light goes into the person's eyes. Third, in the understanding of reflection of light, students had four structures including scientific concept as light came out from a light source approaches the mirror and is reflected from the mirror.

과학 교과서에 사용된 과학사 자료 분석을 위한 3차원 틀 개발 및 적용 : 지구과학 내용을 중심으로

  • Park, Se-Gi;Lee, Gi-Yeong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4a
    • /
    • pp.67-67
    • /
    • 2010
  • 과학교육에서 효과적인 과학 수업을 위하여 과학사 도입의 중요성이 계속 강조되어 왔다. 이에 따라 과학 교과서에는 많은 과학사 자료가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과학 교과서에 사용된 과학사 자료가 어떤 유형과 맥락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는 지에 대한 면밀한 분석은 이루어지지 못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와 관련 문헌 분석을 통해 과학 교과서에 사용된 과학사 자료를 분석하기 위한 3차원 틀을 개발하고, 이를 제 7차 교육과정의 과학 교과서 지구과학 내용을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개발된 분석틀은 수업맥락, 역할, 제시유형의 3개 차원으로 구성된다. 수업맥락 차원은 흥미, 사회-문화적, 인식론적, 개념적 맥락의 4가지 영역으로 세분되며, 제시유형 차원은 에피소드/일화, 발견/고안, 선형적인 발전, 역사적 실험의 4가지 영역으로 세분된다. 역할 차원은 기본적, 보충적, 탐구적의 3가지 영역으로 세분된다. 개발된 3차원 분석틀을 적용하여 과학 교과서의 지구과학사 자료들을 분석한 결과, 수업맥락 차원에서는 개념적 맥락의 과학사 자료가 모든 학년별 과학 교과서에서 가장 많았다. 역할 차원에서는 기본적 역할이 압도적으로 많았으며, 탐구적 역할의 경우에는 매우 적었다. 제시유형 차원에서는 발견/고안과 선형적인 발전 유형이 대부분이었고, 에피소드/일화 유형의 자료는 주로 흥미 맥락과 연계되어 극히 일부만 사용되고 있었다. 3차원 각 영역들을 48개의 조합으로 분석한 결과, '개념적 수업맥락-기본적 역할-발견/고안 유형'과 '개념적 수업맥락-기본적 역할-선형적 발전 유형' 2개 조합에 집중되었으며, 나머지 조합들의 빈도는 매우 낮았다. 전체적으로 3차원 분석틀 각 영역에 부합하는 과학사 자료가 과학 교과서에 다양하게 포함되지 못하고 일부 영역에만 집중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연구 결과는 앞으로 다양한 수업맥락, 역할, 그리고 유형으로 과학사 자료들이 개발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PDF

즉흥, 역동적 환경 그리고 신생 기업의 창업성과

  • Kim, Jae-Hong;Park, Jae-Hwa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8.04a
    • /
    • pp.199-206
    • /
    • 2018
  • 본 연구는 즉흥과 역동적 환경 그리고 창업 성과와의 관계를 조사한다. 우선 즉흥성향과 즉흥행동의 개념을 분석하고 선행연구를 통하여 즉흥이 기업가정신 분야에서 어떤 영향을 주는가를 살펴본다. 또한 즉흥측정 도구를 사용하여 개인이나 집단의 즉흥 성향을 측정할 수 있는 개념적 틀을 제시하였고 역동적 환경에서의 즉흥행동이 벤쳐 기업의 창업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를 탐색해 본다. 문헌연구를 고찰한 결과 즉흥은 신생 고성장 기업에서 창업의도와 창업성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즉흥이 기업가정신교육에 포함되어야 한다는 기존 가설을 지지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업가정신교육에 즉흥 프로세스를 도입할 수 있는 개념적 틀을 제시하였다.

  • PDF

A Study on Exploring Digital Information Service Method through Analysis of PISA 2018 Reading Literacy Assessment Framework (PISA 2018 독서 리터러시 평가틀 분석을 통한 디지털 정보 서비스 방안 탐색)

  • Park, Juhyeon;Ranasinghe, W.M. Tharanga Dilru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55 no.1
    • /
    • pp.135-159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implications needed to improve reading and information literacy and provide information services for students and citizens through changes in the concept of PISA 2018 Reading Literacy and its Assessment Framework analysis.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meaning of PISA Reading Literacy concept has changed along with the changes of the social and technological environments. Second, concept and assessment framework included the whole process of reading. Third, the Assessment Framework included a number of factors similar to the cognitive process of the information literacy model like Big6 Skills, but also there were differences. Fourth, the digital reading is reflected in the Assessment Framework. The PISA 2018 Reading Literacy Assessment Framework provides implications for the standards and methods required for librarians to develop reading and information literacy models and assessment frameworks to improve citizens' reading and information literacy, and to provide information services to them.

Information Forager's Approach to Folksonomy (정보채집으로의 접근 - 폭소노미 이해를 위한 개념적 틀 연구 -)

  • Park, Hee-Jin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22 no.3
    • /
    • pp.189-206
    • /
    • 2011
  • This paper proposes a conceptual framework to explore the ways in which people work with in accessing, sharing, and navigating Web resources. In order to provide a better frame of a user's interaction with a folksonomy, an information foraging approach was adapted that denotes adaptive information seeking behaviors of users within human information interaction. A conceptual framework that consists of three different components from users' points of view was proposed: tagging, navigation, and knowledge sharing. This understanding will help us to motivate possible future directions of research in folksonomy and lay the groundwork for empirical research which focuses on qualitative analysis of a folksonomic and users' tagging behavi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