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개관

검색결과 885건 처리시간 0.022초

공공도서관 개관장서 구축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Founding Collection in Public Libraries)

  • 장덕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303-320
    • /
    • 2017
  • 이 연구는 공공도서관을 건립하고 개관하는 과정에서 새롭게 구축되는 개관장서 구성의 방법론에 대하여 논하고 있다. 최근 지역자치단체 등이 공공도서관을 지속적으로 설립하고 있는 것은 매우 고무적이다. 반면, 도서관의 가장 중요한 요소인 장서구성에 대한 방법론이 정립되어 있지 않아 일선에서는 혼선의 여지가 있다, 이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최근 개관한 10개 공공도서관의 개관장서 구축 사례를 검토하여 장서개발정책 수립, 장서구성기본계획 수립, 개관장서 규모 도출, 그리고 향토자료 구축 방안 등의 측면에서 표준적인 공공도서관 개관장서 구축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논단-인쇄문화의 동과 서(1)-이어령박사

  • 대한인쇄문화협회
    • 프린팅코리아
    • /
    • 통권1호
    • /
    • pp.50-53
    • /
    • 2002
  • 일본 도쿄인쇄박물관이 최근 개관했다. 동양에서는 최대 규모의 인쇄박물관으로 평가되고 있는 동 박물관 개관에는 우리나라의 이어령박사(전 문화부장관)와 천헤봉교수 등 석학들이 많은 자문을 한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본지에서는 창간특집으로 이어령박사가 동박물관 개관에 즈음하여 발표한 '인쇄문화의 동과 서'를 3회에 걸쳐 요약, 소개한다.

  • PDF

문헌정보학분야의 논문평가에 관한 고찰 (Review on Library Science Research Evaluation in Korea)

  • 이승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199-210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문헌정보학 논문들에 대한 평가내용들을 제시하고 과학적 연구와 질적 연구, 비실증적 연구 등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현재의 논문생산시스템을 제도적으로 보완하기 위해서는 개관적 연구분야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향후 이 분야의 활성화를 위하여 학회차원이나 학술진흥재단 차원에서 노력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Annual Review of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와 유사한 학술지를 연간으로 발행할 수도 있고 기존학회지에 개관논문들을 게재하도록 장려할 수 있을 것이다. 각 분야의 권위자들이 한국의 도서관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연구내용을 정리하고 향후의 연구방향을 제시하면 그 파급효과는 상당히 클 것으로 예상된다.

  • PDF

국내외 공공도서관 개관시간 기준 연구 (A Study on the Standards for Public Library Opening Hours in Foreign Countries and Korea)

  • 윤희윤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49-71
    • /
    • 2013
  • 도서관은 지역주민이 장서 및 서비스를 가장 효과적이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시간에 개관해야 한다. 달리 말해서 모든 공공도서관은 지역주민에게 적절한 개관시간을 제공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국제기구(IFLA/UNESCO)와 주요 국가(미국, 캐나다, 영국, 프랑스, 호주, 중국과 대만, 일본, 한국)의 공공도서관기준을 대상으로 최소 개관시간을 분석하고 봉사대상인구에 기초하여 국내 공공도서관 자료실의 바람직한 주당 최소 개관시간 기준(1만명 미만은 45시간, 1만명~2만명 미만은 50시간, 2만명~5만명 미만은 55시간, 5만명~10만명 미만은 60시간, 10만명~30만명 미만은 65시간, 30만명 이상은 70시간)을 제안하였다.

인터뷰 - 정영재 부산여자대학 어린이도서관 관장

  • 심효정
    • 도서관문화
    • /
    • 제44권2호통권339호
    • /
    • pp.50-53
    • /
    • 2003
  • 어린이도서관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폭되고 있다. 올해 초부터 MBC TV '!느낌표‘의 ’기적의 도서관 프로젝트‘가 가동되었고, 지난 2월 20일 서울시 노원구청에서는 지자체 최초의 어린이도서관인 ’노원어린이도서관‘을 개관한 바 있다. 이렇듯 어린이도서관 만들기 운동은 전국의 어린이들과 아동교육 관계자들의 뜨거운 지지와 격려를 받고 있다. 이와 관련해 지난 3월 12일 부산여자대학에서 어린이도서관을 개관했다는 소식을 접했다. 대학에서 어린이도서관을 개관했다기에 본지에서 이에 대한 내용을 좀 더 자세히 다루고자 부산여자대학 정영재 어린이도서관장과 서면인터뷰를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