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강착원반

Search Result 10,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Stability and Angular Momentum of Accretion Disk with Viscosity-Collisions (점성-충돌 강착원반의 안정과 각운동량)

  • Yoo, Kye-Wha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22 no.5
    • /
    • pp.423-426
    • /
    • 2001
  • The accretion disk with viscosity including collisions is examined. The diffusion process are also considered for a given mass distribution in the disk. Under such a circumstance the diffusion coefficient is simply proportional to 1/${\sqrt{r}}$ The disk rapidly transfers the turbulent angular momentum and the wave front toward the outer cold regions. Then an instability situation occurs in the disk.

  • PDF

Time-dependent Evolution of Accretion Disk Mass in a Black Hole Microquasar Candidate A0620-00 (블랙홀 마이크로퀘이사 후보 A0620-00의 강착원반 질량의 시간적 진화)

  • Kim, Soon-Wook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29 no.7
    • /
    • pp.579-585
    • /
    • 2008
  • The time-dependent evolution of disk mass for outburst limit cycle in a black hole microquasar is calculated based on the non-linear hydrodynamic model of thermally unstable accretion disk. The physical parameters such as black hole mass, disk size and mass transfer rate are adopted to reproduce the historical 1975 outburst observed in a prototype black hole X-ray nova A0620-00. The time-dependent effect of irradiation from the central hot region to the disk is considered in two ways: direct irradiation and indirect irradiation reflected from hot accretion flow above the disk. The accretion disk thermal instability model can account for the bolometric luminosity appropriate to typical characteristics of system luminosity observed in X-ray transients during the whole cycle of the outburst evolution. The maximum mass of the accretion disk, ${\sim}4.03{\times}10^{24}g$, is achieved at the ignition of an outburst, and the minimum value, ${\sim}8.54{\times}10^{23}g$, is reached during the cooling decay to quiescence. The disk mass varies ${\sim}5$ times during outburst limit cycle.

외뿔소자리 신성 1975의 다단계 분출 현상의 이론적 고찰

  • Kim, Sun-Uk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4a
    • /
    • pp.117-117
    • /
    • 2010
  • 외뿔소자리 신성 1975는 발견 당시에는 백색왜성과 적색왜성의 근접쌍성계인 것으로 알려졌으나, 엑스선 관측과 그에 따른 표준 정류 상태 원반 모형에 근거한 해석으로 중성자별 또는 블랙홀의 가능성이 대두되었다. 곧이어, 광학관측에 의하여 블랙홀 이중성임이 간접적으로 동정되었다. 최근 들어 1975젼 당시의 많지 않은 전파 관측 자료들을 재해석하여 상대론적인 물질 분출 현상, 즉 마이크로퀘이사 현상이 있었을 가능성이 관측적으로 제시되었다. 우리는 시간 종속적 열적 불안정성 모형을 바탕으로 수치모형을 계산하여 관측적으로 제시된 물질분출의 가능성을 이론적으로도 제시할 수 있음을 보인다

  • PDF

ON SMALL PERTURBATION DUE TO COLLISION OF PARTICLES IN AXISYMMETRIC ACCRETION DISK (축대칭 강착원반에서 충돌에 의한 소 섭동에 관하여)

  • YOO KYE WHA
    • Journal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4 no.1
    • /
    • pp.31-33
    • /
    • 2001
  • The collision effects in particles of the accretion disk are examined by the use of small perturbation. The collision force is assumed to be equal to 2 vV. From the equations governing collisions of such particles the local dispersion relation is obtained.

  • PDF

A Comparison between Infrared and Visible Light Curves of Short Period Variables

  • Lim, Jihye;Sohn, Jungjoo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0 no.2
    • /
    • pp.58.1-58.1
    • /
    • 2015
  • 단주기 변광성들의 적외선 광도곡선이 가시광선 광도 곡선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주기가 하루 이내로 짧은 다양한 유형의 변광성을 대상으로 보현산 천문대의 1.8m 반사망원경과 적외선검출기(KASINICS)를 이용한 J($1.25{\mu}m$), H($1.64{\mu}m$), K($2.15{\mu}m$)필터 관측을 수행하였다. 관측 대상은 맥동변광성으로 분류되는 BO Lyn외 2개 대상, 격변변광성으로 분류되는 RX And외 3개 대상, 그리고 식변광성으로 분류되는 V1007 Cas외 1개 대상이다. IRAF를 이용한 전처리 및 구경 측광을 실시하여 각 필터별 적외선 광도곡선을 얻었다. 이를 통해 현재 각 분류 대상별 주기분석과 여러 해 동안 관측한 자료를 이용하여 각 대상들의 장주기에서의 변광 요인 유무도 확인하여 가시광선 광도곡선과의 비교 분석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격변변광성의 경우 가시광 광도 곡선이 주로 강착원반의 더 뜨거운 내부고리와 대기에 의한 것인 반면 적외선 광도 곡선은 동반성과 차가운 강착원반에 의한 것이라 여겨지며, 맥동변광성과 식변광성의 경우도 가시광선과 적외선이 서로 다른 깊이를 보게 될 것이므로 파장대별 최대 밝기 위치와 광도 윤곽에서의 차이가 기대된다.

  • PDF

BOES Survey of FU Orionis-type Objects

  • Lee, Jeong-Eun;Park, Sunkyung;Yoon, Sung-Yong;Lee, Sang-Gak;Kang, Wonseok;Sung, Hyun-Il;Park, Won-Kee;Yoon, Tae Seog;Cho, Dong-Hwan;Park, Keun-Hong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1 no.1
    • /
    • pp.60.1-60.1
    • /
    • 2016
  • 태양과 같은 별의 형성기작은 질량이 큰 별의 형성기작에 비해 비교적 잘 연구되어 왔다고는 하지만, 이 또한 온전한 이해와는 거리가 먼 상황이며 여전히 논란의 대상이다. IRAS, Spitzer와 같은 적외선우주망원경으로 얻어진 원시성의 광도함수는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졌던 별탄생 이론으로 설명되지 못한다는 것이 밝혀졌고, 이에 새로운 별탄생 이론이 필요하게 되었다. 새롭게 받아들여지고 있는 별탄생 모델은 Episodic Accretion 모델로서, 원시행성계원반에서 원시성으로 질량 강착이 간헐적이면서 폭발적으로 일어난다는 것이다. 이러한 모델의 관측적 증거의 하나는 FU Orionis와 같은 천체로서, T-Tauri 단계에 있는 원시성이 본래의 밝기보다 약 100배, 즉 가시광에서 5등급 이상 폭발적으로 밝아진 천체이다. 질량강착의 과정은 행성형성의 초기조건을 결정하는 원시행성계원반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을 결정하므로, 그 이해가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팀은 Episodic Accretion이 원시행성계원반과 원시항성풍의 형성과 진화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 연구하기 위하여, 보현산 천문대의 고분산 분광기인 BOES를 이용하여, 최근에 폭발을 일으킨 원시성인 HBC 722와 2MASS J06593158-0405277을 모니터링 관측을 해왔으며, 이전에 알려진 6개의 FU Orionis 형 천체들도 관측하였다. 여기서는 그 결과를 발표하고자 한다.

  • PDF

Photometric monitoring of V1057 Cyg

  • Ji, Tae-Geun;Pak, Soojong;Park, Woojin;Bae, Min K.;Baek, Giseon;Park, Won-Kee;Yoon, TaeSeog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0 no.1
    • /
    • pp.81.2-81.2
    • /
    • 2015
  • FU Orionis 형 천체는 태양 질량의 2배 이하인 T Tauri 별 중에서도 급격한 밝기 변화를 보이는 별들로서, 광도 증가폭이 최대 5등급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현상의 원인은 FU Orionis를 둘러싼 강착 원반에서 나타나는 불안정성에 의해, 원반 안쪽의 물질이 한꺼번에 중심별로 쏟아져 내리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V1057 Cyg는 FU Orionis 형 천체 중 하나로, 1969년에 급격한 밝기 변화를 일으키며, 기존의 16등급에서 변화 직후 9등급 후반에 이르는 광도 증가를 보였다. 우리는 V, R, I 필터 대역에서 관측을 수행하였으며, 본 발표에서는 2013 ~ 2014년에 걸쳐 소백산, 레몬산 천문대 및 경희천문대에서 관측한 결과를 보고한다.

  • PDF

An Analysis of the H Emission Line Profiles of the Symbiotic Star AG Peg (공생별 AG Peg의 H 방출선 윤곽 분석)

  • Lee, Kanghwan;Lee, Seong-Jae;Hyung, Siek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38 no.1
    • /
    • pp.1-10
    • /
    • 2017
  • The symbiotic star AG Peg is a nebulous binary system that consists of giant star (GS) and white dwarf (WD). We investigated the HI Balmer emission lines of the symbiotic nova AG Peg, observed in 1998, 2001, and 2002 at Lick Observatory. The $H{\alpha}$ and $H{\beta}$ line profiles consist of blue-shifted, red-shifted, and broad components of which intensities and width showed notable changes. The HI emission line profiles that represent the kinematics of the gaseous nebula appear to be mainly from an accretion disk in relatively large radius from the WD. Considering the line of an observer's sight, both GS and WD are located at the sky plane side by side during the 1998 observation, while the WD is in front of GS during 2002 but the WD in rear during 2001. Such a relative position and the spectral line intensity variation imply that a fairly constant outflow occurs into WD from GS which caused to maintain the rotating thick accretion disk structure responsible for the observed spectral lines.

An Analysis of the Symbiotic Star Z And Line Profile (공생별 Z And의 선윤곽 분석)

  • Lee, Seong-Jae;Hyung, Siek;Lee, Kangwhan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33 no.7
    • /
    • pp.608-617
    • /
    • 2012
  • The symbiotic nova Z Andromedae (And) was investigated, using the high dispersion spectra of spectral resolution, ${\Delta}{\lambda}{\sim}-0.1{\AA}$. The spectral observations were done with (1) the Hamilton Echelle Spectrograph (HES) and the high resolution spectra (exposures=1800s and 3600s) were obtained at Lick Observatory in 2001 August $30^{th}$ (phase ${\Phi}$=0.77), and 2002 August $12^{th}$ (phase ${\Phi}$=0.22), (2) with the Bohyunsan Echelle Spectrograph (BOES) at Bohyunsan Optical Astronomy Observatory and the high resolution spectra (exposure=1200s) were secured in 2009 October $21^{st}$ (phase ${\Phi}$=0.70). From both the HES and BOES spectral data in the $3600{\AA}-9500{\AA}$ wavelengths, we extracted the emission lines of HI, HeI, and HeII, which have been decomposed into double or triple Gaussian components for 3 consecutive phases. The emission zones responsible for these components appear to be closely related with the orbital motion of a white dwarf or a giant star. The presence of the Raman scattering $H{\alpha}$ broad wing feature and the kinematic characteristics of the line profile observed in each phase imply that the Z And emission lines are mostly from two Lagrangian points, $L_1$ and $L_2$, and the accretion disk around the white dwarf star. The Z And was most active in 2009 and 2001 during the outburst phase, while it remained quiescent in 2002 in spite of the complex line profi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