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강제치환공법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4초

시화지역 실트질 지반에서 강제치환심도 예측식 산정 (Prediction Equation of Compulsory Replacement Depth of Silty Layer in Sihwa Region)

  • 박영;임희대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7권9호
    • /
    • pp.55-66
    • /
    • 2011
  • 강제치환공법은 다른 연약지반 처리공법에 비하여 시공이 단순하고 경제성이 우수하나 현재까지 정확한 이론적 산정기법이 정립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치환심도의 예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다수의 예측식이 지지력을 기반으로 한 내용에서 관점을 바꾸어 액성한계 및 자연함수비에 근거한 새로운 형태의 예측식을 제안하였다. 예측식은 현장에서 관측된 계측결과와 확인보링에 근거하고, 지역성을 대변하기 위해 시화지역의 실트/점토의 특성을 분석한 자료로부터 관계식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회귀분석기법을 적용하여 최종 예측식을 도출하였다.

중간 모래층이 있는 연약지반내 제방하부 강제치환 깊이 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placement Depth in Soft Soil with Inter Sand Layer)

  • 정형식;방창국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4권4호
    • /
    • pp.61-71
    • /
    • 2003
  • 실트질 점토로 이루어진 연약지반의 호안 제방축조는 성토 제방하중에 의한 연약지반내 강제치환 공법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축조 제방하부 강제치환 깊이는 호안 제방의 안정성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기존의 제방하부 강제치환 깊이 산정방법은 하부 연약점토지반의 비배수 전단강도 증분율을 고려한 제방하부 연약지반의 지지력과 성토제방 하중에 의해 산정하고 있다. 그러나 지반 층후 특성에 따라 중간층 형태의 점토질 실트층 또는 모래층이 있는 경우가 있으며, 이러한 점토질 실트층 또는 모래층은 제방하부 연약지반의 지지력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강제치환 깊이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중간 모래층이 있는 연약지반내 제방 축조시 강제치환 깊이를 Perloff et al.(1967) 영향계수를 고려한 성토제방 하중과 층두께 가중평균 지지력(Bowles, 1988)에 의해 산정하였으며, 수치해석(FLAC)적 방법에 의한 산정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해석결과 제방하부 접지폭이 $0.2B_o$(중간 모래층), $0.5B_o$(단일층)인 경우 산정된 강제치환 깊이는 수치해석과 매우 근접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제방 하부 접지폭의 영향보다 비배수 전단강도 및 중간 모래층 두께, 중간 모래층 위치의 영향이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중간 모래층 두께가 작을수록 강제치환 깊이는 증가하며, 중간 모래층 위치가 증가 할수록 강제치환 깊이는 증가하고, 비배수 전단강도가 감소할수록 강제치환 깊이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항만구조물의 기초처리공법 중 수치 PROGRAM을 이용한 강제치환 예상 추정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umerical Model for Predicting Depth of Replacement and Consolidation by Embankment on Weak Soil)

  • 이상화;이영재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61-65
    • /
    • 2000
  • The estimation of soil stabilization is of great importance concerning the construction of structures on weak soil. A typical model of soil stabilization is considered as replacement, which is based on ground at failure due to direct loading on weak soil. The calculation of the line of predicting settlement was carried out using RPL and DIKE programs. The DIKE program is showing a tendency to excel totally about this embankment of the seadike. Hereafter, This program will be contributed widely to the construction of offshore structures on weak soil.

  • PDF

해안구조물 축조를 위한 해양연약지반의 강제치환 특성에 관한 원심모형실험 (Centrifuge Model Tests on Characteristics in Forced Replacement Method for Soft Ocean Ground to Build Coastal Structures)

  • 박병수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42-48
    • /
    • 2006
  • This paper shows theresults of centrifuge model experiments to investigate the behavior of a replacement method in dredged and reclaimed ground. For this experimental work, centrifuge model tests were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behavior of a replacement method in soft clay ground. Basic soil property tests were performed to find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clay soil sampled from the southern coast of Korea, which was used for the ground material in the centrifuge model tests. The reconstituted clay ground of the model was prepared by applying reconsolidntion pressure in a 1 g condition with a specially built model container. Centrifuge model tests were carried out under the artificially accelerated gravitational level of 50 g. Replacement material of lead with a certain degree of angularity was used and placed until the settlement of the replacement material embankment reached a state of equilibrium. Vertical displacement of the replacement material was monitored during tests. The depth and shape of the replacement, especially the slope of the penetrated material and the water content of the clay ground were measured after finishing tests. Model tests for investigating the stability of an embankment after backfilling were also performed to simulate the behavior of a dike treated with replacement and backfilled with sandy material. As a result of the centrifuge model test, the behavior of the replacement, the mechanism of the replacement material being penetrated into clay ground, and the depth of the replacement were evaluated.

율촌 복합화력발전소 공내 재하 시험 (Pressuremeter Test in YULCHON Combined Cycle Power Plant)

  • 이용길;박경호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2권1호
    • /
    • pp.5-13
    • /
    • 2001
  • 본 논문의 목적은 율촌 복합화력발전소 부지에 대한 지지력 산정 및 지반 특성 파악을 위한 공내재하시험의 결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율촌 복합화력발전소 부지는 인근의 야산 토취장에서 매립토를 채취 운반하여 강제치환공법으로 성토하였으며, 지질은 상부로부터 산토, 준설매립해성점토, 실트집모래, 원지반해성점토층, 풍화대, 풍화암, 연암의 순으로 존재한다. 공내재하시험은 해성점성토층을 제외한 토층에 대하여 토층의 특성에 따라 각각 다른 크기의 Probe와 Membrane을 사용하여 수행하였으며, 콘시험과의 상관성, 내부 마찰각과의 관계 및 토질 특성을 파악하였다.

  • PDF

서해안 저소성 점토질 실트 지반의 부분배수 특성 (Partial Drainage Characteristics of Clayey Silt with Low Plasticity from the West Coast)

  • 김석조;이상덕;김주현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2권9호
    • /
    • pp.17-27
    • /
    • 2016
  • 서해안의 인천 및 화성지역에 분포하는 모래 및 실트 함유량이 많은 저소성 지반에 대해 피에조콘관입시험(CPTU) 데이터 및 강제치환 공법을 이용하여 부분배수 특성을 분석하였다. Powell과 Quarterman(1988)에 의한 과압밀비 $OCR={\kappa}(q_t-{\sigma}_{vo})/{\sigma}^{\prime}_{vo})$ 경험식은 모래함유량이 많은 서해안 저소성 실트 지반에서는 상대적으로 투수성이 커서 표준관입속도(2cm/s)하에서 콘관입저항력($q_t$)이 크게 평가되어 과압밀비가 크게 산정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Schnaid et al. (2004)는 간극수압계수($B_q$)-강도증가율($s_u/{\sigma}^{\prime}_{vo}$)-정규화된 콘저항($Q_t=(q_t-{\sigma}_{vo})/{\sigma}^{\prime}_{vo}$)을 함께 도시하여, 부분배수 유무를 판단하도록 제시하였는데, 인천 및 화성 지역의 CPTU 데이터의 50% 이상이 부분배수 상태를 나타내는 $B_q$ < 0.3에 분포하였다. 또한, 강제치환 시공과정 중 부분배수 현상으로 인해 원지반의 강도증가 현상이 발생되어 설계 예상 치환깊이보다 훨씬 작은 실측값이 얻어진다는 관점에서 실측 치환깊이와 동일한 값이 얻어지도록 원지반의 지지력에 대한 역해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소성지수가 감소할수록 내부마찰각이 커지는 경향을 나타내며, 내부마찰각(${\varphi}^{\prime}$)이 $2{\sim}7^{\circ}$의 범위에서 분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해안제방 시공 중 해수유입에 대한 차수보강 사례분석 (Case Study of Improvement against Leakage of a Sea Dike under Construction)

  • 한상현;여규권;김홍연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4권2호
    • /
    • pp.95-103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차수가 요구되는 해안제방 축조공사 중 해수유입 발생에 대한 원인과 보강사례를 분석하였다. 전기 비저항탐사를 실시한 결과 대체적으로 해저면 원지반과 제체가 명확히 구분되었으나, 상당 부분에서 저 비저항 이상대가 분포함이 확인되었다. 그로부터 누수의 원인은 체절과정에서 강도가 부족한 원지반의 3차원적 전단변형 거동과 그로 인한 불규칙한 강제치환, 그리고 조류와 유속에 의한 차수시트 시공 상 품질확보 문제 등으로 판단된다. 빠른 유속 및 해수조건에서의 시공성과 내구성, 유사한 시공사례, 경제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저유동성 몰탈, 슬러리 및 약액주입공법의 조합을 최적의 보강공법으로 선정하고 확인시추 및 시험시공을 통하여 배합비와 보강패턴을 결정하였다. 일반 및 집중 누수구간으로 구분하여 각 패턴에 따라 시공하고 보강효과를 확인하였다. 보강된 지반의 현장투수시험, 추적자시험, 코아채취 및 일축압축강도 측정 등을 통하여 보강효과를 확인한 결과 모든 시험에서 설정된 기준치를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조위차가 큰 서해안 지역에서 차수가 요구되는 제방시공에 있어서는 특히 체절공사 시 빠른 유속과 그로 인한 조류력이 차수재 품질확보를 저해하는 요인일 뿐 아니라 해저면 연약층의 3차원적 전단변형 거동으로 강제치환 범위와 차수재 포설길이를 예측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있으므로 설계 및 시공 시 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해수가 고결모래의 양생 및 강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a Water on Curing and Strength of Cemented Sand)

  • 박성식;이준우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8권6호
    • /
    • pp.71-79
    • /
    • 2012
  • 해안지역의 연약지반을 개량하기 위한 지반개량공법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던 모래다짐말뚝공법이나 사석치환공법은 최근 거의 사용되지 않으며, 대신 시멘트로 연약점토를 강제 교반시켜 고형화시키는 DCM(Deep Cement Mixing)공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DCM공법이 주로 적용되는 해안지역에는 점토 이외에 모래와 같은 사질토도 존재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해수에 포함된 염분과 양생방법이 시멘트로 고결된 모래의 일축압축강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 연구하였다. 다섯 종류의 시멘트비를 사용하여 다짐방법으로 공시체를 제작한 다음 3일 동안 양생시켜 일축압축시험을 실시하였다. 혼합수로 해수 또는 증류수를 사용한 다음 해상에서 이루어지는 DCM공법을 고려하여 공시체를 해수에 수침시켜 양생하였다. 또한 육상조건과 비교하기 위하여 증류수로 수중양생하거나 대기중 양생도 실시하였다. 혼합수로 해수를 사용한 다음 구속압이 없는 상태로 해수에서 수중양생할 경우 공시체에 여러 균열이 발생하여 고결력이 발현되지 않았다. 시멘트비와 양생방법이 동일한 경우, 혼합수와 양생수로 해수를 사용한 공시체의 일축압축강도는 해수를 사용하지 않은 공시체보다 최대 3.5배 정도 낮게 나타났다. 또한 공시체의 수중양생 시 사용한 양생수보다는 공시체 제작 시 사용한 혼합수에 염분이 포함될 경우 강도 저하에 더 큰 영향을 미쳤다. 시멘트비가 동일한 경우, 사용한 물에 관계없이 대기중 양생한 공시체의 강도가 수중양생한 공시체보다 평균 2배 정도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