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강제가진

검색결과 86건 처리시간 0.028초

외부 가진력의 주파수에 따른 강제진동시스템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Forced Vib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External Exciting Force)

  • 김종도;윤문철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130-137
    • /
    • 2021
  • 주파수를 갖는 외부 가진력에 의하여 강제 진동의 특성을 가진력의 진폭과 주파수에 따라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변위, 속도 및 가속도를 얻기 위해 수치해석을 수행하여 주파수 응답을 얻었고 특히 주파수 영역에서 시스템 고유진동수와 가진 주파수의 발생 위치를 밝히고자 각각의 FRF의 분석을 하였다. 외부 가진에 의한 진동모델에서 변위, 속도 및 가속도의 거동과 주파수 응답함수에서 고유진동 주파수와 주변의 가진 모드 분포도 파워 스펙트럼과 실수부와 허수부의 FRF 에서 나타났으며 각 모드 특성도 구하였다. 진동의 응답은 가진 신호의 크기와 주파수를 주어 정현파의 가진력으로 외부 가진력을 근사화 하였고 이런 가진력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드를 구별할 수 있었다. 상당 질량, 감쇠 및 강성을 변화시켜 수치 분석 후 외부 가진력에 의한 강제 진동 응답 특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정현파로 가진한 강제진동 해석과 응답특성 (Response Characteristics of Forced Vibration Model with Sinusoidal Exciting Force)

  • 김종도;윤문철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131-137
    • /
    • 2020
  • 가진 정현파 강제력에 의한 강제 진동의 특성이 연구되었고 또한, 주파수 영역에서 FRF의 수치 분석을 자세히 수행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강제 진동 모델에서 변위, 속도 및 가속도의 응답을 구하였다. 고유 주파수 주변의 실수부와 허수부의 FRF 특성도 각 경우에 따라 구하였다. 시간 영역에서의 강제 진동의 응답분석은 정현파 강제 진동의 특성을 식별할 수 있다. 변위, 속도 및 가속도 등의 응답을 얻기 위해 Runge-Kutta-Gill 방법의 수치해석 기법을 수행하여 강제력 주파수에 따른 응답을 얻었고 이 주파수는 응답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FRF는 강제 진동의 고유 특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러한 강제 진동 모델의 각 감쇠 조건에서 이러한 응답분석을 성공적으로 자세하게 얻을 수 있었다. 상이한 질량, 감쇠 및 강성에 대한 수치 분석 후, 정현파 강제력에 의한 강제 진동 응답 특성을 강제력의 진폭 및 주파수를 동시에 고려하여 분석되었다.

강제 가진에 의한 교량 플러터계수 추출 (Extraction of bridge flutter derivatives by a forced excitation)

  • 이승호;권순덕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538-544
    • /
    • 2009
  • A vibration excitation system was designed and built of forced vibration experiments for using stepping motor and load cell. The identified flutter derivatives of the thin-plate acrylic model were very close to the analytical results of the idealized plate presented by Theodorsen. Five types of sectional models were tested in the wind tunnel using the proposed forced vibration method. To investigate the frequency, amplitude and angle of attack effects on flutter derivatives.

  • PDF

둔턱 진행 차량의 주파수응답 분석 (FRF Analysis of a Vehicle Passing the Bump Barrier)

  • 김종도;윤문철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151-157
    • /
    • 2022
  • 차량의 진행을 근사화한 외부 가진력을 고려한 강제 진동에서의 주파수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고, 다양한 가진 진폭과 주파수를 갖는 외력이 작용하면서 차량이 둔턱을 넘어갈 때에 차량에서 일어나는 주파수 영역의 진동특성을 분석하였다. 응답은 수치해석을 통하여 변위, 속도 및 가속도 등의 응답을 구하였고 이들을 FFT 처리하여 각 시간 응답의 FRF(Frequency response function) 주파수 특성을 분석하였다. 특히, 차량 고유모드와 외부 가진 모드의 발생 위치를 확실하게 비교하여 밝혔고 외부 가진력에 의한 강제진동 모델에서 변위, 속도 및 가속도의 거동과 주파수 응답함수에서의 고유모드의 위치와 주변의 가진 모드 분포 및 파워 스펙트럼, 실수부와 허수부의 FRF도 나타났으며 각 FRF에서 근접 모드 특성도 분석하였다. 외부 가진력으로 정현파의 가진력과 임펄스 가진력에 의한 둔턱 주파수를 고려하여 가정한 근사 모델에서 발생 모드를 구별할 수 있었다. 상당하는 질량, 감쇠 및 강성을 변화하는 여러 시스템에서 강제진동의 응답특성을 체계적으로 다루었다.

심해공학수조에 적용되는 수중카메라를 이용한 세장체의 연속 거동 측정방법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Measurement System of Behavior of a Slender Structure using an Underwater Camera which is applied in DOEB)

  • 정동호;권용주;박병원;정재환;최종수;조석규;성홍근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8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세장체의 연속적인 거동을 전체 길이에 대하여 측정할 수 있는 계측시스템을 선정하며, 선정된 수중카메라 시스템의 성능평가를 수행한다. 수중카메라의 기초성능평가를 위하여 강체파이프의 강제가진 실험을 수행한다. 파이프의 상단을 강제가진장치에 고정시킨 후, 일정주기와 진폭으로 가진시켜 수중카메라를 이용하여 변위를 측정한다. 강제가진장치에 입력된 신호와 수중카메라에 계측된 신호를 비교하여 측정 정밀도를 평가한다. 연속체인 세장체 파이프의 강제가진 실험을 수행하여, 수중카메라 시스템의 실시간 3차원적인 측정 가능성을 정성적으로 평가한다. 본 수중카메라 시스템은 향후 국내 심해공학수조에 적용되어, 세장체구조물 및 계류선 등의 거동 측정에 활용될 것이다.

강제진동에 의한 계류라인의 장력 해석 (Analysis on tension response of mooring lines by forced oscillation)

  • 박한일;정동호;윤종현
    • 한국해양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공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56-56
    • /
    • 2003
  • 계류라인은 해양관측부이 혹은 해양구조물을 일정일치에 계류시키기 위해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본 연구에서는 상부구조물의 거동에 의한 계류라인의 거동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상부 윗단에서 일정주기와 진폭으르 가진되는 경우에 장력과 변위의 응답을 살펴보았다. 수평으로 가진되는 경우에 규칙적으로 가진됨에도 불구하고 맨윗단에서 장력은 가진 주파수 성분 이외에 고주파수 성분이 함께 응답하였다. 이 때 고주파수 성분은 계류라인의 길이와 장력에 따라서 다른 성분으로 나타났는데, 이 성분은 상부단에서 발생한 에너지가 전달되어 해저고정단에서 다시 반사되어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되어 진다. 향후 이 성분에 대한 정량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수직으로 가진되는 경우에는 장력이 충격력 효과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지반과의 상호작용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레이추적기법을 이용한 평판 횡진동의 단일주파수 해석 (Single Frequency Analysis of Flexural Vibration of Thin Plate by Using the Ray Tracing Method)

  • 채기상;이정권
    • 한국음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음향학회 2000년도 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19권 1호
    • /
    • pp.267-270
    • /
    • 2000
  • 강제가진을 받는 진동장은 직접장과 반사장으로 이루어진다. 직접장은 무한구조요소가 점입력을 받을 때의 해와 같으며, 반사장은 직접장에 의해 발생되는 1차 반사파 및 추가로 발생하는 무수한 반사파들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점가진을 받는 유한한 평판의 단일 주파수 해석을 수행하기 위한 레이추적기법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직접장은 고주파수 가정을 이용하여 원형전달파로 근사화하고. 이 원헝전달파를 다수의 파동관 (wave tube)으로 이산화하였다. 균일한 경계조건과 무시할 만큼의 미약한 굴절효과를 가정하고 경계에서의 정반사 (specular reflection)만을 고려하여, 경계에서의 입사파동관. 전달 및 반사파동관의 기하학적 관계를 제안하였다. 이들 파동관이 평판 내부를 진행하면서 관측점에 미치는 영향들을 합성하여 비교적 정확한 강제진동응답을 얻을 수 있음을 단일 평판의 예제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연성된 평판의 경우에는 다소 부정확한 결과를 얻었다.

  • PDF

강제 가진에 의한 교량 플러터계수 추출 (Extraction of Bridge Flutter Derivatives by a Forced Excitation)

  • 이승호;권순덕
    •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
    • 제19권6호
    • /
    • pp.575-582
    • /
    • 2009
  • This study presents the vibration excitation system to extract the aerodynamic stability derivatives which is generally called as flutter derivatives in civil engineering. The system consists of the excitation part to give a forced harmonic motion to the model and the sensing part to measure the aerodynamic forces as well as inertia forces acting on a bridge model. A data processing algorithm for extracting the flutter derivatives from the measured forces is also presented. From the wind tunnel tests, verification of present system was done by comparing the measured and analytical results for rectangular shaped model. The effects of excitation frequencies and amplitudes on flutter derivatives are discussed. Five kinds of actual bridge model were presented from the wind tunnel.

철근콘크리트조 4층 골조건물의 강제진동실험 (Forced Vibration Testing of a Four-Story Reinforced Concrete Frame Building)

  • 유은종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11권2호
    • /
    • pp.27-38
    • /
    • 2007
  • 노스리지 지진에 의해 손상을 받은4층 철근콘크리트조 골조건물을 대상으로 선형가진기 및 대용량의 편심가진기를 이용한 강제진동실험과 상시미진동 측정을 실시하였다. 미진동 가속도데이터 및 선형가진기에 의한 백색잡음 실험시의 가속도데이터로부터 구조물식별을 수행하여 7차모드까지의 고유진동수 및 모드감쇠비를 얻었다. 두대의 대용량 편심가진기를 사용하여 얻은 큰 진폭의 조화 진동하에서는 가속도데이터를 사용하여 각 방향 1차모드를 식별하였으며 변위계와 변형게이지를 이용하여 층간변위각, 기둥과 슬래브와 같은 구조부재의 곡률분포를 측정하였다. 각 경우 고유진동수는 진동의 크기가 클수록 낮아졌다. 즉, 편심가진기가력시 고유진동수는 상시미진동시에 비해 $70{\sim}75%$, 선형가진시가력시에 비해 $92{\sim}93%$ 정도로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진동수의 감소폭은 지진에 의해 큰 손상을 받았던 건물의 남북방향에서 크게 나타났다.

건마찰 감쇠기가 부착된 외팔보의 강제진동 응답 해석 (An Analysis of Forced Vibration Response of a Cantilever Beam with a Dry Friction Damper)

  • 고영준;강병용;장호경;김예현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33-39
    • /
    • 1996
  • 비선형 건마찰 감쇠를 가진 외팔보의 강제진동 응답을 건마찰 감쇠기와 가진력의 위치변화에 대하여 미끄러진 변위와 힘레벨을 수치해석하였다. 구성모드의 분석은 비선형 감쇠를 가진 계를 해석하기 위해 구속조건과 Lagrange 승수에 기초를 두고 분석하였다. 외팔보의 진동분석 결과 건마찰 감쇠기가 부착된 단순 지지된 보(beam)에서 보여진 응답특성과 유사한 특성이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