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강의 저장

Search Result 825, Processing Time 0.045 seconds

A Study on SMIL-based Contents for Distance Education (SMIL 기반 원격강의용 컨텐츠 연구)

  • 정상준;최용준;백승구;하성룡;김종근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0.11a
    • /
    • pp.407-410
    • /
    • 2000
  • 인터넷이 보편화되고, 멀티미디어 처리 기술과 정보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인터넷을 이용한 원격교육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인터넷을 통해 다양한 멀티미디어 자료를 제공하여 면대면 강의실 강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도구는 많이 등장하고 있으나, 강의 도구에서 제공해야 할 기능에 대한 표준이 존재하고 있지 않으며, 강의 행위를 기록하고 재생하기 위한 표준화된 자료구조가 없으며 강의 도구간의 자료호환이 되지 않고 있어 저작된 강의의 활용성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강의 행위를 표준화 하고 이에 따라 저작된 강의를 저장하고 실행하는 표준 및 메커니즘의 개발이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교수자의 음성과 다양한 드로잉과 포인터라는 교수자의 기본 강의 행위를 기준으로 강의를 저장하고 재생하는 멀티미디어 원격강의 도구를 구현하였다. 또한, SMIL을 확장하여 멀티미디어 원격강의를 저장하기 위한 자료구조인 SMILe(SMIL For Education)을 제안한다. 제안된 SMILe은 강의자의 음성 파일, 강의자료인 이미지 파일, 강의 드로잉, 포인팅을 시간적 프리젠테이션이 가능한 SMIL 문서로 나타낼 수 있어 보다 쉽고 효율적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구성할 수 있다.

  • PDF

노계육의 화염처리에 따른 육질 및 저장 특성 변화

  • Chae, Hyeon-Seok;Yu, Yeong-Mo;An, Jong-Nam;Ham, Jun-Sang;Kim, Dong-Hun;Jeong, Seok-Geun;Lee, Jong-Mun;Choe, Ya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Conference
    • /
    • 2004.05a
    • /
    • pp.269-273
    • /
    • 2004
  • 본 연구는 노계육의 화염처리의 정도에 따른 육질 및 저장 특성의 변화를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육질특성에서 hardness(경도)는 노계육의 가슴살에서 저장 1일에 화염처리를 하지 않는 처리구에서 4.72kg을 나타냈으며 중처리에서는 4.66kg, 강처리에서는 5.05kg으로 강처리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오히려 강처리구에서 경도의 변화가 가장 크게 떨어져 저장 5일에 1.02kg까지 낮아졌다. 지방산패도(TBA)는 저장 5일에 최대로 증가하였으며 특히 화염처리 수준이 가장 높은 처리구(80PSI)에서 0.21mgMA/kg으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단백질산패도(VBN)는 저장 5일에 화염처리하지 않는 처리구에서 4.94mg%를 나타냈고, 중 및 강처리구에서 각각 6.58, 6.57mg%으로 나타나 저장기간이 많을수록 화염처리수준이 증가할수록 값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었다. 총미생물 수에서 저장 3일에 화염처리하지 않는 구에서 $4.85Log_{10}\;CFU/cm^2$으로 나타났고, 화염처리 수준이 증가할수록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어 강처리구에서 $4.55Log_{10}CFU/cm^2$수준을 나타냈다. 결과적으로 화염처리 수준이 증가할수록 육질의 경도, 지방산패도 및 단백질 변성도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고, 반면에 총 미생물 수는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Microsoft-Kinect Sensor utilizing People Tracking System (Microsoft-Kinect 센서를 활용한 화자추적 시스템)

  • Ban, Tae-Hak;Lee, Sang-Won;Kim, Jae-Min;Jung, Hoe-K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5.05a
    • /
    • pp.611-613
    • /
    • 2015
  • Multimedia classroom teaching as well as the automatic tracking of the camera are automatically saved track to be saved. The existing tracking system is attached to the body by a separate sensor to track or on the front of the sensor to the construction of the track was a hit at the same time in front of the discomfort caused by tracking errors when I had an issue that shouldn't be. In this paper, Microsoft-Kinect sensor, using the speaker's position and behavior analysis (instructor), and PTZ cameras, recording systems, storage classes and lectures with classroom lessons can be effective at the time of recording to the content production about the technology of unmanned speaker tracking solution.

  • PDF

Status and Prospect of Site Welding Technology for LNG Strorage Tank (LNG 저장탱크의 현장용접 시공기술의 현상 및 전망)

  • 이광희;전혁성
    • Journal of Welding and Joining
    • /
    • v.13 no.3
    • /
    • pp.8-17
    • /
    • 1995
  • LNG를 저장할 수 있는 탱크는 주로 지상식이거나 반지하식이며 그 용량은 매우 다양하다. 우리나라에서는 지상식 탱크가 평택 인수기지에 10만m$^{3}$급 Membrane Type 6기가 건설되었고 1기는 거의 완성단계이며, 현재 추가로 건설 중인 3기를 포함하면 총 10기의 탱크를 확보하게 된다. 또한 제2인수기지인 인천에도 동급 으로서 9%Ni강을 사용하는 Double Wall Type LNG 탱크 3기를 건설 중이다. 전세계적 으로 볼 때 LNG 저장 탱크의 78%는 지상식으로 Double Wall Type 또는 Membrane 저장 탱크 형식을 취하고 있으나, 최근에는 안전성 측면, 토지 가격의 상승, 토지의 합리적 이용 측면 등을 감안하여 LNG 탱크를 지하화, 대형화하는 추세이다. 본고에서는 Fig. 1과 같은 구조의 Double Wall Type LNG 저장탱크 중 초저온의 LNG에 직접 접하는 저 온용 재료(9%니켈강)로 만들어지는 내조 용접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논하기로 하며, 특히 9% 니켈강 Shell Plate Horizontal Joint에 채용되는 Automatic Submerged ARC 용접에 대해 실제 현장 용접 시공상태를 나타내고자 한다.

  • PDF

노계육의 화염처리 수준에 따른 pH, 드립발생, 육색, 도체특성 변화

  • Chae, Hyeon-Seok;Yu, Yeong-Mo;An, Jong-Nam;Ham, Jun-Sang;Jeong, Seok-Geun;Lee, Jong-Mun;Yun, Sang-Gi;Choe, Ya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Conference
    • /
    • 2004.05a
    • /
    • pp.283-286
    • /
    • 2004
  • 본 연구는 노계육의 화염처리 조건에 따른 pH, 드립발생, 육색, 도체특성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pH는 저장 3일에서도 화염 중처리와 강처리구에서 5.76, 5.96으로 무처리구보다 높은 경향을 나타냈으나, 저장 5일에서는 처리별 비슷한 경향을 나타냈다. 드립 발생율은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처리구와 상관없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저장 5일에 화염을 80PSI으로 처리한 구에서 0.55%으로 무처리보다 2.7배 정도 드립발생율이 저하되었다. 노계육의 황색도($b^{\ast}$)는 저장 1일의 가슴살 경우 화염처리를 하지 않는 구에서 6.07를 나타냈으며, 중처리 및 강처리로 높일수록 9.77, 11.77으로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깃털유무는 화염처리 하지 않는 처리구에서 평균 5.7개를 나타냈으나 화염이 강도 80PSI로 증가하였을 때 2.3개로 현저히 저하되었다. 잔모는 화염을 처리하지 않는 처리구에서는 잔모가 약간 분포되어있는 수준이 55,6%이었으나 강처리구에서는 5.6%까지 저하되는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볼 때 노계육의 화염 처리는 80PSI 수준까지 올려도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Enhancement of Power System Stability using Flywheel Energy Storage System (플라이휠 에너지 저장장치를 이용한 전력계통의 안정도 향상)

  • Lee, Jeong-Phil;Han, Snag-Chul;Han, Young-Hee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5a
    • /
    • pp.79.2-79.2
    • /
    • 2011
  • 플라이 휠 에너지 저장장치(Flywheel Energy Storage System: FESS)는 전기 에너지를 회전 운동 에너지로 저장하였다가 필요시 회전 운동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재사용 가능한 에너지 저장장치 이다. 최근 전력 변환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플라이휠 에너지 저장 장치의 에너지 입출력 속도가 빨라지고 대용량의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플라이휠 에너지 저장 장치의 전력 입출력 특성을 이용하여 전력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저주파 진동(Low frequency oscillation)을 억제하는 방안을 제시 하여 안정도를 향상 시키고자 하였다. 전력 시스템은 발전조건, 전송조건, 부하조건에 따라 동작 조건이 지속적으로 변하고 있다. 이러한 동작 환경 변화는 전력 시스템에 대한 수학적인 표현과 실제 전력계통간의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에 정확한 제어 목적을 달성하기가 힘들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제어기 설계 단계에서 전력 계통의 불확실성을 고려할 수 있는 $H_{\infty}$ 제어 기법을 이용하여 플라이휠 에너지 저장장치를 위한 강인 제어기를 설계 하였다. 제안한 플라이휠 에너지 저장장치의 강인 제어기의 유용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1기 무한대 모선에 적용한 결과를 비선형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다양한 외란이 발생한 경우에 외란 억제 성능과 강인성에 대하여 고찰 하였으며, 제안한 방식이 기존의 전력계통 안정화 장치(Power system stabilizer: PSS) 보다 효율적이며 전력계통의 안정도 향상에 크게 기여함을 보이고자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