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강의지원

검색결과 281건 처리시간 0.021초

강의자원 검색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trieval System of Course Materials)

  • 남영준;임영선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05-215
    • /
    • 2010
  • 이 연구는 강의지원서비스에 대한 사례분석을 통해 강의지원서비스의 기본 구성요소를 추출하였고, 강의자원의 공유를 위한 OCW현황을 살펴보았다. 각 대학에서 개설되는 교과목과 관련한 강의자원들에 대한 의미기반 검색이 가능한 온톨로지 기반 검색시스템의 모형을 설계하고 구축하였다. 구축된 시스템의 평가를 위해 기존 키워드 시스템과의 검색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온톨로지 기반시스템이 단순 키워드 검색에 비해 적합한 검색결과를 나타냈고, 대학간 자원 공유에도 더 효과적임을 제시하였다.

원격제어에 의한 강의 지원 시스템의 구현 (Implementation of Lecture Support System by Remote Control)

  • 문해룡;김진현;박정구;김병철;이호영;;권순각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777-780
    • /
    • 2009
  • 학교의 컴퓨터 실습실 환경에서 컴퓨터들의 교육용 관리, 제어 시스템으로 교육의 질적 성장욕구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교육환경을 효과적으로 지원하여 보다 관리하기 편리한 실습실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강의지원 시스템을 구현한다. 시스템의 기능으로 학습자의 화면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어 수업상황을 관리, 감독할 수 있다. 그리고 원격제어를 이용하여 특정 학습자와 1:1 개별학습이 가능하다. 또한, 강사의 실습화면을 학습자 컴퓨터로 전송, 전원제어, 채팅, 실습 컴퓨터 Lock 기능 등이 있다. 이 시스템으로 인한 기대효과로 수업의 집중화, 인적자원의 낭비 최소화, 시간적 자원의 낭비 최소화, 편의성 증대 등을 들 수 있다.

  • PDF

효과적인 XML 기반 강의 컨텐츠 구조에 대한 연구 (The Effective Structure of XML -based Lecture Contents)

  • 신행자;박경환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245-249
    • /
    • 2000
  • 현재 웹 기반 가상 교육 시스템은 가상 강의실에서 학습자들이 볼 수 잇는 강의내용은 HTML 형식의 문서이다. 이는 HTML문서의 한계 때문에 학습자들은 강의 컨텐츠를 읽어 단순히 강의내용을 이해하는 수준으로만 학습이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 인터넷상에서 표준 공통포맷으로 대두되고 있는 XML을 이용하여 게시될 강의내용을 구조화하여 효율적인 학습이 가능하도록 XML기반의 강의 컨텐츠 구조를 제안하였다. XML기반의 강의 컨텐츠는 학습자들의 요구에 따른 유연성을 제공할 뿐만아니라 내용을 기반으로 한 분석이 가능하여 데이터 중심의 구조화가 가능하므로 처리 응용에도 의미정보로 저장하여 다양하고 효과적인 가상 강의실을 지원할 수 있는 가상교육시스템구축이 가능하다.

  • PDF

웹 2.0 기반 교수 강의.연구지원 학술정보서비스 모델 개발 - 대학도서관을 대상으로 - (The Modeling of Scholarly Information Services in Order to Support Lecture and Research Activities for Faculties-Based Web 2.0 in Korea University Libraries)

  • 이응봉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57-180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대학도서관 정보서비스의 질적인 향상 및 이용자 중심적인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하여 우리나라와 미국의 주요 대학도서관들에서 시행하고 있는 교수의 교과목 강의 및 연구활동을 지원하는 관련 프로그램을 조사 비교 분석 평가하여 이를 벤치마킹하였다. 그리고 우리나라의 대학도서관 실정에 적합한 교수의 교과목 강의와 연구활동을 실질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웹 2.0(또는 라이브러리 2.0) 관련기술을 적용한 학술정보서비스 모델을 개발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제반 고려사항을 제안하였다.

협업 세션 중심의 동기식 원격교육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ollaboration Session-Centric Synchronous Distance Learning System)

  • 조성국;이장호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209-219
    • /
    • 2011
  • 컴퓨터 기반의 원격교육 시스템의 대부분은 학생이 강의자에 의해 이미 강의된 내용을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하여 보는 형태의 비동기식(asynchronous) 원격 교육 시스템이다. 이러한 비동기적인 시스템의 경우, 시간에 구애 받지 않고 강의 내용을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학생과 강의자간의 실시간 상호작용 등을 지원하지 않음으로 인하여 학습 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학생과 강의자 간의 협업 세션(collaboration session) 모델을 기반으로 하여, 학생과 강의자간의 실시간 상호작용, 강의 중의 인지 정보, 그리고 학생으로부터의 피드백을 지원하는 협업 세션 중심의 동기식 원격 교육 시스템(collaboration session-centric synchronous distance learning system)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의 기본 기능에는 음성 및 화상 회의(audio and video conferencing), 텍스트 기반 채트, 주석(annotation)이 가능한 공유 슬라이드가 포함된다.

공학 분야에서의 영어 강의(English Medium Instruction)에 대한 기초 연구 (Instructor Beliefs and Attitudes about English Medium Instruction: Report of Questionaire Study)

  • 강소연;박혜선
    • 공학교육연구
    • /
    • 제7권1호
    • /
    • pp.87-96
    • /
    • 2004
  • 영어가 세계적인 공용어로 인식 되어감에 따라 특히 공학과목의 영어 강의가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영어강의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교수 및 학생의 영어능력과 강의를 지원해주는 시스템이 모두 중요하지만 현실적으로는 이에 대한 별도의 지원이 거의 없는 현실이다. 본 연구는 Y 대학교 공과대학에서 전공과목의 영어강의를 하고 있는 교수들의 영어강의에 대한 지각성향과 개선방향에 대한 의견을 조사를 하였다. 교수들은 자신의 전공영어능력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하였으나 영어강의에 대해 스트레스를 가지고 있었다. 무엇보다 학생들의 영어강의에 대한 준비의 부족이 효과적인 영어강의의 방해요인으로 생각하고 있어서 이에 대한 학교당국의 지원이 무엇보다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논스톱 강의 지원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Nonstop Lecture Support System)

  • 홍현표;전현덕;허성해;안동혁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7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091-1092
    • /
    • 2017
  • 해당 시스템은 서버, PC, 안드로이드 프로그램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구성된 시스템으로 강의와 같이 지속해서 프레젠테이션을 시행하는 발표자가 빠르고 편리하게 프레젠테이션을 준비할 수 있게 도와주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는 더욱 빠르고 간편하게 강의를 준비하고 강의 진행에 있어서 추가적인 지원 기능을 이용하여 청자들에게 강의의 내용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e-Learning 강의 지원을 위한 디지털콘텐츠 서비스 활성화 방안연구 - I 대학 교수.학생.도서관서비스를 중심으로 - (Study on Activate Methods for Digital Contents Service to Support Academic Courses in e-Learning)

  • 이종원;고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8권2호
    • /
    • pp.89-102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각 대학의 최근 변화된 강의환경을 고려하여 도서관에서 제공하고 있는 상용 디지털 콘텐츠와 대학의 e-Learning 현황을 분석하고 현재의 환경하에서 요구되어지는 대학도서관 서비스 활성화 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e-learning 강의를 이용하고 있는 I 대학의 교수 학생을 대상으로 e-Learning 강의 지원에 미치는 대학도서관에서 제공하는 상용 디지털콘텐츠 서비스 품질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도서관의 상용 디지털콘텐츠 제공 서비스 품절은 디지털도서관 서비스 측정모형으로 사용되어지고 있는 Digital Library Service Quality Index(이하 DL-SQL모형이라 함)을 바탕으로 4개의 차원(정보시스템 품질, 디지털장서 품질, 고객서비스 품질, 고객커뮤니티 품질)과 7개의 구성요인(검색성, 전담조직 및 인터페이스, 접근성, 디지털장서, 고객지원서비스, 개인화서비스, 고객커뮤니티) 등을 일부 수정하여 디지털 콘텐츠관련 서비스 품질을 측정하였다. 측정결과 디지털콘텐츠 관련 도서관서비스에서 "고객서비스"와 "고객커뮤니티" 품질 서비스는 "정보시스템"과 "디지털장서"에 대한 품질 서비스보다 e-Learning 강의 지원과 학습에 더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e-Learning 강의를 개설하는 교수와 수강하는 학생들에게 대학도서관에서 상용 디지털콘텐츠를 구입하여 제공하는 양적 푸싱 서비스 보다는 도서관의 대 이용자 고객맞춤정보 서비스가 e-Learning 강의지원에 더 많은 영향을 끼치는 요인으로 분석됨으로써 향후 대학에서 e-Learning 강의와 연계된 디지털콘텐츠 구축관련 정책수립시 참고해야 할 도서관 서비스 활성화 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 PDF

기술계 교과목의 가상강의를 위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개발 방법

  • 김종근;정승필
    • 한국멀티미디어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5-11
    • /
    • 2001
  •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여 많은 가상강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가상강의가 제대로 수행되기 위해서는 해당교과목의 분야 특성을 적절히 반영한 강의용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개발되어야하고, 컨텐츠를 제공하고 교수 및 학생 활동을 지원하고 학습자에게 학습의 동기를 유발할 수 있는 운영환경이 제공되어야 한다. 본고는 대학의 기술계열 교과목에서 수년간에 걸친 가상 강의용 컨텐츠 개발 및 운영의 경험을 바탕으로 하여, 기술계 교육에 적절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유형과 효과적인 개발 방법을 제안하고 개발 예를 보여주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