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강우의 시공간분포

Search Result 103, Processing Time 0.24 seconds

Analysis on the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 of groundwater recharge rate in Jeongup area (정읍지역 지하수 함양량의 시공간적 변동해석)

  • Chung, Il-Moon;Na, Han-Na;Kim, Nam-Won;Lee, Duk-S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2016-2020
    • /
    • 2010
  • 기존에 국내외에서 적용되는 지하수 함양량 추정방법인 기저유출 분리법, 연단위 물수지 분석법, 지하수위변동법 등은 집중형 개념을 기반으로 하거나 국지적인 규모로 다뤄지기 때문에 함양량의 시공간적 변동성을 나타내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공간적으로 변하는 지하수 함양량을 정량적으로 추정할 수 있는 기법을 이용, 실제 유역에 적용하였다. 이를 위해 강우-유출 모형은 수문성분 해석 이론이 잘 정립된 SWAT모형과 SWAT모형의 지하수 부분을 MODFLOW모형으로 대체한 SWAT-MODFLOW모형을 선택하였고, 분석 대상유역인 정읍지역을 대상으로 각 소유역 및 수문학적 반응단위(Hydrologic Response Unit: HRU)별로 토지이용과 토양통 특성을 반영하여 지하수 함양량의 시공간적인 변화를 산정하였다. 2001년부터 2008년까지의 소유역별 일단위 지하수 함양량을 산정하였으며, 함양량의 시 공간적 변동성을 분석한 결과 월평균 함양량의 경우 대략 280mm 범위 내에서 유역의 토지이용 및 토양특성, 경사 등에 따라 매우 비 균질하게 분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렇게 산정한 함양량은 지역지하수 관리계획에 유연하고 합리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pplication Analysis of GIS Based Distributed Model Using Radar Rainfall (레이더강우를 이용한 GIS기반의 분포형모형 적용성 분석)

  • Park, Jin-Hyeog;Kang, Boo-Sik;Lee, Geun-Sa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6 no.1
    • /
    • pp.23-32
    • /
    • 2008
  • According to recent frequent local flash flood due to climate change, the very short-term rainfall forecast using remotely sensed rainfall like radar is necessary to establish. This research is to evaluate the feasibility of GIS-based distributed model coupled with radar rainfall, which can express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 for multipurpose dam operation during flood season. $Vflo^{TM}$ model was used as physically based distributed hydrologic model. The study area was Yongdam dam basin ($930\;km^2$) and the 3 storm events of local convective rainfall in August 2005, and the typhoon.Ewiniar.and.Bilis.collected from Jindo radar was adopted for runoff simulation. Distributed rainfall consistent with hydrologic model grid resolution was generated by using K-RainVieux, pre-processor program for radar rainfall. The local bias correction for original radar rainfall shows reasonable results of which the percent error from the gauge observation is less than 2% and the bias value is $0.886{\sim}0.908$. The parameters for the $Vflo^{TM}$ were estimated from basic GIS data such as DEM, land cover and soil map. As a result of the 3 events of multiple peak hydrographs, the bias of total accumulated runoff and peak flow is less than 20%, which can provide a reasonable base for building operational real-time short-term rainfall-runoff forecast system.

  • PDF

A Study on the Analysis of Long-term Climate Change using Spatio-temporal Rainfall Data in Extremely High Resolution (시공간적 초상세 강우자료를 이용한 장기 기후변화 분석연구)

  • Kim, Min Seok;Kang, Ho Yeong;Lee, Jung Hwan;Moon, Young 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455-455
    • /
    • 2017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도시홍수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HadGEM3-RA의 한반도(12.5km) 기후변화 RCP 4.5 및 RCP 8.5시나리오에 대해 편의보정 및 시간상세화를 실시하여 기후변화를 고려한 수문분석을 하였다.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편의보정은 Gamma분포를 이용한 모수적 분위사상법과 관측자료의 누가확률분포를 이용하는 비모수적 분위사상법으로 수행하였으며, 관측된 분 단위 강우자료를 기반으로 기후변화 시나리오 미래기간에 대해 시간상세화를 실시하였다. 또한, 도림천유역을 중심으로 기후변화 시나리오 미래기간의 확률강우량과 설계홍수량을 산정하였다. 본 연구에 결과는 수문분석을 위한 기후변화 시나리오 시간상세화 방안에 크게 기여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evelopment of Grid-Based Conceptual Hydrologic Model (격자기반의 개념적 수문모형의 개발)

  • Kim, Byung-Sik;Yoon, Seon-Kyoo;Yang, Dong-Min;Kwon, Hyun-Ha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3 no.7
    • /
    • pp.667-679
    • /
    • 2010
  • The distributed hydrologic model has been considerably improved due to rapid development of computer hardware technology as well as the increased accessibility and the applicability of hydro-geologic information using GIS. It has been acknowledged that physically-based distributed hydrologic model require significant amounts of data for their calibration, so its application at ungauged catchments is very limited. In this regard, this study was intended to develop a distributed hydrologic model (S-RAT) that is mainly based on conceptually grid-based water balance model. The proposed model shows advantages as a new distributed rainfall-runoff model in terms of their simplicity and model performance. Another advantage of the proposed model is to effectively assess spatio-temporal variation for the entire runoff process. In addition, S-RAT does not rely on any commercial GIS pre-processing tools because a built-in GIS pre-processing module was developed and included in the model. Through the application to the two pilot basins, it was found that S-RAT model has temporal and spatial transferability of parameters and also S-RAT model can be effectively used as a radar data-driven rainfall-runoff model.

Applicability of Sobaek Radar Rain for Flood Routing of Chungju Dam Watershed (충주댐 유역 홍수추적을 위한 소백산 레이더 강우자료의 적용성 검토)

  • Ahn, So-Ra;Park, Hye-Sun;Han, Myoung-Sun;Kim, Seong-Jo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7 no.1
    • /
    • pp.129-143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availability of dual-polarization radar rain for flood routing in Chungju Dam watershed($6,625.8km^2$) using KIMSTORM (Grid-based KIneMatic wave STOrm Runoff Model). The Sobaek dual-polarization radar data for 1 heavy rain and 3 typhoon(Khanun, Bolaven, and Sanba) events in 2012 were obtained from Han River Flood Control Office. The spatio-temporal patterns between the two data were similar showing the ratio of radar rain to ground rain with 0.97. The KIMSTORM was set to $500{\times}500m$ resolution and a total of 45,738 cells(198 rows${\times}$231 columns) for the watershed. For radar rain and 41 ground rains, the model was independently calibrated using discharge data at 3 streamflow gauging stations(YW1, YC, and CJD) with coefficient of determination($R^2$), Nash and Sutcliffe Model Efficiency(ME), and Volume Conservation Index(VCI). The $R^2$, ME, and VCI 0.80, 0.62 and 1.08 for radar rain and 0.83, 0.68 and 1.10 for ground rain respectively.

Flood Runoff Analysis using Radar Rainfall and Vflo Model for Namgang Dam Watershed (레이더강우와 Vflo모형을 이용한 남강댐유역 홍수유출해석)

  • Park, Jin-Hyeog;Kang, Boo-Sik;Lee, Geun-Sang;Lee, Eul-Ra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0 no.3
    • /
    • pp.13-21
    • /
    • 2007
  • Recently, very short-term rainfall forecast using radar is required for regional flash flood according to climate change. This research is to evaluate the feasibility of GIS based distributed model using radar rainfall which can express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 in actual dam watershed during flood runoff period. Vflo model which was developed Oklahoma university was used as physical based distributed model, and Namgang dam watershed ($2,293km^2$) was applied as study site. Distributed rainfall according to grid resolution was generated by using K-RainVieux, preprocess program of radar rainfall, from JIN radar. Also, GIS hydrological parameters were extracted from basic GIS data such as DEM, land cover and soil map, and used as input data of distributed model(Vflo).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provide a base for building of real-time short-term rainfall runoff forecast system according to flash flood in near future.

  • PDF

Flood Risk Assessment of Seoul based on Watershed Characteristics (유역특성 기반의 서울시 침수위험성 분석)

  • Kim, Sung Eun;Kang, Won-Sam;Baek, Jong-Ra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8-38
    • /
    • 2022
  • 서울특별시(이하 서울시)는 기존 상습침수지역과 2010년, 2011년 집중호우로 발생한 침수피해를 바탕으로 34개의 침수취약지역을 선정하고, 이들 지역에 2011년 3월부터 2023년 12월까지 총사업비 1조 5,300억여 원을 투입하여 하수관거 정비, 펌프장 신설 및 증설, 저류조 신설 등 배수능력을 확충하는 사업을 진행해오고 있다. 하지만, 기후변화로 인해 집중형 배수시설의 설계용량을 초과하는 강우의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극한홍수 발생위험과 기상예측 불확실성이 커짐에 따라, 배수시설의 용량을 증설하는 집중형 우수배제체계 중심의 침수관리만으로는 안전한 침수대응이 어렵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침수대응 다각화를 위해 유역의 자연적, 사회환경적 특성을 대표할 수 있는 52개 지표를 선정하고 서울시를 소규모 유역 단위인 163개의 배수분구로 구분하여 지표별 공간적 분포와 특성 분석을 통해 각 배수분구를 유형화하고, 유형특성에 따른 침수취약성과 잠재적 침수발생 위험성을 분석하여 침수위험성을 평가하였다. 유역의 특성을 대표하는 각종 지표의 서울시 내 공간적 분포를 분석한 결과, 지표별 공간적 분포 특성이 상이했으며, 지표별 최대/최소값의 차이가 수배에서 수백배까지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서울시 내외에 산포된 총 40개 기상청관측소의 2010년부터 2019년까지 시간강우자료를 이용하여 강우관련 지표들의 시공간적 분포를 분석한 결과, 연평균강우량, 여름철강우량, 일최대강우량 등에서 지역적으로 최대 수백 mm의 강우량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역특성에 따른 서울시 침수위험성을 평가한 결과, 침수발생 및 피해에 불리한 유역의 공간적 취약성이 높은 배수분구로는 봉천1, 송파, 길동, 미아, 상계1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침수발생에 대한 잠재적 위험성이 높은 배수분구는 이문, 정릉, 제기1, 장안, 전농 등의 순으로 분석되었다. 침수발생에 대한 잠재적 위험성과 침수피해에 불리한 공간적 취약성이 모두 높아 침수위험성이 큰 배수분구는 상계1, 미아, 장위, 창동1, 동선, 수유2, 방학, 길동, 월계2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 PDF

Imputation of missing precipitation data using machine learning algorithms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한 결측 강우 데이터 추정에 관한 연구)

  • Heechan 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320-320
    • /
    • 2023
  • 강우 데이터는 수문기상, 환경, 농업, 자연재해, 그리고 수자원 시스템 분야에서 가장 필수적인 기본 요소 중 하나이다. 또한 강우 데이터는 수문학적 분석에서 활용되는 필수 입력 자료 중 하나로 관측 데이터의 품질에 따라 수문 모형을 이용한 모의 결과물의 정확도가 결정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강우 관측소별로 강우 데이터의 품질을 어떻게 관리하느냐에 따라 수문 모형의 활용 범위 및 수자원 관리의 효율성이 결정될 수 있다. 강우의 시공간적 변동성은 수 많은 인자들과 직간접적으로 연계되어 있기 때문에 미계측 강우 자료에 대해 직접 관측이 아닌 수치 모형을 이용하여 강우의 발생과 강우량을 산정하는 것은 매우 복잡한 과제 중 하나이다. 현재 국내에서 운용되고 있는 강우 관측소의 경우에도 미계측 된 강우 데이터가 존재함으로써 강우 데이터의 활용에 제한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미계측 데이터의 추정 및 보완은 보다 효과적인 수재해 방지, 수자원 관리를 위한 필수 과제 중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미계측 강우를 산정하기 위해서 Kriging, Thiessen, 등우선법, 그리고 역거리 관측법 등 다양한 수문학적 방법들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방법들은 산악효과나 강우 관측소의 분포 상태 등을 고려하지 못하기 때문에 측정하는 지역에 따라 강우 추정 오차가 커질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최근에는 데이터 관측 시스템과 빅데이터 기술의 발전과 활용 가능한 데이터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머신러닝을 활용한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머신러닝은 데이터 사이의 관계를 기반으로 분류, 회귀, 그리고 예측 문제에 주로 사용되는 기법 중 하나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광주광역시 지역에 위치한 주요 강우 관측 지점들을 대상으로 미계측 된 시강우 데이터를 추정 및 복원하고자 한다. 여기서 데이터 추정 기술이란 미계측 강우의 발생 유무 및 강우량을 추정할 수 있는 기술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 대표적인 머신러닝 알고리즘인 인공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 및 랜덤포레스트(Random Forest)를 적용하였다.

  • PDF

Flood Simulation using Vflo and Radar Rainfall Adjustment Data by Statistical Objective Analysis (통계적 객관 분석법에 의한 레이더강우 보정 및 Vflo를 이용한 홍수모의)

  • Noh, Hui Seong;Kang, Na Rae;Kim, Byung Sik;Kim, Hung Soo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4 no.2
    • /
    • pp.243-254
    • /
    • 2012
  • Recently, the use of radar rainfall data that can help tracking of the development and movement of rainfall's spatial distribution is drawing much attention in hydrology. The reliability of existing radar rainfall compared to gauge rainfall data on the ground has not yet been confirmed and so we have difficulties to apply the radar rainfall in hydrology. The radar rainfall for the applications in hydrology are adjusted merging method derived from gage. This study uses the Mean-Field Bias (MFB) and Statistical Objective Analysis (SOA) as correction methods to create adjusted grid-based radar rainfall data which can represent the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 of rainfall. This study used a storm event occurred in August 2010 for the adjustment of radar rainfall. In addition, the grid-based distributed rainfall-runoff model (Vflo), which enables more detailed examinations of spatial flux changes in the basin rather than the lumped hydrological models, has been applied to Gamcheon river basin which is a tributary of Nakdong River located in south-ea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r and the basin area is $1005km^2$. The simulated runoff was compared with the observed runoff in an attempt to evaluate the usability of radar rainfall data and the reliability of the correction methods. The error range of peak discharge using each correction method was within 20 percent and the efficiency of the model was between 60 and 80 percent. In particular, the SOA method showed better results than MFB method. Therefore, the SOA method could be used for the adjustment of grid-based radar rainfall and the adjusted radar rainfall can be used as an input data of rainfall-runoff models.

Recent 35 Years' Spatial and Temporal Trend Analysis of Hydrologic Extreme Variation in Korean Peninsula (최근 35년간 한반도지역에서의 시공간적 극치수문변화 추세분석)

  • Kang, Boo-Sik;Kwon, Jin-Wook;Lee, Seung-Chun;Ko, Ick-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316-1320
    • /
    • 2009
  • 최근 한반도지역의 시공간적 수문변화 및 지속시간 연최대강우 추세분석을 위하여 기상청에서 제공 되어지는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서울, 인천, 속초, 부산, 군산등 전국적인 분포를 보이는 60개소의 일강수량, 일평균기온, 일최고 및 최저기온, 일평균풍속, 일습도 자료를 수집하였다. 더불어 지속시간별 연최대강우 추세분석을 위하여 동일기간에 대한 시간자료를 수집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일자료를 이용한 분석결과 분석기간의 년평균강수량은 1998년 이전 1342.2mm였으나, 1998년 이후는 1,511.6mm로서 최근의 강수량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계절적으로는 비홍수기에 비하여 홍수기에 강수량 증가가 더욱 두드러졌으며, 수계별로는 낙동강과 섬진강의 경우가 한강과 금강등 기타 수계에 비하여 최근의 강수량 증가추세가 상대적으로 뚜렷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내륙과 해안지역의 분석결과에서는 해안지역의 년강수량이 내륙에 비하여 90mm 정도 높게 나타났으며, 지역별로는 동해안지역이 서해안과 남해안에 비하여 변화경향이 크게 나타났다. 일최고강수량 및 집중호우빈도 분석결과 수계별 분석의 경우 한강수계가 다른 수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증가경향을 보였으며, 한편 섬진강수계는 다소 완만한 경향을 나타내고 있었다. 집중호우빈도 분석결과 역시 년강수량과 마찬가지로 동해안지역에서의 변화경향이 크게 나타나고 있었다. 무강수일수는 전국적으로 감소경향을 보이고 있어, 강수발생일당 강수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이러한 수문학적 변화경향을 세부적으로 살펴보기 위하여 수계별 대표지점을 선정하여 지속시간별(1hr, 2hr, 3hr, 4hr, 6hr, 12hr) 강우강도 추세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지속시간에 따른 강우강도 역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짧은 지속시간이 상대적으로 큰 증가경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하지만 정확한 분석을 위하여 보다 많은 관측소에 대한 추가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어 진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