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강우유출

Search Result 2,565,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Monitoring Pollutants Occurred by Non Point Sources - Rainfall Runoff from Cultivated Lands for a Sweet Potato and a Cherry Tree - (비점오염원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 모니터링 - 고구마·벚나무경작지의 강우유출수를 대상으로 -)

  • Choi, Byoungwoo;Kang, Meea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6 no.1
    • /
    • pp.13-19
    • /
    • 2014
  • The management of non point sources was marked by the need for clean water environments. It was proposed the fundamentals to promote the reasonable land management in this study. We monitored rainfall events at two non point sources with different crop cultivations such as a sweet potato and a cherry tree for three years. Because the most important factor was rainfall, the rainfall runoff and pollutant loads were generated 100% in the case of rainfall ranges with 50 < rainfall (mm). However the frequency of rainfall runoff was interacted with the crop cultivation and soil characteristics in the case of rainfall ranges such as 30 < rainfall (mm) ${\leq}50^a$ and 10 < rainfall (mm) ${\leq}30^b$. The frequency of rainfall runoff was a : 60% and b : 5% in the cherry tree cultivation with growing significantly and pollutant loads were lower than that of the sweet potato cultivation. Meanwhile the frequency of rainfall runoff was a : 60% and b : 5% in the sweet potato cultivation.

Estimation of Flash Flood Guidance considering Uncertainty of Rainfall-Runoff Model (강우-유출 모형의 불확실성을 고려한 돌발홍수기준)

  • Lee, Keon-Haeng;Kim, Hung-Soo;Kim, Soo-Jun;Kim, Byung-Sik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2 no.3
    • /
    • pp.155-163
    • /
    • 2010
  • The flash flood is characterized as flood leading to damage by heavy rainfall occurred in steep slope and impervious area with short duration. Flash flood occurs when rainfall exceeds Flash Flood Guidance(FFG). So, the accurate estimation of FFG will be helpful in flash flood forecasting and warning system. Say, if we can reduce the uncertainty of rainfall-runoff relationship, FFG can be estimated more accurately. However, since the rainfall-runoff models have their own parameter characteristics, the uncertainty of FFG will depend upon the selection of rainfall-runoff model. This study used four rainfall-runoff models of HEC-HMS model, Storage Function model, SSARR model and TANK model for the estimation of models' uncertainties by using Monte Carlo simulation. Then, we derived the confidence limits of rainfall-runoff relationship by four models on 95%-confidence level.

The Study on Development and Verification of Rainfall-Runoff Simulator for LID Technology Verification (LID 기술의 효율성 검증을 위한 강우-유출 모의장치 개발 및 검증실험에 관한 연구)

  • Jang, Young Su;Kim, Mi Eun;Baek, Jong Seok;Shin, Hyun Suk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7 no.6
    • /
    • pp.513-522
    • /
    • 2014
  • Climate change and urbanization have affected a increase of peak discharge and water pollution etc. In a view of these aspects, the LID(Low Impact Development) technology has been highlighted as one of adjustable control measures to mimic predevelopment hydrologic condition. Many LID technologies have developed, but there is a lack of studies with verification of LID technology efficiency. Therefore this study developed a rainfall-runoff simulator could be possible to verify LID technology efficiency. Using this simulator, this study has experimented the rainfall verification through the rainfall distribution experiment and the experiment to show the relation between inflow and effective rainfall in order to sprinkle the equal rainfall in each unit bed. As a result, the study defined the relation between allowable discharge range and RPM by nozzle types and verified the hydrologic cycle such as the relation between infiltration rate, surface runoff and subsurface runoff at pervious area and impervious area through the rainfall-runoff experiment.

Analysis NPS Run-off Characteristics During Rainfall Event in upper Han-river Nae-Rin Cheon watershed (한강 상류 내린천 유역의 강우시 비점오염물질 유출특성 분석)

  • KI Cheol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71-471
    • /
    • 2023
  • 소양댐 상류 유역에 위치한 고랭지 밭에서 강우시 많은 양의 탁수가 유입되고 있어 상·하류지역사회에 갈등을 유발하고 하천 환경오염의 주범으로 지목되었다. 이에 환경부는 2007년부터 꾸준히 소양호 유역을 비점오염원 관리지역으로 지정하여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왔으나 여전히 소양강 상류 수계의 강우시 흙탕물 발생이 지속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다. 특히 고랭지 농업이 활발한 자운지구의 경우 고랭지 밭 경작 이외에도 나대지 상태로 방치되거나, 절삭지 보호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등 여러 가지 문제로 토사유출이 심각하게 발생하고 있어 흙탕물 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운지구를 포함한 내린천 유역을 대상으로 강우유출수 모니터링을 수행하였으며, 모니터링 결과를 바탕으로 강우시 비점오염물질 유출 특성을 분석하였다. 강우유출수 모니터링은 2022년 3월부터 10월 중 총 5회를 수행하였으며, 내린천 유역 내 유량 측정망이 설치되어 있는 4개지점(양지교, 현리교, 하죽천교, 원대교)과 내린천 상류 2개지점(에코빌리지, 새터교) 총 6개 지점에서 강우유출수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분석된 자료를 바탕으로 각 소유역별 EMC, 오염부하, 단위면적당 오염부하를 산정한 결과 하죽천교와 원대교의 단위면적 당 오염부하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해당 소유역(내린천 하류)에서 발생한 강우강도가 상류에 비해 높았으며, 하죽천교는 유역내 농경지의 비율이 높고, 원대교는 가파른 경사도의 영향이 큰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하죽천교와 원대교 소유역에서 배출된느 흙탕물이 내린천 유역의 하천수질 오염에 상당한 기여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오염 우심 소유역에서 발생하는 흙탕물 저감을 위한 적절한 대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 결과와 같이 장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내린천 유역의 흙탕물 저감 대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rdy on Rainfall Runoff Models for Forecast of Long-Term Runoff in Miho Basin (미호천 유역의 장기유출 예측을 위한 개념적 강우유출모형의 적용)

  • Ahn, Sang-Eok;Lee, Hyo-Sang;Jeon, Min-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991-995
    • /
    • 2009
  • 최근 기후변화 등으로 우리나라의 경우 강수일수는 감소한 반면 집중호우의 발생빈도는 증가하고 있다. 실제 가뭄과홍수와 같은 극치사상의 피해가 증가될 가능성과 이러한 재해로부터 인명 및 재산을 보호하고 효율적인 수자원 활용을 위해서는 장기간 강우-유출과정의 정확한 해석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미호천 유역을 대상으로 장기유출을 모의하기 위해 개념적 강우유출모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개념적 강우유출모형은 PDM(Probability Distributed Model)으로 유역을 한 개의 단위구역으로 사용한 집중형(lumped) 모형이고, 분포형 모형에 비하여 간단 (parsimonious)하며 영국의 수자원 및 홍수 관리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모형의 검정은 MC(Monte Carlo) 방법과 SCE-UA(Shuffled Complex Evolution-University of Arizona)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NSE(Nash Sutcliffe Efficiency) 목적함수를 사용하여 모형의 성능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MC 방법과 SCE-UA 방법 모두 NSE의 값 0.9 이상으로 만족할 만한 모의성능을 나타내었다. 분포형 모형에 비하여 적은 수문자료 및 검정변수를 갖는 PDM 모형을 수문자료의 취득이 용이하지 않은 중 소규모 유역에 적용하여 모형의 검정 및 유량산정에 있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이에 우리나라 전역에 걸쳐 다양한 유역을 대상으로 PDM 모형의 검토가 요구되고, 향후 우리나라의 홍수량 산정 및 수자원 관리에 적용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 PDF

Effect of Non-Point Sources from Livestock composted Land - A case of cows manure - (축산퇴비의 농지환원시 비점오염원으로서 수계에 미치는 영향 - 우분을 중심으로 -)

  • Lee, Young-Shin;Lee, Hee-Jip;Hong, Sung-Chul;Oh, Dae-Min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1 no.3
    • /
    • pp.81-88
    • /
    • 2009
  • The cows manure has been used as fertilizers in farmland because of enough nutrients. However, excess nutrients can be washed off during a storm and affected on nearby waterbodies. In this paper, the runoff characteristics from farmland were studied to determine the watershed runoff rate. As results of estimating, watershed runoff rates with short-term runoff are BOD 0.6%, CODcr 0.3 %, CODMn 0.1 %, T-N 0.8 % and T-P 1.0 % On the other hand, they with long-term runoff are BOD 3.6 %, CODcr 1.0 %, CODMn 0.9 %, T-N 4.9 % and T-P 4.8 %. It is clean that the watershed runoff rates increase according to the rainfall runoff time.

  • PDF

Influence of drainage density on rainfall-runoff in urban area (도시유역의 배수 밀도가 강우-유출에 미치는 영향 분석)

  • Lee, Jinwoo;Chung, Gunhu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379-379
    • /
    • 2018
  • 기후변화와 지구온난화로 인하여 전 세계적으로 폭우발생 빈도 및 강도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유역 차원에서 도시화와 산업 개발로 인한 불투수면적 증가는 내수침수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불투수면적이 높고 인구와 건물이 밀집되어있는 도시유역에서의 내수침수는 막대한 재산피해와 인명피해를 야기한다. 도시유역의 불투수층에 내린 강우는 지표면을 따라 흐르다가 대부분 우수관으로 유입되어 유역에서 배출된다. 그러므로 도시 우수관의 설계빈도를 결정하고 설계홍수량을 결정하는 일은 도시 홍수 저감을 위한 구조적인 대책 중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하고, 또 가장 중요한 대책이기도 하다. 본 연구에서는 과거 홍수피해가 빈번히 발생했던 도시유역들 중 유역면적과 우수관망의 구조가 다른 7개의 도시를 선정하여 다양한 강우사상에 따른 유출해석을 실시하였다. 서울과 부산 기상관측소에서 관측된 1975년부터 2015년까지의 강우자료에 대한 EPA-SWMM 모형에서의 유출해석 결과 첨두강우량의 변화에 따른 첨두유출량의 변화를 선형회귀모형으로 분석하였다. 회귀모형의 결정계수와 95% 신뢰구간, 변동계수를 비교하였고, 수계밀도개념을 적용하여 첨두유출량의 변화를 해석한 결과, 우수관망이 조밀하게 건설되어 배수밀도가 높을수록 증가된 첨두강우량에 따라 함께 증가하는 첨두유출량의 예측이 상대적으로 정확하게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우수관의 구조적인 특성에 따른 유출 응답 속도를 고려하여 우수관을 설계한다면, 보다 효율적인 우수관 설계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evelopment of the Sub-soil Storage System for Utilization Urban Instream Flow of Rainfall Runoff (우수유출수의 도시하천 유지유량 활용을 위한 지하저류시스템 개발)

  • Choi, Gye-Woon;Choi, Jong-Young;Kim, Suk-Do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7 no.2
    • /
    • pp.163-172
    • /
    • 2004
  • In this paper, the sub-soil storage system for utilizing urban instream flow of rainfall runoff was developed and examined through experiments. The artificial rainfall facility and sub-soil storage were installed in the experimental area. The effect of the water qualify improvement and the storage effect were analyzed through the several experiments. Through the experiments of rainfall intensity variation, which are the rainfall intensity of 20mm/hr, 30mm/hr, 40mm/hr, 50mm/hr was indicated SS concentration can be reduction until 68%. Also, the ration of the storage volume is varied from 42.8%∼79.9% based on the rainfall intensity. The reduction rate of the BOD, CO $D_{Mn}$, SS, T-N, T-P was 30%, 42%, 68%, 39%, 26%. As the result, water quality of runoff and efficient of runoff reduction by the system are much improved. The rainfall runoff with the installation of sub-soil storage could be used for instream flow.

A Development of GUI Flood Forecasting System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s Theory (인공신경망 이론을 이용한 GUI홍수예측시스템 개발)

  • Park, Sung-Chun;Oh, Chang-Ryol;Kim, Dong-Ry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694-698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5대강 유역에 대한 홍수예경보시스템의 홍수추적방법으로 이용되고 있는 물리적인 모형인 저류함수법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영산강 유역의 본류를 대표하는 나주지점과 황룡강 유역을 대표하는 선암지점에 대하여 유역의 수문학적 구조를 나타내지 않는 인공신경망 이론을 이용하여 강우-유출 과정의 비선형 모형을 개발하였다. 또한, 신속한 홍수유출량 예측과 예측 결과에 따른 현장 적용이 가능하도록 CS(Client-Server) 기반에서 인공신경망에 대한 원시코드(source code)를 GUI(Graphical User Interface)화하여 홍수예측시스템(Flood Forecasting System : FFS)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결과 나주지점에서는 Model II의 ANN_NJ_9 모형이 선암지점에서는 Model III의 ANN_SA_9 모형이 강우-유출 특성을 가장 잘 반영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개발한 GUI_FFS에 대하여 기 확보된 2004년도 강우 및 유출량 적용한 결과 0.98이상의 $R^2$값을 보임으로서 향후 수자원 및 하천계획 수립과 그에 따른 운영 및 관리에 효율성을 더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 PDF

Evaluation of the uncertainties in Rainfall-Runoff model using Meta-Gaussian Approach (Meta-Gaussian 방법을 이용한 강우-유출 모형에서의 불확실성 산정)

  • Kim, Byung-Sik;Kim, Bo-Kyung;Kwon, Hyun-Han;Hahm, Chang-Hah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733-737
    • /
    • 2008
  • 강우-유출(Rainfall Runoff, R-R)모형은 수자원계획과 관리를 위하여 가장 보편적으로 이용되는 도구로 홍수, 가뭄 등과 같은 극한 사상의 예측 또는 물수지 분석에 사용되고 있다. 오랜 기간 많은 수문학자들이 강우-유출 모형의 불확실성 개선 및 정량화하기 위하여 노력하였으나, 여전히 중요한 수문학적 과제로 남아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강우-유출 모형의 불확실성을 정량화하는데 목적을 두고 물리적 기반의 분포형 모형과 개념적 준 분포형 모형을 중랑천 유역에 적용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