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강성변화효과

검색결과 312건 처리시간 0.024초

강성계수가 복합재 광학판 성능에 미치는 영향성 연구 (Influence of Stiffness Coefficients on Optical Performance in Composite Optical Substrate)

  • 김경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762-769
    • /
    • 2017
  • 준등방성 라미네이트내의 확장강성 계수는 방사방향으로균일하지만, 굽힘강성 계수는 플라이 적층순서에 의해 방사방향으로 변화한다. 이 논문에서는 복합재 광학에서 사용되는 단방향섬유 복합재료와 무작위로 분포된 단섬유 복합재료로 이루어진 세 가지 유형의 준 등방성 라미네이트 반사경내의 굽힘강성 계수의 방사방향의 변화량을 비교하였다. 단섬유 복합재료 반사경 방사방향의 확장강성 계수와 굽힘강성 계수는 균일하게 나타나는 반면, 단방향섬유 복합재료 반사경의 경우에는 굽힘강성 계수의 방사방향으로의변화량이 11%에서 많게는 26%까지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강성계수의 차이로 인한 굽힘-비틀림-커플링 효과 등 강성 민감도 또한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요소는 정밀성이 요구되는 광학분야에 복합재 반사경의 적용을 어렵게 할 커다란 문제점으로 인식되며, 이러한 복합재료의 이방성 성질로 인한 필연적인방사형 방향으로의 강성계수의 변화 및 그 영향성을 줄이기 위해서는 단섬유나 무작위로 공간에 흩어져있는 섬유 복합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복합재 반사경내에 존재하는 굽힘강성 계수의 변화를 제거하는 하나의 방법이다.

마찰시험기의 하중부와 방법과 강성 변화에 따른 미끄럼 마찰특성 평가 (Evaluation of the Sliding Frictional Characteristics at the Different Loading Mechanisms and Dynamic Stiffness)

  • 윤의성;공호성;권오관;오재응
    • 한국윤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윤활학회 1996년도 제23회 춘계학술대회
    • /
    • pp.108-116
    • /
    • 1996
  • 본 논문에서는 하중부와 방법을 추(dead weight)와 공압(pneumatic)을 이용한 방법에서 스프링을 이용한 방법을 추가하였으며, 압축형 스프링을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마찰시험기 수직방향에서의 강성을 큰 변화 폭으로 변화시켰다. 또한 선행된 연구를 통하여 수직하중의 변동량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바 있는 디스크 시편의 misaligment 효과를 상사하고 극대화 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경사진 디스크 시편을 추가로 사용하였다. 상기조건으로 마찰시험기 시스템의 각 하중부과 방법과 수직강성 변화가 마찰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적으로 측정 평가하였으며, 마찰시험기 동특성계 모델의 이론적 해석을 통하여 마찰특성 변화를 고찰하였다. 또한, 미끄럼 접촉 시의 수직력과 마찰력을 측정하고, 데이터의 통계적 처리방법에 따른 마찰계수의 변화 특성도 평가하였다.

  • PDF

조화 집중 하중을 받는 보에서의 Sound Power 해석 (Sound Radiation From Beams Under the Action of Harmonic Point Force)

  • 김병삼;홍동표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1991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한국해사기술연구소, 대전; 1 Jun. 1991
    • /
    • pp.41-45
    • /
    • 1991
  • 구조 진동에 의해 발생하는 Relative Sound Power를 계산하는 문제가 최근 에 중요시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조화적인 집중하중에 대한 무한 탄성보 에서 방출하는 Relative Sound Power를 연구한다. Sound Power는 수치적으 로 적분되고 몇가지 인자들의 함수로써 적분인자를 표시하였다. Keitie와 Peng[2]는 진동하는 보로부터의 방출하는 Relative Sound Power에 대한 하 중 길이의 효과, 그리고 water 하중을 받는 보에서 방출하는 Acoustic radiation에 대한 Source 운동과 기초 강성의 효과를 연구하였다. 보의 진동 응답에서 light fluid loading과 heavy fluid loading에 의한 양쪽의 반응을 고 려한다. 보에는 기초 강성과 Damping 그리고 장력이 작용한다. water 하중 과 air 하중을 받는 보에서 Damping의 변화에 대한 보로부터 방출하는 relative sound power의 크기를 결정하였다. 일반적으로 인장력보다 압축력 이 작용할 때 relative sound power level이 크다는 것을 알고 있다. 실제로 인장력이나 압축력이 보에 작용할 때 relative sound power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가를 계산하였다. 그리고 진동계로부터 방출하는 sound fluid loading 과 기초 강성에 기인한 복잡한 효과를 해석하였다. 이 논문의 목적은 강성계 수와 wavenumber 비, 그리고 fluid loading에 대한 sound power의 응답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 PDF

탄성체로 기대된 점잔성체층에서의 강성체의 운동해석 (A study on the sliding rigid indentor over the viscoelastic layer supported by the elastic half-space)

  • ;남준우;전삼표
    • 오토저널
    • /
    • 제5권3호
    • /
    • pp.56-63
    • /
    • 1983
  • 강성체로된 견인물체가 탄성무한경면으로 지지된 점탄성층 위를 미끄러져 갈 때 접촉구간에서의 압력분포와 마찰 특성을 고찰하였다. 즉, 접촉구간에서의 강성체의 모양과 압력분포에 관한 적분 방정식을 구하고, 점탄성층의 두께가 접촉구간에 비하여 충분히 두꺼울 때 압력분포와 마찰계 수의 근사해를 구하였다. 압력분포의 모양은 점탄성층의 물성을 표시하는 지수값, 즉 .alpha.<1/2, .alpha.=1/2, .alpha.>1/2에 따라서 크게 다르다. 한편, 수치해석에 의하면 마찰 계수에 대한 근 사해는 강성체의 미끄럼 속도, 점탄성 층의 두께, 탄성체의 영율 (E$_{o}$ )과 점탄성층의 시효 성탄성계수 (E$_{v}$ )의 차, 즉 E$_{o}$ /E$_{v}$ 에 따라 변화함을 알 수 있다. 즉, 탄성체가 점탄성층에 비하여 딱딱하면 할수록, 또 강성체 속도가 느리면 느릴수록 마찰계수는 작아진다. 그리고 불성의 지수(.alpha.)가 커지면 커질수록 근사해의 수렵 속도는 느려지게 되고 지 수(.alpha.)가 1에 가까워지면 점탄성층의 탄성효과는 점성효과에 비하여 거의 무시할 수 있으며 근사해는 의미가 없어지게 된다.

  • PDF

플랫 플레이트 시공하중에 대한 동바리 강성 및 슬래브 균열 효과 분석 (Analytical study for effects of shoring stiffness and slab cracking on construction loads of flat plates)

  • 김재요;황현종;박홍근;홍건호;임주혁;김용남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09년도 정기 학술대회
    • /
    • pp.438-441
    • /
    • 2009
  • 휨강성이 작은 바닥시스템인 플랫 플레이트 구조는 응력조건 뿐만 아니라 사용성조건에 의하여 구조적 성능이 결정될 수 있으며, 특히 과도한 시공 하중의 작용은 시공 중 안전성에 대한 단기적인 손상 뿐만 아니라 사용성에 관련된 장기적인 손상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플랫 플레이트의 시공하중은 동바리지지 층 수, 시공주기, 슬래브 콘크리트의 재료적인 강성 뿐만 아니라, 동바리의 강성과 슬래브에 발생하는 균열에 의한 영향에 의하여 결정된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설계조건에 대한 해석연구를 통하여, 동바리-슬래브의 강성비 변화 및 콘크리트 균열에 의한 단면강성저하가 슬래브들 간의 하중 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러한 동바리 강성 및 슬래브 균열의 영향을 고려한 시공하중 산정법을 제안한다.

  • PDF

제체 그라우팅 효과 평가를 위한 HWAW방법의 적용성 평가 (Evaluation of Applicability of HWAW (Harmonic Wavelet Analysis of Waves) Method in Determining Grouting Effect in Dam and Embankment)

  • 노희관;박형춘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2권5호
    • /
    • pp.15-26
    • /
    • 2016
  • 댐 제방과 같은 제체는 매우 중요한 토목구조물로서 이러한 제체의 유지 보수에는 그라우팅 공법이 많이 사용된다. 그라우팅을 사용한 유지 보수를 통해 제체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그라우팅 시공 결과의 건전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따라서 그라우팅을 사용한 유지 보수에 있어 그라우팅 결과의 건전성 평가는 매우 중요하다. 그라우팅 시공에 따른 제체의 전단파 속도 변화량은 그라우팅 시공 결과의 건전성 평가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전단파 속도는 대상 매질의 강성을 나타내며, 그라우팅은 대상 매질의 강성을 변화 시키기 때문에 전단파 속도 변화량 측정을 통해 그라우팅 효과의 정성적인 평가가 가능하다. 이를 위해서는 시공 전 후 제체 단면의 공간에 따른 전단파 속도 분포를 결정할 수 가 있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HWAW(Harmonic Wavelet Analysis of Waves)방법을 전단파 속도 결정을 통한 그라우팅 시공 결과의 건전성 평가에 적용하였다. HWAW방법은 단순한 장비를 사용하여 대상 시스템의 강성변화에 민감하다. 또한 높은 공간 해상도를 가지는 전단파 속도 분포 결정이 가능한다. 제안된 방법의 타당성을 검토하고자 수치모의 실험과 현장 적용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제안된 그라우팅 효과 평가 방법의 적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성이음관의 변형억제방안에 관한 수치모델연구(II): 콘크리트베딩 보강효과 (Numerical Model Study on a Scheme to Restrain Deformation of a Conduit with Flexible Joints(II) : Effectiveness of Concrete Bedding Reinforcement)

  • 손준익;정하익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7권4호
    • /
    • pp.15-24
    • /
    • 1991
  • 본 연구에서는 부등침하를 받는 매설관 연성이음부 하부의 베딩보강에 관한 적용성을 유한요소해 석을통하여 검토하였다. 매설관하부 기초지반에 설치된 콘크리트베딩의 강성 변화에 따른연성이 음부의 변형억제효과를 분석하였다. 지반부등침하가 발생하는 현장조건을 크게 세가지로 구분하였 으며 각 경계조건별로 베딩강성 변화에 따른 연성이음관의 변형형태를 살펴보았다. 해석결과는 보강과 비보강조건을 상호 비교 검토하여 콘크리트 베딩보강에 의한 연성이음관의 침하억제효과를 살펴보았다.

  • PDF

패드 접촉강성 변화에 따른 FE스퀼해석법 및 실험 검증 (Investigation of Brake Squeal with Contact Stiffness Variation Using Experiment and FE Simulation)

  • 박기완;남재현;강재영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41권5호
    • /
    • pp.345-352
    • /
    • 2017
  • 본 논문은 스퀼 시험을 통해 압력 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스퀼 소음을 계측하고, 발생된 스퀼 소음을 FEM 복소수 고유치 해석으로 모드연성 불안정성을 구현하였다. FEM 해석에서 압력 변화에 따른 스퀼주파수 변화를 근사하기 위해서 접촉강성 변화에 의한 스퀼 민감도를 예측하고, 잠재적인 스퀼 모드를 유추하였다. 스퀼 실험 결과 1 kHz, 2.5 kHz, 3.5 kHz, 4 kHz 근방에서 스퀼 소음이 발생하였으며,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스퀼 주파수가 다소 증가되었다. FEM 해석 결과 접촉강성 변화에 따른 유사한 스퀼모드 및 민감도를 예측하였고, 해석시 접촉강성 변화가 스퀼실험에서의 압력증가 효과를 근사할 수 있음을 보였다.

끝단형상에 따른 복합소재 단일겹치기 체결부의 응력집중 저감에 관한 연구 (End-Shape Effect for Stress Concentration Reduction of Composite Single-Lap Bonded Joint)

  • 김정석;황재연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5권3호
    • /
    • pp.333-340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복합소재 단일겹치기 조인트의 접착부재 형상 및 필렛 유무에 따른 응력집중 완화 효과를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6가지 서로 다른 끝단부 형상에 대해 비선형 유한요소 해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복합재 접착부재와 접착제의 다양한 강성비에 따른 6가지 모델의 최대 전단 및 수직응력의 변화를 고찰하였다. 접착부재가 순방향 테이퍼를 갖는 모델의 경우에는 가장 높은 응력값을 보여 조인트의 접합강도가 가장 취약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이에 반해, 접착부재가 역방향 테이퍼를 갖고 필렛이 존재할 경우 가장 낮은 응력값을 보였다. 접착부재와 접착제의 강성변화에 따른 최대응력 변화를 고찰한 결과 접착부재의 강성은 클수록, 접착제 강성은 낮을수록 응력집중은 완화되었다.

모 접착포의 프레싱 처리와 드라이크리닝 처리에 의한 물성의 변화(제1보) (Changes in Physical Properties of wool-Blended Fused Fabrics after Pressing and/or Ory Cleaning(Part I))

  • Jee, Ju-Won;Lee, Dae-Hoon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5권10호
    • /
    • pp.1809-1820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모 직물의 접착심과의 접착 후, 프레싱 처리 후, 드라이클리닝 처리 후 프레스로 처리한 실제의 의복의 관리와 생산 면에서 접할 수 있는 직물 변화에 대하여 물성 변화를 살펴보았다. 겉감으로는 신사복 춘하용 모 100% 또는 모혼방 직물 15종류를 사용하였으며 심지로는 신사복에 많이 쓰이는 3종류 심지를 사용하였다. KES시스템을 이용하여 직물의 접착후, 프레싱 처리 후, 드라이크리닝과 프레싱 처리 후의 물성 변화를 시험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접착 후 EM은 대체로 감소하지만 강성과 이력 현상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로 KOSHI, SHARI, HARI는 증가하고 THV는 감소하여 태는 접착으로 저하되었다. 2) 프레싱 처리 후는 접착 후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마찰특성에서 좀더 매끄러워지고 마찰 계수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드라이크리닝과 프레싱 처리 후의 물성의 변화에서는 위사 방향의 큰 값을 갖는 경우에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굽힘 강성과 전단강성은 감소하였지만 이력은 증가하는 흥미로운 결과를 보인다. 드라이클리닝 용제의 효과로 여겨진다. 무게는 증가하여 직물이 처리 후 수축한 것으로 나타났다. 프레싱 처리 후와 비교시 KOSHI, SHARI, HARI와 FURAMl는 감소하고 THV는 증가하여 태가 향상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