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갑주(甲冑)

검색결과 197건 처리시간 0.025초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갑주(甲冑)의 보존처리와 구조적 특징 - 조선시대 중·후기 갑주를 중심으로- (Conservation Treatment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Armor and Helmets Housed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 Armor and Helmets from the Mid- and late Joseon Dynasty)

  • 박진호;박지혜;황진영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26권
    • /
    • pp.35-66
    • /
    • 2021
  • 본 연구는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갑주(투구 2점, 갑옷 4점)에 대해 과학적 조사와 보존처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조선시대 중·후기 갑주의 구조적인 특징을 살펴본 것이다. 갑주는 유기물과 무기물이 함께 있는 복합 재질이므로, 보존처리는 각 재질의 안정한 조건이 서로 영향을 받지 않는 선에서 '조사·분석 → 오염물 제거 → 안정화 및 강화처리 → 손상 부위 보수 → 보관'의 과정으로 실시하였다. 갑주는 손상이 심한 상태였으나, 보존처리를 통해 안전한 보수 및 일부 부위의 복원을 완료하였다. 이 과정에서 확인된 내용을 바탕으로 조선 중기의 의상형 갑옷 일부(갑상)와 조선 후기의 포형 피갑, 조끼형 흉갑 그리고 투구에 사용된 재료 및 구조적 특징을 파악할 수 있었고, 이를 통해 제작 방법을 추정할 수 있었다.

감잎 품종별 성분분석과 항산화활성 비교

  • 정경미;최용화;추연대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03년도 제23차 추계총회 및 국제학술심포지움
    • /
    • pp.143.2-144
    • /
    • 2003
  • 품종별 감잎의 주요성분과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여 고기능성 감잎차의 우수성을 알리는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상주둥시, 갑주백목, 월하시, 청도반시, 녹차(대조구)의 생엽을 7월 초순에 채엽 후 건조시켜 시료로 사용하였고, 비타민C, 카페인, 카테친, Gallic acid, 향기성분, 유리당, 유리아미노산, 칼슘,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비타민C는 월하시 0.089%, 청도반시 0.079%, 갑주배목 0.032%, 상주둥시 0.015%, 녹차 0.01%로 비타민C 함량이 가장 많은 월하시가 녹차에 비해 8배정도 높았고, 카페인은 감잎 4품종 모두 발견되지 않았고, 녹차는 6.63%이었다. 카테친은 청도반시 0.35%, 갑주백목 0.34%, 월하시 0.24%, 상주둥시 0.18%, 녹차(대조구) 0.07%이였고, Gallic acid는 상주 둥시 0.32%, 갑주백옥 0.2%, 월하시 0.05%, 청도반시 0.03%, 녹차(대조구) 1.41%이었다. 칼슘은 청도반시 9516.1PPM, 영동월하시 6863.5PPM, 봉옥 6563.5PPM, 상주둥시 5420.1PPM, 녹차(대조구) 2349.7PPM이였고, 유리당은 감품종간에는 큰 차이는 없었으나 녹차에 비해 Xylose, fructose, Glucose, Sucrose의 함량이 높았고, Maltose의 함량에 일어서는 녹차가 높았다. 유리아미노산은 31항목을 조사하였고, 전체 함량은 상주둥시 60.40, 봉옥 53.21, 월하시 52.29, 청도반시 47.58, 녹차(대조구) 114.72nmo1/${\mu}\ell$이었다. 시료의 향기성분은 생엽을 건조시켜 전자코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감잎 품종간에는 향기 패턴이 비슷한 경향이였으나, 녹차의 패턴과는 차이가 있었다. 감잎의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상주둥시 RC$_{50}$($\mu\textrm{g}$)=64.5 청도반시 64.0, 월하시 42.0, 갑주백목 47.0, 녹차(대조구) 19.0으로 김잎품종중 월하시의 항산화 활성이 높았고, 녹차의 항산화 활성이 감잎에 비해 높았다.

  • PDF

한국(韓國)의 갑주(甲胄) - 정충신(鄭忠信) 장군(將軍)의 갑주(甲胄)와 충열사(忠烈祠) 소장(所藏) 갑주(甲胄)를 중심(中心)으로 - (Mail of Korea - The Central Point to Mail of Jung Chung Sin General and Chung Ryul Sa Possession -)

  • 이강칠
    • 복식
    • /
    • 제5권
    • /
    • pp.23-40
    • /
    • 1981
  • Jin Chung Sa is located Daeyoli, Jigogmyen, Saesangun, Choongchungnamdo, there are equipped a portrait scroll of Jung Chung Sin. And top of the town hill live in his 13th grandson, Jung Jong Sul. There are his portrait scroll and command flag and a suit of mail. According to say, remains was stollen at 1975 and it found again. But helmet thrown in the sea at the present time lceave only photo. Also, Chung Ryul Sa is located Anrakdong, Dongraegu, Pusan city, there are portrait scroll of died at the Dadaepo and Pusan Jin Sung and Dongrae Sung. Same memorial center is display mail of vice-envoy and inspector. Thus, this copy is refer to mail of Jung Chung Sin and Chung Ryul Sa, besides we will study mail production of Chung Ryul Sa possession. Even if they are bad to condition, I found court rank of mail through it. I hope, in the future, at that find a good data.

  • PDF

가야 갑주를 활용한 박물관 어린이 체험용 갑주 디자인 개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rmor Design for Children's Experience with Gaya Armor in Museums)

  • 조현진
    • 패션비즈니스
    • /
    • 제18권5호
    • /
    • pp.56-68
    • /
    • 2014
  • The study is about developing of armor design for the children's experience with Gaya armor in museums. The aim of this paper is to combine the culture of Korean traditional armor with the development of cultural products through the research about the relic of Gaya and the analysis of the problem about the status of the operation for children's experience. The current problems of Gaya armor for the children's experience are discrepancies in the material, structure and configuration of the traditional Gaya armor in regards to the aspects of the education and; unsuitability for safety and operation of the outfit in regards to the aspects of the function. Therefore, this paper presents 10 different styles of armor design in consideration of the educational aspects and functional aspects, and this paper confirms the value of the traditional Korean armor by reaffirmation to artistic possibilities and merchantability of Gaya armor.

예천지역 천일건조 곶감의 품종별 품질특성 비교 (The Comparison of Quality Characteristics of Dried Persimmons Manufactured by Solar Drying Method in Yecheon)

  • 박효원;오성일;조문경;김철우;이욱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7권4호
    • /
    • pp.422-427
    • /
    • 2018
  • 본 연구는 천일건조법으로 제조된 품종별 곶감의 품질특성을 비교 분석하여 품종 간 차이를 확인하고자 실시하였다. 천일건조한 4품종 곶감(고종시, 고동시, 상주둥시, 갑주백목)의 물리적 특성(수율, 경도, 당도, 수분함량, 수분활성도, 색도)과 관능적 특성(외관, 맛, 식감, 전반적기호도)을 조사한 결과, 수율은 갑주백목이 29.4%로 가장 높았고, 경도는 모든 품종에서 6.11~9.62 N 범위로 갑주백목(9.62 N)이 가장 높았다. 반면 당도는 고종시($27.3^{\circ}Brix$)가 가장 높았으며 품종 간 통계적 차이가 있었다(p<0.05). 수분활성도는 0.784~0.819 범위로 나타났으며, 고종시(0.784)가 매우 낮았다. 수분함량은 갑주백목(37.51%)이 가장 높았으나 상주둥시(35.32%)가 가장 낮았다. 색도(L, a, b)는 상주둥시(34.56, 9.24, 17.07)가 모든 항목에서 높은 반면, 갑주백목(29.17, 5.68, 13.59)은 낮은 경향을 보였다. 관능평가 결과, 전반적 기호도는 고종시(5.16), 고동시(5.16)가 가장 높았으며 상주둥시(4.26), 갑주백목(3.95) 순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천일건조한 품종별 곶감의 물리적 및 관능적 특성은 그 차이가 뚜렷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조선시대의 갑주(甲胄) - 명칭과 종류를 중심으로 -

  • 박가영;남윤자;조우현
    • 한국복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복식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0-20
    • /
    • 2003
  • 특정한 사물에 대한 인식의 폭을 넓히기 위해서는 먼저 명칭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언어란 사회 구성원 사이의 약속이기에 하나의 사물에 여러 가지 이름이 동시에 존재할 수 있고 그중 어떤 이름으로 불러도 동시대 사람들은 동일한 사물을 떠올리게 된다. 이와 같이 문헌에 기재된 많은 명칭들 중에는 동일한 형식의 갑옷과 투구임에도 불구하고 시대에 따라, 또는 세부적인 특징의 차이에 따라 다른 이름으로 불리웠던 갑주가 있을 가능성이 있다.

  • PDF

정조대 <서장대야조도(西將臺夜操圖)>의 관직자 복식 고증 (Features of the Costumes of Officials in the King Jeongjo Period Seojangdaeyajodo)

  • 이은주;김영선;이경희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4권2호
    • /
    • pp.78-97
    • /
    • 2021
  • 1795년 윤2월 12일 서장대에서 행해진 군사훈련을 그린 <서장대야조도(西將臺夜操圖)>를 중심으로 관직자의 유형별 복식과 유형별 복식의 구성에 따른 특징을 고찰하였으며 고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장대 안팎에서 왕 가까이에 위치한 관직자는 모두 34명인데 당상관 27명, 당하관 7명이었다. 34명 관직자의 복식 유형은 모두 3종으로 갑주·융복·군복으로 분류되었는데 그 중 갑주 착용자 12명은 모두 당상관이었고, 융복 착용자 5명은 당상관이었으며, 군복 착용자는 당상관 11명과 당하관 6명이었다. 둘째, 갑주의 형태 고증은 말 타기에 적합한 여반 장군의 갑옷 유물과 『무예도보통지』의 갑주 그림을 참조하고, 착용의 실용성을 고려하여 갑옷의 구성품을 정하였다. 갑주의 구성품은 투구, 갑의, 갑상, 호항, 호액, 비갑에 골미를 추가하였다. 갑주 색상은 <서장대야조도> 갑주에서 가장 표현 빈도가 높은 홍색과 녹색으로 고증하였다. 셋째, 당상 융복의 구성은 호수를 장식한 주립, 남색 철릭, 홍색 광다회, 정, 수화자로 고증하였다. 넷째, 군복 구성은 안을 올린 전립, 동다리, 전복, 요대, 전대, 수화자로 고증하였다. 군복에서 당상과 당하의 직물차이는 문양의 유무에 있었는데 당상관은 운보문 직물을, 당하관은 문양이 없는 직물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당상관은 장식품의 세부 재료에서 옥과 금, 은을 사용하였다. 그 외에 무기는 시복, 환도, 등편, 비구와 깍지 등을 갖추었다. 정조대 기록에는 다양한 색의 협수가 보이므로 당상관과 당하관의 동다리와 전복 색상은 다양한 배색으로 고증하였다. 이상의 고증 결과를 반영하여 콘텐츠 제작을 위한 복식의 시각화 자료로 제시하였다. <서장대야조도> 관직자 복식의 고증 결과를 반영한 시각화의 기본 원칙에서 3D 콘텐츠 제작이나 실물 제작이 가능한 기준을 제시하였다. 시대와 신분에 따른 형태·색상·재질의 견본, 각 복식과 지물을 패용한 앞·옆·뒤 모습을 제시하고 색상은 RGB와 CMYK로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