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nservation Treatment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Armor and Helmets Housed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 Armor and Helmets from the Mid- and late Joseon Dynasty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갑주(甲冑)의 보존처리와 구조적 특징 - 조선시대 중·후기 갑주를 중심으로-

  • Park, Jinho (Department of Conservation Science, National Museum of Korea) ;
  • Park, Jihye (Department of Conservation Science, National Museum of Korea) ;
  • Hwang, Jinyoung (Dankook University SeokJuSeon Memorial Museum)
  • 박진호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부) ;
  • 박지혜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부) ;
  • 황진영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 Received : 2021.09.30
  • Accepted : 2021.10.29
  • Published : 2021.11.30

Abstract

This study conducted scientific analysis and conservation treatment on four suits of armor and two helmets from the collection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Based on the findings, it identifie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armor from the middle and late Joseon Dynasty. Since a suit of armor is made of composite materials consisting of both organic and inorganic elements, conservation treatment was conducted to the extent that the stable condition of each material remained unaffected by the other materials. The process took place in the sequence of investigation and analysis, removal of contamination, stabilization and reinforcement, repair of damaged parts, and storage. The armor and helmets had suffered severe damage, but were safely repaired and partially restored through the conservation treatment. The findings from the conservation treatment revealed the materials used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armored skirt from a two-piece set of armor from the middle Joseon period and for the two suits of overcoat-style armor, suit of vest-style armor, and helmets from the late Joseon era. It also allowed the investigation of the production methods of the armor and helmets.

본 연구는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갑주(투구 2점, 갑옷 4점)에 대해 과학적 조사와 보존처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조선시대 중·후기 갑주의 구조적인 특징을 살펴본 것이다. 갑주는 유기물과 무기물이 함께 있는 복합 재질이므로, 보존처리는 각 재질의 안정한 조건이 서로 영향을 받지 않는 선에서 '조사·분석 → 오염물 제거 → 안정화 및 강화처리 → 손상 부위 보수 → 보관'의 과정으로 실시하였다. 갑주는 손상이 심한 상태였으나, 보존처리를 통해 안전한 보수 및 일부 부위의 복원을 완료하였다. 이 과정에서 확인된 내용을 바탕으로 조선 중기의 의상형 갑옷 일부(갑상)와 조선 후기의 포형 피갑, 조끼형 흉갑 그리고 투구에 사용된 재료 및 구조적 특징을 파악할 수 있었고, 이를 통해 제작 방법을 추정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황진영,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조선시대 피갑(皮甲)의 특징에 관한 고찰, 박물관보존과학 20, p61-76, (2019). https://doi.org/10.22790/conservation.2018.20.0061
  2. 박가영, 조선시대의 갑주, 서울대학교 대학원 의류학과, 박사학위논문, (2003).
  3. 김해나, 이효진, 김수기,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 소장 철제거울의 보존과 금속조직분석을 통한 제작기법 연구, 보존과학회지 28, p257-264, (2012). https://doi.org/10.12654/JCS.2012.28.3.257
  4. 김혜선, 허윤현, 김수기, 철제유물의 부식억제를 위한 부식억제제에 관한 연구, 보존과학회지 30, p1-11, (2014). https://doi.org/10.12654/JCS.2014.30.1.01
  5. 황진영, 국립한글박물관 소장 덕온공주 집안 서대(犀帶)의 보존처리 및 특징, 박물관보존과학 25, (2021).
  6. 황진영,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이항복 종가 기증 운보문단 보자기 무늬의 특징과 연대추정, 박물관보존과학 23, p49-60, (2020). https://doi.org/10.22790/conservation.2020.23.00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