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eatures of the Costumes of Officials in the King Jeongjo Period Seojangdaeyajodo

정조대 <서장대야조도(西將臺夜操圖)>의 관직자 복식 고증

  • LEE, Eunjoo (Dept. of Contents Convergence, Andong National University) ;
  • KIM, Youngsun (Dept. of Convergence Cultural Heritag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
  • LEE, Kyunghee (Korean Traditional Culture Contents Jeongun)
  • 이은주 (안동대학교 융합콘텐츠학과) ;
  • 김영선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융합학과) ;
  • 이경희 (전통문화콘텐츠 정운)
  • Received : 2021.02.10
  • Accepted : 2021.05.03
  • Published : 2021.06.30

Abstract

Seojangdaeyajodo is a drawing of military night training on February 12th (lunar leap month), 1795. Focusing on the Seojangdaeyajodo, the characteristics and of the costumes worn by various types of officials were examined. There were 34 officials located near King Jeongjo in and around Seojangdae, with 27 Dangsanggwan and 7 Danghagwan. They wore three types of costumes, including armor, yungbok, and military uniforms. All of the twelve armor wearers and the five officials wearing yungbok were dangsanggwan, and the military uniform wearers included eleven dangsanggwan and six danghagwan. For the shape of the armor, the armor relics of General Yeoban, suitable for riding horses, and the armor painting of Muyedobotongji were referenced, and the composition of the armor was based on practicality. The armor consists of a helmet, a suit of armor, a neck guard, armpit guards, arm guards, and a crotch guard. The color of the armor was red and green, which are the most frequently used colors in Seojangdaeyajodo. The composition of yungbok was jurip, navy cheollik, red gwangdahoe, socks made of leather, and suhwaja. The composition of the military uniform was a lined jeolrip, dongdari, jeonbok, yodae, jeondae, and suhwaja.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fabrics used in dangsanggwan and danghagwan military uniforms. Dangsanggwan used fabric with depictions of clouds and jewels, and danghagwan used unpatterned fabric. Moreover, jade, gold, and silver were used for detailed ornamental materials in dangsanggwan. The weapons included bows and a bow case, a sword, a rattan stick, wrist straps, and a ggakji. In the records of the King Jeongjo period, various colored heopsu were mentioned; the colors of the dongdari and jeonbok of dangsanggwan and danghagwan were referenced in various colors. It was presented as an illustration of costumes that could be used to produce objects accurately reflecting the above historical results. The basic principle of the illustration was to present the modeling standards for 3D content production. Samples of form, color, and material of the corresponding times and statuses were presented. The front, the side, and the back of each costume and its accessories were presented, and the colors were presented in RGB and CMYK.

1795년 윤2월 12일 서장대에서 행해진 군사훈련을 그린 <서장대야조도(西將臺夜操圖)>를 중심으로 관직자의 유형별 복식과 유형별 복식의 구성에 따른 특징을 고찰하였으며 고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장대 안팎에서 왕 가까이에 위치한 관직자는 모두 34명인데 당상관 27명, 당하관 7명이었다. 34명 관직자의 복식 유형은 모두 3종으로 갑주·융복·군복으로 분류되었는데 그 중 갑주 착용자 12명은 모두 당상관이었고, 융복 착용자 5명은 당상관이었으며, 군복 착용자는 당상관 11명과 당하관 6명이었다. 둘째, 갑주의 형태 고증은 말 타기에 적합한 여반 장군의 갑옷 유물과 『무예도보통지』의 갑주 그림을 참조하고, 착용의 실용성을 고려하여 갑옷의 구성품을 정하였다. 갑주의 구성품은 투구, 갑의, 갑상, 호항, 호액, 비갑에 골미를 추가하였다. 갑주 색상은 <서장대야조도> 갑주에서 가장 표현 빈도가 높은 홍색과 녹색으로 고증하였다. 셋째, 당상 융복의 구성은 호수를 장식한 주립, 남색 철릭, 홍색 광다회, 정, 수화자로 고증하였다. 넷째, 군복 구성은 안을 올린 전립, 동다리, 전복, 요대, 전대, 수화자로 고증하였다. 군복에서 당상과 당하의 직물차이는 문양의 유무에 있었는데 당상관은 운보문 직물을, 당하관은 문양이 없는 직물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당상관은 장식품의 세부 재료에서 옥과 금, 은을 사용하였다. 그 외에 무기는 시복, 환도, 등편, 비구와 깍지 등을 갖추었다. 정조대 기록에는 다양한 색의 협수가 보이므로 당상관과 당하관의 동다리와 전복 색상은 다양한 배색으로 고증하였다. 이상의 고증 결과를 반영하여 콘텐츠 제작을 위한 복식의 시각화 자료로 제시하였다. <서장대야조도> 관직자 복식의 고증 결과를 반영한 시각화의 기본 원칙에서 3D 콘텐츠 제작이나 실물 제작이 가능한 기준을 제시하였다. 시대와 신분에 따른 형태·색상·재질의 견본, 각 복식과 지물을 패용한 앞·옆·뒤 모습을 제시하고 색상은 RGB와 CMYK로 제시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연구는 2020년도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대학원 연구개발 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다.

References

  1. 「다산시문집(茶山詩文集)」
  2. 「대전통편(大典通編)」
  3. 「무예도보통지(武藝圖譜通志)」
  4. 「속대전(續大典)」
  5. 「일성록(日省錄)」
  6. 「정조국장도감의궤(正祖國葬都監儀軌)」
  7. 「춘관통고(春官通考)」
  8. 「(헌종무신)진찬의궤(進饌儀軌)」
  9. 「홍재전서(弘齋全書)」
  10. 「화성봉수당진찬갱재축(華城奉壽堂進饌賡載軸)」
  11. <봉수당진찬도(奉壽堂進饌圖)>
  12. <서장대야조도(西將臺夜操圖)>
  13. <정아조회지도(正衙朝會之圖)>
  14. 국립대구박물관, 2020, 「선비의 멋, 갓」, p.103.
  15. 국립문화재연구소, 2013, 「독일 라이프치히그라시민속박물관 소장 한국 문화재」, p.586.
  16. 국립민속박물관, 2017, 「한국의식주생활사전 ㄱ~ㅂ」, p.46.
  17. 국립중앙박물관, 2011, 「초상화의 비밀」, p.44.
  18. 국립중앙박물관, 2012, 「조선시대 궁중행사도 III」, pp.19-88, 167-198.
  19.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2001, 「韓國服飾」 19, p.138.
  20. 문화공보부.문화재관리국, 1987, 「韓國의 甲冑」, p.197.
  21. 민족문화추진회, 1985, 「국역 만기요람 II」, pp.24, 153.
  22. 수원시, 2004, 「장용영고사 譯註」, p.34.
  23. 수원화성박물관, 2015a, 「정조, 8일간의 수원 행차」, pp.34, 40, 46, 52.
  24. 수원화성박물관, 2015b, 「園幸乙卯整理儀軌 譯註」, pp.558-592.
  25. 수원화성박물관, 2015c, 「園幸乙卯整理儀軌 原典」, pp.20-35.
  26. 수원화성박물관, 2016, 「정조대왕의 수원 행차도」, p.30.
  27. 안동축제관광조직위원회, 2009, 「박물관의 도시, 안동」, p.169.
  28. 장숙환, 2003, 「전통 남자 장신구」, 대원사, p.86.
  29. 中央日報社, 1994, 「韓國의 美 風俗畵」, p.149.
  30. 韓國精神文化硏究院, 2003, 「譯註 經國大典 飜譯篇」, pp.15-35.
  31. 김문식, 2015, 「을묘년 정조의 수원 행차의 그 의의」, 「정조, 8일간의 수원 행차」, 수원화성박물관, pp.270-275.
  32. 민길홍, 2015, 「1795년 정조의 화성 행차와 ≪화성원행도병≫ 제작 양상」, 「정조, 8일간의 수원 행차」, 수원화성박물관, p.291.
  33. 박가영, 2003, 「조선시대의 갑주」,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199.
  34. 박가영.이은주, 2004, 「정조시대 군사 복식과 제도 개선에 대한 논의」, 「韓服文化」 7(3), p.133.
  35. 이경희.이은주, 2016, 「1829년 <명정전진찬도>의 산선시위(繖扇侍衛) 복식 유형」, 「韓服文化」 19(2), p.126.
  36. 이은주, 2015, 「1837년 덕온공주 가례 재현을 위한 복식 고증 - <명의내출의(命衣內出儀)>를 중심으로」, 「韓服文化」 18(2), p.133.
  37. 이은주, 2016, 「<서장대야조도>의 이본 비교를 통해 본 정조대 군사훈련 복식」, 「정조대왕의 수원 행차도」, 수원화성박물관, p.323.
  38. 임금희, 2012, 「다회.망수, 그 천년의 시간 속으로」 전시 도록, p.48.
  39. 매일경제 https://www.mk.co.kr/news/culture/view/2020/07/679467/.
  40. 규장각한국학연구원 https://kyudb.snu.ac.kr/.
  41. 조선왕조실록사전 http://waks.aks.ac.kr/rsh/.
  42. 한국고전종합DB https://db.itkc.or.kr/.
  43.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ac.kr/.
  44. 한국사데이터베이스 조선시대 법령자료 http://db.history.go.kr/law/.
  45. Google Arts & Culture https://artsandculture.googl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