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갑상선 미세유두암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5초

갑상선 미세유두암의 고주파 절제술 후 10년 경과 관찰 (Radiofrequency Ablation of Papillary Thyroid Microcarcinoma: A 10-Year Follow-Up Study)

  • 서유경;조성휘;심정석;양고은;조우진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2권4호
    • /
    • pp.914-922
    • /
    • 2021
  • 목적 이 연구는 갑상선 미세유두암을 고주파 절제술로 치료한 후 10년 이상 경과 관찰한 환자들의 결과를 통해 효과와 안전성을 평가하고자 했다. 대상과 방법 2006년 11월부터 2009년 12월까지 갑상선 미세유두암을 고주파 절제술로 치료받은 환자 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환자들은 모두 조직검사를 통해 갑상선 미세유두암으로 진단을 받았고, 병변은 갑상선 내에 국한되어 있었으며, 전이의 증거가 없었고, 수술이나 전신마취가 의학적으로 부적합하거나 수술을 거부한 환자들이었다. 고주파 절제술은 고주파 발생기와 냉각기를 사용하여 한 명의 영상의학과 의사가 시행하였다. 우리는 시술과 연관된 부작용, 소작된 종양의 변화, 재발 여부, 국소 또는 림프절 전이 등에 대해 초음파 영상 소견과 의무 기록을 토대로 분석하였다. 결과 평균 경과 관찰기간은 130.6개월(범위, 121~159개월) 이었다. 세 명의 환자는 한 번의 고주파 절제술을, 두 명의 환자는 두 번의 시술을 받았다. 다섯 명의 환자 모두 시술과 연관된 부작용은 보이지 않았다. 다섯 개 중 세 개의 종양은 시술 후 완전히 사라졌으며 두 개의 종양은 최소한의 흔적으로 남아 평균 16.8개월의 경과 관찰기간 동안 큰 변화가 없었다. 가장 최근의 경과관찰에서 다섯 명의 환자 모두 국소 전이나 림프절 전이는 보이지 않았고 갑상선 글로불린(thyroglobulin)의 수치도 정상 범위였다. 결론 고주파 절제술은 수술에 부적합하거나 수술을 거부하는 저위험 갑상선 미세유두암 환자들에 대해서 효과적이고 안전한 치료법이 될 수 있다.

갑상선 유두암의 초음파 소견 (Sonographic Findings of Thyroid Papillary Carcinoma)

  • 이재교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21권2호
    • /
    • pp.224-230
    • /
    • 2004
  • 유방암 검사와 함께 시행한 갑상선 선별 초음파 검사에서 나타난 전형적인 갑상선 유두암의 소견은 경계가 불분명한 고형의 저에코 결절로 나타나고 점상 혹은 미세석회화를 보일 수 있어 이러한 결절에서는 조직 검사를 통한 확진이 필요하다.

  • PDF

갑상선 유두암의 크기에 따른 초음파 특징 분류 (Ultrasonographic Findings of Papillary Carcinoma of the Thyroid According to the Size : Especially Less Than 0.5 cm)

  • 박소영;김연민;이현복;조남수;윤준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6권2호
    • /
    • pp.149-155
    • /
    • 2013
  • 대한갑상선학회는 0.5 cm 보다 큰 경우에만 미세침흡인술을 권고하고 있으나, 본원에서는 0.5 cm 이하의 결절에서도 갑상선 유두암이 많이 발견되고 있다. 이 연구는 건강의학센터에서 미세침흡인술을 시행하여 갑상선 유두암으로 확진된 결절을 토대로 크기에 따른 초음파 특징을 분류해 보고자 한다. 결절의 크기를 장경 0.5 cm 이하, 0.5~1 cm, 1 cm 보다 큰 결절의 세 그룹으로 나누어 각각에서의 악성을 시사하는 초음파 소견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288개의 악성결절 중 0.5 cm 이하 크기는 21.5 % (62/288), 0.5~1 cm 54.9 % (158/288), 1 cm 보다 큰 결절은 23.6 % (68/288)로 나타났다. 앞뒤가 긴모양의 특징은 0.5 cm 이하 그룹 90.3 % (56/62), 1 cm 보다 큰 그룹 48.5 % (33/68)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0.5 cm이하 그룹에서 well defined smooth 결절은 1예도 없었으며, 침상(spiculated) 혹은 불규칙한 경계는 크기가 클수록 빈도가 증가하였다(p=0.024). 내부에코는 0.5 cm 이하 그룹에서 고에코(hyperechogenicity)와 동에코(isoechogenicity)의 결절은 1예도 없었으며, 각 그룹별로 현저한 저에코(marked hypoechogenicity)보다 저에코(hypoechogenicity)가 많았다(p=0.034). 미세 혹은 거대석회화는 0.5 cm 이하에서 77.4 % (48/62)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0.5 cm 이하 그룹부터 21.0 % (13/62), 48.1 % (76/158), 64.7 % (44/68)로 결절 크기가 증가할수록 관찰빈도가 증가하였다(p<0.001). 초음파에서 0.5 cm 이하의 결절은 앞뒤가 긴 모양과 침상 혹은 불규칙한 경계, 불분명한 경계를 보였고, 저에코 혹은 현저한 저에코가 많았다. 그러나 미세 혹은 거대석회화는 없는 것이 특징적이었다. 따라서 0.5 cm 이하의 작은 크기의 결절에서 악성을 시사하는 초음파적 특징은 미세침흡인 술이나 추적검사에 대한 유용한 지침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갑상선 미세유두암의 병리학적 소견 및 수술적 고려 (Patholgic Finding and Surgical Consideration in Micropapillary Carcinoma of the Thyroid)

  • 이현철;김운원;오상훈;김상효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89-193
    • /
    • 2008
  • Objectives:The incidence of micropapillary thyroid carcinoma(MPC) which is very good prognosis is increasing due to ultrasonography and accurate fine neede aspiration cytology. MPC defined papillary thyroid carcinoma below 1cm. According to the size, histophaothogic feature is different, lymph node metastasis and capsular invasion occur occasionally. So, we consider different treatment according to the size of MPC. Matrials and Methods:We reviewed and analyzed the record of 216 MPC patients operated at department of general surgery Busan Paik Hospital since 1995 January to 2005 Desember retrospectively. Result:The sex ratio was 1:9.29(male;21, female;195). Total thyroidectomy 20cases(9.3%), subtotal thyroidectomy 141cases(65%), lobectomy 52cases(24%), completion operation 3cases(1.4%) were done. Combined diseases were follicular carcinoma 4cases, follicular adenoma 11cases, thyroiditis 46cases, nodular hyperplasia 44cases. Lymph node metastasis 56cases and capsular invasion 56cases were presented. Group A(<5mm) was 53cases, group B(5-10mm) was 163cases. Group B showed higher lymph node metastasis and capsular invasion(P<0.05). Multiple carcinoma Showed higher capsular invasion than single carcinoma (P<0.05). Complications were post operative bleeding 1case, husky voice 1case, hypocalcemia 1case. Conclusion:We can consider more extensive operation in 5-10mm of MPC patients.

하시모토 갑상선염과 동반된 갑상선 수질암의 증례 보고: 초음파 소견을 중심으로 (Concurrent Medullary Carcinoma and Hashimoto's Thyroiditis: A Case Report with an Emphasis on US Features)

  • 김형엽;박노혁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4권5호
    • /
    • pp.1146-1151
    • /
    • 2023
  • 갑상선 수질암은 갑상선의 소포곁세포에서 기원하는 드문 악성 종양이다. 하시모토 갑상선염은 자가면역성 갑상선 질환의 일종으로, 갑상선 기능 저하증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하시모토 갑상선염과 갑상선 유두암 및 갑상선 림프종 사이의 연관성은 이전 연구에서 자주 논의되었다. 하지만 하시모토 갑상선염과 동반된 갑상선 수질암의 초음파 소견에 대한 보고는 거의 없었다. 증례에서 갑상선 실질은 미만성의 비균질 저에코 소견 및 내부에 에코발생 가닥이 관찰되었으며, 색 도플러 영상에서 증가된 혈관분포를 보였다. 이와 동시에 불분명한 경계의 평행한 방향성의 저에코성 종괴가 좌측 갑상선의 중간에서 하부 극에 관찰되었으며, 내부에는 중심 미세석회화를 보였고, 이는 불분명한 경계를 보인다는것을 제외하면 이전의 보고된 갑상선 수질암의 초음파 소견과 같았다.

갑상선암에 대한 고주파 절제 적용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Application of Radiofrequency Ablation to Thyroid Cancer: Past, Present, and Future)

  • 김지훈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4권5호
    • /
    • pp.999-1008
    • /
    • 2023
  • 발생률이 높고, 예후는 좋지만 재발을 잘하는 경향이 있는 갑상선암에서도 전통적인 치료법은 수술이다. 하지만, 2000년대 초반부터, 간암, 폐암, 신장암에서와 마찬가지로 고주파 절제술이 원발 갑상선암 및 재발 갑상선암에 적용되기 시작했다. 원발암에서는 1 cm 이하 크기의 미세유두암 저위험군에서 수술 불가능한 경우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뤄져 왔고, 1 cm보다 더 크고 4 cm 이하의 다양한 군에 대해서도 일부 연구가 시행되었으며, 전반적으로 모두 양호한 결과를 보고하였다. 재발암에 대해서도 주로는 국소 경부 재발암에 고주파 절제술이 시행되었으며, 일부 폐, 뼈 등의 원격 전이에 대해서도 시도되었고, 전반적으로 양호한 결과가 보고되었다. 최근 들어, 한국, 미국, 유럽 등 각지에서 갑상선암의 고주파 절제술에 대해 옹호하는 움직임이 있다. 하지만, 미국 국립 종합 암 네트워크(National Comprehensive Cancer Network) 등의 중립적인 임상지침에는 고주파 절제술이 아직 인정되지는 않은 상태이다. 지금까지의 노력들과 미래의 연구를 바탕으로 향후 가까운 미래에 갑상선암의 치료에 있어 고주파 절제술이 적절한 자리매김을 할 것으로 전망한다.

갑상선 미세 유두암의 수술 전 초음파 검사와 세침흡입검사의 결과에 따른 수술범위 선택의 타당성 검토 : 예비 보고 (Performance of Preoperative Sonography and 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y on Treatment of Thyroid Papillary Microcarcinoma : Preliminary Study)

  • 권중근;이상민;이호민;남정권;이태훈;이종철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38-41
    • /
    • 2011
  • Background and Objectives : Although it is well established that patients with papillary thyroid microcarcinoma (PTMC) have a highly favorable prognosis, the extent of thyroid surgery for PTMC remains unclear. According to the 2011 revised Korean Thyroid Association guideline, the choice of surgical strategy(total thyroidectomy versus lobectomy) for PTMC depends on solely preoperative diagnostic scrutinies-ultrasonography and 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y. We want to know how accurately these preoperative diagnostic scrutinies define the choice of surgical strategy for PTMC. Materials and Methods : For 119 patients who underwent total thyroidectomy with central neck dissection for PTMC, retrospectively, we compared the choice of surgery according to preoperative work up and postoperative pathologic findings. Results : Overall accuracy of the choice of surgery by preoperative work up was 61%. Among patients recommended lobectomy on preoperative work up, completion thyroidectomy on postoperative pathology might be necessary for 60% of patients and hidden central node metastasis was revealed in 31% of patients. Conclusions : The results of this study compel us to reinvestigate the current treatment guideline for PTMC. On current guideline according to the sonography and 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y, it might be thought to be better to choose more aggressive surgical strategy.

갑상선 미세유두암에서 경부림프절 전이의 예측인자에 대한 연구 (A Study of Predictive Factors of Cervical Lymph Node Metastasis in Papillary Microcarcinoma(PMC) of Thyroid Gland)

  • 유혜미;하태권;유성목;김운원;김상효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3-8
    • /
    • 2010
  • Background : Though papillary microcarcinoma(PMC) of thyroid gland is known to have very favorable long-term prognosis, the recurrence in the neck and distant metastasis have been often reported. The predictive factors of node metastasis and tumor recurrence in clinical course were investigated to define surgical decision or guidelines in surgery of papillary microcarcinoma. Methods : The authors conducted a retrospective analysis of 216 patients of PMC treated with surgery at Department of Surgery, Busan Paik Hospital for the period from 1997 to 2007. Of these patients, 58 cases showing cervical lymph node metastasis at initial surgery were studied. Results : In overall 216 patients, the sex ratio of male to female was 1 : 9.3(male 21, female 195 cases), the mean age at the time of diagnosis was 44.7 years and the median tumor size was 6.61mm. Neck lymph node metastasis was found in 58 patients(26.9%), thyroid capsular invasion was 56 cases(25.9%), multifocality and bilaterality were found in 32(14.8%) and 29 cases(13.4%), respectively.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sex, capsular invasion, ETE, and tumor size(>5mm) were considered to be predictive factors of cervical lymph nodes metastasis. Of them, capsular invasion was the most predictive indicator of cervical lymph node metastasis on multivariate analysis. Nodal recurrence was observed in 6 of 58 patients of node positive at initial surgery. Conclusion : The cervical lymph node metastasis is known to be a risk factor of prognosis in PMC of thyroid gl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four statistically significant independent predictive factors of cervical lymph node metastasis in PMC : capsular invasion, tumor size(>5mm), ETE, and sex. On multivariate analysis, capsular invasion was a great influencing factor in prediction of lymph node metastasis. Basically, patients who has predictive factors of cervical lymph node metastasis should have a thorough investigation, and close surveillance for nodal status is required in follow-up.

경부 종물로 발현된 유두 미세 갑상선암 (Papillary Thyroid Microcarcinoma Presenting as Neck Masses)

  • 김영모;박선기;신준순;전용선;한창준;조정일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65-70
    • /
    • 2002
  • Background and Objectives: Recently the tenn 'papillary microcarcinoma' has been proposed to designate carcinoma of 10 mm or less in diameter. In some cases, cervical lymph node metastasis preceding the occurrence of the primary tumor may be the first and sole manifestation of the disea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clinical features of cervical metastasis in papillary microcarcinoma of thyroid glands. Materials and Methods: 9 cases with papillary microcarcinoma with neck metastasis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5 cases are men and 4 are women. All patients complained of painless, movable neck mass. The symptom had been present from 1 month to 36 months. We reviewed clinical history, imaging studies, the results of fine needle aspiration, the surgical method, the pathologic results. Results: In 9 cases, no abnormalities of the thyroid gland were shown by imaging studies and thyroid scan. 3 cases were diagnosed by 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y. the others were not. Total thyroidectomy and neck dissection were performed in 9 cases and then pathology reports showed 2 case of multiple, 2 case of contralateral single and 5 cases of unilateral single thyroid microcarcinoma. They have no recurrence during follow-up period. Conclusions: Cervical metastasis from papillary microcarcinoma is variable clinical manifestation. The diagnosis of cervical metastasis from papillary microcarcinoma should be considered in patient with neck mass. We recommend total thyroidectomy with neck dissection and postoperative radioactive iodine ablation therapy in neck metastasis from papillary thyroid microcarcinoma.

침치료만으로 경과 관찰한 미세 갑상선 유두암 증례보고 (Observation of Papillary Thyroid Microcarcinoma Patient Treated with Acupuncture Alone)

  • 김준영;강지영;손창규;조정효
    • 대한암한의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53-59
    • /
    • 2014
  • Objectives : Thyroid cancer is one of the most common and rapid increases of malignancy worldwide. It is the aim of the present a case of papillary thyroid microcarcinoma (PTMC) treated with acupuncture alone to derive further studies of the determination of treatment options for PTMC, such as surgery, acupuncture and observation alone, etc. Method : A 51-year-old woman with malignancy of thyroid nodule ($0.89{\times}0.59cm$) was referred to our hospital on January 2010. We applied to the acupuncture alone three times weekly by the patient's decision from January 2010 to November 2014. Blood tests were conducted three times during the treatment period and ultrasonography was performed every 6 months. Results : Both laboratory data and tumor size results showed no deteriorations as compared with those of initial examination. The patients has been survived in healthy state without any metastasis or disease progression on November, 2014. Conclusion : This case presents a possibility that acupuncture or observation alone can be provided as an option in the treatment means for patients with PTMC. Further study will need to study more longer follow-up and a large number of patients for PTMC using acupuncture or observation alo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