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감정적 가치

검색결과 294건 처리시간 0.031초

의복 소비가치에 대한 질적 연구 (A Study on Clothing Consumption Value: A Qualitative Approach)

  • Kim, Sun-hee;Lim, Sook-Ja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5권9호
    • /
    • pp.1621-1632
    • /
    • 2001
  • 본 연구는 소비자의 실제적인 의복 소비 행동을 설명할수 있는 가치 개념을 제시하기 위하여 의복 소비가치의 구체적 유형을 밝히고, 적합하고 신뢰성 있는 의복 소비가치 척도를 구성 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Sheth(1991)의 소비 가치 이론과 의류학 및 소비자 행동분야의 다양한 이론을 토대로 초점집단면접(Focus Group Interview)을 통하여 소비가치에 대한 탐색적 접근을 시도한 결과를 논의하였다. 의복의 구매와 착용의 선택상황에 영향을 미치는 소비가치는 Sheth(1991)의 5가지 소비가치 유형인 기능적 가치, 사회적 가치, 감정적 가치, 진귀적 가치, 상황적 가치 및 의복제품의 특성에 따른 자기표현적 가치로 분류되었다. 기능적 가치는 물리적 속성, 물리적 기능, 도구적 성과와 관련되었으며, 사회적 가치는 사회계층, 준거집단, 인구통계 적 특성 집단, 문화-민족적 집단과의 관련성 에 대 한 가치로 구성되었다. 감정적 가치는 긍정적, 부정적 감정 및 심미성 요인으로 구성되었으며, 진취적 가치는 다양성추구행동 요인 및 유행성의. 새로움 추구 요인과 관련되었다 또한 상황적 가치는 의복착용상황, 구매상황, 커뮤니케이션 상황으로 구성되었으며, 자기표현적 가치는 성격, 이미지 표현, 개성추구, 유행추구 등의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의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소비가치에 대한 양적 연구를 실시한다면, 보다 객관적인 구조를 파악하고 신뢰성 있는 측정 문항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쾌락적 가치와 실용적 가치가 소비감정과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Understanding the Effects of Hedonic and Utilitarian Values on Consumption Emotions and Customer Satisfaction)

  • 송자현;김현정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180-191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지각된 가치(쾌락적 가치, 실용적 가치)가 소비감정과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나아가 각 개념들의 측정변수 사이에 내재한 관계를 파악하는데 있다. 연구 자료는 최근 한 달간 아시아 레스토랑을 방문한 경험이 있는 미국인들을 대상으로 수집하였으며, 총 435개의 자료를 가지고 기술통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쾌락적 가치와 실용적 가치 모두 긍정적 감정과 고객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실용적 가치만이 부정적 감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측정변수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쾌락적 가치인 전통음악, 전통음식, 레스토랑 배치가 긍정적 감정에 영향을 미쳤으며, 인테리어 디자인은 고객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실용적 가치인 음식의 맛과 건강한 음식종류는 긍정적 감정과 고객만족에 영향을 미쳤으며, 음식의 맛만이 부정적 감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대한 실무적 시시점을 결론에 제시하였다.

패키지관광 동기에 대한 태도 및 지각적가치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haracteristics of Attitude and Perceived Value of Motivation of Package Tour on Satisfaction)

  • 김대석;서영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230-243
    • /
    • 2020
  • 본 연구는 패키지 관광동기(화합, 유희, 편리성)가 패키지 여행자의 태도 및 지각적 가치(감정적 가치, 기능적 가치)를 통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파악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패키지관광을 경험한 19세 이상의 성인 297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관광동기 하위요인인 화합성, 유희성, 편리성은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관광동기 하위요인인 화합은 지각적 가치 하위 요인인 감정적 가치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주지 않으며, 유희성과 편리성은 감정적 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셋째, 태도는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넷째, 지각적 가치의 하위요인 감정적, 가능적 가치요인 모두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하여 패키지관광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효율적인 마케팅 전략에 대한 연구로 확대하여 소비자의 욕구를 자극하여 기호에 맞는 독창적이고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여 패키지관광이 활성화 될 수 있도록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제시하였다.

필라테스 이용자가 지각한 서비스 품질이 이용자의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기능적 가치와 감정적 가치의 매개효과 연구 (Effects of Service Qualities Perceived by the Pilates Users on Their Reuse Intention: A Study on Mediating Effect of Functional and Emotional Values)

  • 정난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681-694
    • /
    • 2021
  • 본 연구는 최근 증가하고 있는 체육활동 종목으로 필라테스 교육 시설의 서비스 품질과 재이용의도 간의 관계에서 이용자의 지각된 가치의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필라테스 센터를 이용하는 이용자 48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AMO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필라테스 이용자가 지각한 서비스 품질인 외적서비스, 학원강사자질, 교육프로그램, 학원수강료는 모두 재이용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필라테스 이용자가 지각한 서비스 품질인 외적서비스, 학원강사자질, 교육프로그램, 학원수강료는 모두 기능적 가치와 감정적 가치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필라테스 이용자가 지각한 기능적 가치와 감정적 가치는 재이용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기능적 가치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면, 필라테스 교육 시설의 서비스 품질인 외적서비스, 학원강사자질, 교육프로그램, 학원수강료와 재이용의도 간의 관계에서 모두 기능적 가치의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감정적 가치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면, 필라테스 교육 시설의 서비스 품질인 교육프로그램, 학원수강료와 재이용의도 간의 관계에서 감정적 가치의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친사회적 소비에 대한 소비자의 행동적 가치인식과 실천행동: 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Consumers' Value-in-Behavior and Practice of Pro-social Consumption: Focused on Moder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 황혜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162-180
    • /
    • 2019
  • 본 연구는 소비자의 친사회적 소비행위에 대한 행동적 가치인식이 친사회적 소비실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사회적으로 공동의 가치를 추구하는 데 필요한 집단적 결속력을 높이는 신뢰와 사회관계의 호혜성에 근거한 소비자의 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전반적으로 친사회적 소비에 대한 행동적 가치인식이 긍정적이며, 이타적 가치, 감정적 가치, 사회적 가치, 기능적 가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소비자의 친사회적 소비실천 수준을 살펴본 결과, 연령에 따른 차이만 유의하게 나타났다. 부당기업에 대한 거부의 행동을 제외하고 모든 실천행동에서 연령이 높을수록 더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친사회적 소비실천에 대한 행동적 가치인식의 영향과 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기능적 가치와 감정적 가치의 영향이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신뢰는 감정적 가치인식과, 호혜성은 기능적 가치인식과 유의한 상호작용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기 위한 소비자의 역할이 실천되기 위한 방향으로의 전환을 촉진하는데 필요한 이론적 시사점과 실무적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사회적 기업의 제품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purchase Intention for the Products of Social Enterprise)

  • 김은정;김종원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105-115
    • /
    • 2012
  • 본 연구는 사회적 기업의 제품 구매동기인 돕는 즐거움과 사회적 책임감이 기능적 가치와 감정적 가치 및 기업이미지와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이들 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사회적 기엽의 제품 구매 고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질시하였다. 178부의 설문으로 공변량 구조방정식 모델을 통하여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기업 제품 구매동기인 돕는 즐거움과 사회적 책임감은 기능적 가치와 감정적 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마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능적 가치와 감정적 가치는 기업이미지와 재구매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업이미지는 재구매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다.

개인성향에 따른 1인 미디어 콘텐츠의 가치 지각 및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ersonal trait on Perceived Value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 Focus on one-person media contents)

  • 주선희;송민영;김병국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159-167
    • /
    • 2018
  • 1인 미디어콘텐츠의 인기가 증가됨에 따라 이용자의 개인성향이 1인 미디어에 대해 가치를 지각하고 타인에게 추천하려는 의도에 대한 인과관계를 살펴보았다. 단조롭고 반복적인 일상에 대해 권태로움을 민감하게 받아들이는 성향과 새로운 정보 및 자극을 탐색하며 추구하려는 성향이 높은 사람은 1인 미디어콘텐츠에 대해 감정적 가치, 지식적 가치, 경제적 가치를 지각할 것으로 보고 가설을 설정하였다. SPSS21을 이용하여 다중회귀분석을 통한 가설검증결과, 신기성 추구성향은 감정적 가치, 지식적 가치, 경제적 가치에 모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새로운 것을 탐색하고 즐기고자 하는 이용자들은 1인 콘텐츠를 통해 즐거움, 재미, 슬픔을 느낄 수 있는 가치를 지각하고, 새로운 자극을 지각하고 몰랐던 사실을 알게 되는 도구로 지식적 가치를 지각하며, 새로운 정보 및 상황을 탐색하는 데 저렴한 비용으로 즐길 수 있는 경제적 가치를 지각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감각추구성향의 경우 지식적 가치에는 유의한 영향이 있었으나, 감정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에 유의한 영향이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권태감을 쉽게 느끼는 감각추구성향이 높은 사람은 1인 미디어 콘텐츠에 대해 호기심을 충족 가능하므로 지식적 가치를 지각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저렴한 비용이나 무료 제공이 아니라 비용을 지불하고서라도 재미를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감각추구성향이 높은 이용자는 지루한 콘텐츠를 이용하면서 경제적 가치를 지각하기보다 콘텐츠 비용을 지불을 하고서라도 지루하지 않고 재미있는 콘텐츠를 보기를 원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비건 화장품의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소비자 가치 인식, 환경적 동기 및 지각된 장벽의 영향 분석 (Analyzing the Effects of Consumer Value Perception, Environmental Motives, and Perceived Barriers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Vegan Cosmetics)

  • 이은희;배승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1043-1054
    • /
    • 2023
  • 비건 화장품 시장이 급성장하는 가운데, 소비자의 환경 및 윤리적 가치 지향이 강화되고 있지만, 이에 관한 연구는 제한적이다. 본 연구는 비건 화장품의 구매의도에 영향을 주는 소비자의 가치 인식과 환경 동기, 그리고 지각된 장벽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300명의 비건화장품 사용 경험이 있는 여성을 대상으로 PLS-SEM 분석을 진행한 결과, 금전적 가치, 사회적 가치, 브랜드 가치, 감정적 가치, 품질 가치, 그리고 환경 지식이 구매의도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조절 효과 분석에서는 이미지 장벽과 가치 장벽이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중요도-성능 지도 분석을 통해, 감정적 가치가 비건 화장품의 구매의도를 강화하는 전략적 결정에 중요한 핵심 요인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는 비건 화장품 시장의 경쟁력 강화와 지속 가능한 소비 태도 활성화에 대한 이론적 및 실무적 기여를 제공한다.

오프라인 매장의 체험특성과 환경특성이 지각된 가치 및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xperience and Environment Factors in Offline Stores on the Perceived Value and Revisit Intention)

  • 진의토;박현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5호
    • /
    • pp.167-178
    • /
    • 2019
  • 본 연구는 애플(Apple), 화웨이(Huawei), 샤오미(MI), 오포(Oppo), 삼성(Samsung), 비보(Vivo) 등의 오프라인 매장을 체험한 258명 중국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여 체험요소와 환경요소가 제품과 관련된 지각된 가치를 창출해내는지, 이러한 가치가 매장의 재방문의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체험특성과 지각된 가치의 관계에서는 교육적 체험 및 미적 체험이 감정적 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오락적 체험이 기능적 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환경특성과 지각된 가치의 관계에서는 조명, 직원 서비스 및 매장 배치가 기능적 가치에 영향을 미치고, 조명 및 직원 서비스가 감정적 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능적 가치와 감정적 가치는 모두 오프라인 체험매장의 재방문의도를 높이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오프라인 체험매장을 관리하는 기업들이 소비자들을 위하여 고려해야 할 체험매장 특성이 무엇인지 이해함으로써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소비가치와 기업의 공유가치창출활동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아웃도어 브랜드 중심으로 - (The Effect of Consumption Value and Creating Shared Values on Purchase Intention - Focused on Outdoor Brands -)

  • 이길구;이선규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105-115
    • /
    • 2019
  • 본 연구는 아웃도어 브랜드 소비자의 소비가치와 기업의 공유가치창출활동이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으로 소비가치의 하위변수는 기능적 가치, 상황적 가치, 감정적 가치로 설정하였고, 기업의 공유가치창출활동의 하위 변수는 경제적 가치, 관계적 가치, 사회적 가치로 설정하였다. 분석결과, 소비가치의 기능적 가치, 상황적 가치, 감정적 가치는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기업의 공유가치창출활동의 경제적 가치, 사회적 가치, 관계적 가치도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석결과에 따라 아웃도어 브랜드 소비자의 소비가치와 기업의 공유가치창출활동은 모두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아웃도어 브랜드 산업에서 소비자의 소비가치나 기업의 공유가치창출활동은 이미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충분히 반영되었다고 추론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