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감염예방 지식

검색결과 97건 처리시간 0.02초

코로나 19 팬데믹 상황에서 보육교사의 감염병 지식, 건강통제소재, 자기효능감과 감염병 예방행위 실천의 관계 (Correlation of Childcare Teachers' Knowledge of Infectious Diseases, Health Locus of Control, Self-Efficacy, and Practice of Disease Preventio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 주아련;김유미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17
    • /
    • 2023
  •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provide empirical data on epidemic management measures and childcare teacher education in centers. It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infectious disease knowledge, health control knowledge, and self-efficacy in relation to the practice of preventive behaviors among infant and toddler teacher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Methods: The study involved 300 teachers from Seoul and Gyeonggi Provinc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and analyzed using SPSS 23.0. Results: The study found that there i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teachers' knowledge of infectious diseases and their engagement in preventive behavior. Additionally, internal control among the health care factors of childcare teachers also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Furthermore, the study revealed that the self-efficacy of childcare teachers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ir practice of preventive behavior. Overall, infectious disease knowledge, internal control measures, and self-efficacy were all found to have positive relationships with preventive behavior.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proposes a new direction for future teacher education by highlighting the effectiveness of psychological factors, specifically health control materials and self-efficacy, in addition to focusing on improving infectious disease knowledge.

병원 간호사의 혈액매개감염 예방지식과 이행: 직무경력을 기준으로 (Knowledge and Compliance with Blood-Borne Pathogen Prevention of Hospital Nurses: Based on Clinical Experience)

  • 차효성;이경미
    • 임상간호연구
    • /
    • 제25권1호
    • /
    • pp.43-54
    • /
    • 2019
  • Purpose: Exposure to blood and body fluids represents a significant occupational risk for nurses.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the level of knowledge of and compliance with blood-borne pathogen prevention of hospital nurses according to clinical experience, an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compliance with blood-borne pathogen prevention. Methods: A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 was conducted in which self-reported knowledge of and compliance with blood-borne pathogen prevention was assessed. The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were examined. Registered nurses who were employed (n=345) were surveyed.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Results: Nurses with more than 5 years experience had greater knowledge of blood-borne pathogen prevention than nurses with less than 5 years experience.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pliance with blood-borne pathogen prevention between the two groups. No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knowledge and compliance with blood-borne pathogen prevention according to experience standards. In nurses with less than 5 years experience, gender, age, reported exposure to a blood-borne pathogen, and compliance with principles of prevention had a significant impact on compliance with blood-borne pathogen prevention. For nurses with more than 5 years experience, reporting after exposure to blood-borne pathogen was a contributing factor to compliance with blood-borne pathogen prevention. Conclusion: The study results show that to improve the implementation of preventive measures against blood-borne pathogens different strategies are needed, depending on clinical experience of the nurses.

청소년과 그들의 보호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A형 간염 예방접종에 대한 지식 및 건강신념 연구 (Adolescents' and Parental Knowledge, Health Beliefs Toward Hepatitis A Vaccination)

  • 윤서희;이효연;김한울;공경애;김경효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0권3호
    • /
    • pp.147-160
    • /
    • 2013
  • 목적: 최근 과거에 비해 A형 간염 발생률이 감소하고 있으나, 예방접종 도입 이전에 출생한 청소년들은 A형 간염의 대량발생 위험성이 있다. 본 연구는 A형 간염 예방접종을 시행하지 않은 청소년과 그 부모를 대상으로 A형 간염 예방접종에 대한 지식과 건강신념을 조사하였다. 방법: 만 13-19세의 A형 간염 과거력이 없고 예방접종을 시행하지 않은 건강한 청소년들과 그들의 보호자들을 대상으로 건강신념모델에 근거한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과 A형 간염 및 A형 간염 예방접종에 대한 지식과 건강신념을 조사하였고, 건강신념은 민감성, 심각성, 유익성, 장애성의 4가지 항목으로 측정하였다. 결과: 총 314명(157쌍)의 청소년과 보호자들이 모집되었고, 청소년과 보호자의 평균 나이는 각각 $16.0{\pm}1.6$, $45.6{\pm}4.7$세였다. 대상자의 A형 간염 및 예방접종에 대한 지식점수는 청소년, 보호자 각각 18점 만점에 평균 $6.4{\pm}3.7$점, $7.3{\pm}3.4$점이었으며, A형 간염과 예방접종에 관한 건강신념 세부항목들의 평균점수는 청소년과 보호자 각각 다음과 같았다. 민감성 점수(점수범위: 2-10점)는 $5.6{\pm}1.6$점과 $5.9{\pm}1.7$점; 심각성 점수(점수범위: 5-25점)는 $16.3{\pm}4.1$점과 $18.3{\pm}3.6$점; 유익성 점수(점수범위: 5-25점)는 $19.7{\pm}3.3$점과 $20.6{\pm}2.1$점; 장애성 점수(점수범위: 17-85점)는 $41.3{\pm}8.9$점과 $39.0{\pm}9.1$점이었다. A형 간염 예방접종을 시행하지 않은 가장 주된 원인은 청소년과 보호자 모두 'A형 간염 예방접종을 해야한다는 것을 알지 못했다'를 가장 많이 선택하였다. 결론: 청소년층의 A형 간염 대유행의 위험을 낮추고 접종률을 높이는 방안으로서 보호자가 함께 참여하는 반복적인 학교 보건교육이 필요하며, A형 간염 예방접종의 국가필수예방접종 도입도 고려되어야 하겠다.

  • PDF

쯔쯔가무시증 환자군과 대조군의 인지도와 지식 비교 (Comparison of the Awareness and Knowledge of Scrub Typhus between Case and Control Groups)

  • 이관;박병찬;임현술;권순석;최진수;김장락;김건엽;류소연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7권1호
    • /
    • pp.1-11
    • /
    • 2012
  • 이 연구는 지역사회 주민 중 쯔쯔가무시증 환자군과 대조군에 대하여 쯔쯔가무시증 인지도 및 지식 정도를 파악하고, 쯔쯔가무시증 발생과 인지도의 관련성 및 인지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서 향후 쯔쯔가무시증 방역사업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위해 수행하였다. 2006년 10월부터 12월까지, 시 도 단위로 다섯 지역을 선정후 각 지역별로 2곳 이상의 시 군을 지정하였다. 환자군은 지난 2주간 동안 확진된 환자 299명으로 하였고, 대조군은 환자가 실제 거주지 이웃 주민 중 최근 2년 동안 쯔쯔가무시증의 감염 병력이 없고, 성별, 연령(${\pm}5$세)이 일치하며 환자의 집에서 가까운 순으로 2명을 선정하여 598명이었다. 저자들이 전문가의 자문을 통하여 직접 개발한 설문지를 통하여 쯔쯔가무시증에 대한 인지도 및 지식정도를 조사하였다. 쯔쯔가무시증에 대한 인지도는 대조군 79.4%, 환자군 66.6%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환자군과 대조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던 변수, 즉 인지도와 과거 감염력을 이용한 다변량 분석에서 쯔쯔가무시증은 인지도가 없을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1.95배 더 발생하였다. 쯔쯔가무시증에 대한 인지도가 있는 대상자 중 쯔쯔가무시증 인지 경로별 분포는 전체적으로 가족 또는 이웃이 쯔쯔가무시증을 앓은 경우가 54.9%로 가장 많았고, 텔레비전 28.3%, 과거 쯔쯔가무시증을 앓은 경우 5.5% 등의 순이었다. 쯔쯔가무시증에 관한 지식 정도는 전반적으로 대부분의 항목에서 정답률이 70% 미만이었으며, 모든 항목에서 환자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정답률이 높았다(p<0.01). 다변량 분석 결과 쯔쯔가무시증 인지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환자군에서 연령(OR, 0.96; 95% CI, 0.94-0.98)이었고, 대조군에서는 여자(OR, 1.56; 95% CI, 1.03-2.36), 연령(OR, 0.98; 95% CI, 0.96-0.99), 가족력이 있는 경우(OR, 10.18; 95% CI, 1.37-75.99),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경우(OR, 8.47; 95% CI, 1.14-63.00) 등이었다. 쯔쯔가무시증 예방 또는 감소를 위해서는 예방교육을 통해 주민의 인지도를 향상시키고, 이를 통해 예방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일 것이다. 낮은 인지도 향상과 쯔쯔가무시증 예방을 위해 효과적인 작업 지침 및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하며, 예방에 관련된 홍보를 강화하여야 할 것이다.

북한이탈 여성의 자궁경부암 및 인유두종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지식과 예방태도 (Knowledge and prevention Attitude of Female North Korean Refugees regarding cervical cancer and human papillomavirus infection)

  • 전정희;이인숙
    • 가정간호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66-176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knowledge and prevention attitudes of female North Korean refugees regarding cervical cancer and human papillomavirus(HPV) infection. Methods: A descriptive study was conducted. Data were collected from November 2015 to March 2016 and 130 female North Korean refugees participa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Results: Score on knowledge and prevention attitudes regarding cervical cancer and HPV were 2.53 out of 8 points, 1.67 out of 17 points, and 28.90 out of 36 poin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entry duration, the number of children, previous cervical cancer tests, Precognition about HPV, preferred education method, and knowledge of cervical canc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evious cervical cancer tests, Precognition about HPV and knowledge of HPV. The correlation between knowledge and prevention attitudes regarding cervical cancer and HPV was significant positive. Conclusion: Female North Korean refugees' knowledge level of cervical cancer and HPV is very low. However, their attitudes towards prevention was higher. These results imply a need for education, aimed at guiding North Korean female refugees, so as to enhance their knowledge regarding cervical cancer and HPV, and to promote their sexual health.

대학생의 지카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지식 및 태도가 예방행위계획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Knowledge and Attitudes on Preventive Behaviors Plan for Zika Virus Infection in University Students)

  • 임승주;김영지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09-216
    • /
    • 2021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knowledge and attitudes of preventive behavior plans (PBPs) on Zika virus infec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Methods: Participants included 130 students from H University in Korea. Electronic self-reported questionnaires were used to collect data.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WIN 23.0. Results: The mean percentile score for knowledge was 35.52±20.63. The mean scores for attitudes and PBPs were 3.31±0.47 and 3.07±0.72, respectively, out of 5 points. Knowledge (t=-5.79, p<.001), attitudes (t=-3.17, p=.002), and PBPs (t=-2.67, p=.009) differed significantly with respect to awareness concerning Zika virus infection. The factor 'attitudes' significantly affected PBPs, with an R2 value of 12.0% (β=.27, p<.001). Conclusion: Developing a correct attitude toward Zika virus infection may be key to improving preventive behaviors. Health education messages should be tailored to increase preventive behaviors against Zika virus infection. Nursing educators will benefit from partnerships with health educators and by using internet media to speed up the dissemination of Zika virus information.

코로나19 초기 유행 시 간호대학생의 감염예방행동 수행 영향요인 (Influencing Factors of the Performance of Infection Preventive Behaviors among Nursing Students in the Early Pandemic Period of COVID-19)

  • 안준희;이창금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28권1호
    • /
    • pp.21-30
    • /
    • 2022
  • Purpose: This research aimed to assess nursing students' knowledge, attitudes and infection prevention behaviors toward the coronavirus disease-19 (COVID-19). Methods: A cross-sectional surve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11 through October 1, 2020, involving a total of 235 third and fourth year of nursing students enrolled in two universities in U and K city. Self-report questionnaires consisting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knowledge, attitudes and infection prevention behaviors toward the COVID-19 were administered to the participants. Results: Influencing factors for infection prevention behaviors were gender (β=0.21, p<.001), attitudes toward infection control (β=0.38, p<.001), education experience regarding COVID-19 (β=0.21, p=.004), and a visit to the hospitals or the areas where the COVID-19 case has occurred or been admitted (β=-0.18, p=.003) which explained 23.6% of the total variance.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s basic information regarding nursing students' knowledge about COVID-19, attitudes toward infection control, and infection prevention behaviors during the initial outbreak of COVID-19.

젊은 미혼 남성에서의 매춘부와 성관계를 한 경험이 있는 집단과 매춘부와 성관계를 한 경험이 없는 집단 사이에서의 에이즈에 대한 지식과 태도 비교 (The Comparison of Knowledge and Attitude of AIDS between the Sex Group with a Prostitute and the Non-sex Group in Unmarried Young Men)

  • 염창환;최윤선;조경희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4권2호
    • /
    • pp.122-129
    • /
    • 2001
  • 배경 : 후천성 면역 결핍증이 치명적인 질환으로 알려진 이후 이에 대한 원인규명과 치료방법 그리고 전염을 막기 위한 노력과 연구들이 현재까지 계속 진행되고 있지만, 이 질환에 대한 치료방법이나 백신 개발은 아직까지 요원한 실정이다. 따라서 가장 좋은 치료는 예방이며, 올바른 예방법을 숙지하여 행하면 거의 100% 예방이 가능하다. 이에 저자 등은 매춘부와 성경험이 있는 고위험군과 매춘부와 성경험이 없는 저위험과의 지식과 태도 비교를 통해 효과적인 예방교육을 제시하고자 한다. 방법 : 2000년 1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현재 미혼인 군인과 대학생 516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조사하였다. 응답된 자료를 고위험군과 저위험군 사이에서의 인구통계학적인 특징, 지식, 태도를 chi-square test를 가지고 비교 분석하였다. 또 두 군간의 지식 점수 비교는 one-way ANOVA test를 가지고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미혼 남성 516명중 고위험군은 256명(49.6%), 저위험군은 260명(50.4%)이었으며, 후천성 면역 결핍증에 대해서 처음으로 듣는 시기는 두 집단 다 중학교 때가 제일 많은 것으로 나왔다. 이 질환에 대해 지식을 얻게 되는 주된 경로는 텔레비젼 방송으로 고위험군은 124명(48.4%), 저위험군은 167명(64.2%)로 나왔다(P=0.002). 지적 부분에서는 평균 점수가 총 20개 문항 중 고위험군은 $13.9{\pm}1.9$, 저위험군은 $14.1{\pm}1.8$이었고, 두 군간의 통계학적인 차이는 없었다(P=0.191). 저위험군이 고위험군보다 통계학적으로 의미가 있는 경우는 20개 항목 중 2개 항목으로 수혈을 통해 전염된다는 항목(P=0.014)과 모기를 통해 후천성 면역 결핍증 바이러스 균이 전염될 수 있다는 항목(P=0.009)이었다. 태도 부분에서는 환자를 다른 사람과 격리시켜야 된다는 항목에서만 통계학적으로 고위험군에서 저위험군보다 의미있게 높게 나왔다(P=0.029). 결론 : 본 연구에서 고위험군과 저위험군 모두 텔레비젼을 통해서 지식을 주로 습득하고, 지식과 태도 부분에서 일부분을 제외하곤 두 군간의 통계학적인 차이는 없었지만 지식부분은 2개 항목, 태도 부분은 1개 항목에서 저위험군이 고위험군보다 통계학적으로 높게 나왔다. 이는 지식이 높을수록 후천성 면역 결핍증에 노출 될 가능성을 낮출 수 있음을 시사하며, 감염될 가능성이 낮은 사람이 태도도 더 긍정적임을 알 수 있다.

  • PDF

간호대학생의 결핵에 대한 지식 및 태도가 결핵감염 예방행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Knowledge, Attitudes and Prevention Behaviors for Tuberculosis Infection in Nursing Students)

  • 임승주;이현주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18권1호
    • /
    • pp.43-50
    • /
    • 2016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knowledge, attitudes and prevention behaviors (PB) on tuberculosis (Tb) infection in nursing students. Methods: 268 subjects were recruited from two universities located in C D cities of Korea and data were collected utilizing self-reported questionnaires. Results: The mean scores of knowledge, attitudes and PB on Tb infection were 64.83, 3.18 and 2.97. The knowledge differed according to gender (t=-3.16, p=.002), grades (F=32.19, p<.001), educational experience about Tb (EETb) (F=10.59, p<.001), learning information about Tb (t=3.08, p=.002) and getting Tb: self or others (t=2.78, p=.006). The attitudes differed according to grades (F=7.71, p<.001) and EETb (F=2.68, p=.047). The PB differed according to grades (F=7.02, p<.001) and EETb (F=4.55, p=.004).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knowledge and PB (r=.20, p=001), attitudes and PB (r=.33, p<.001). The most significant factor influencing PB was attitudes with R2 value of 13.9% (F=11.81, p<.001). Conclus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knowledge and attitude adjustment may be necessary to improve PB for Tb infection in nursing students. Moreover further study is necessary to find out the ways to reinforce the level of attitudes.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utilized in educational programs for preventing Tb infection in nursing students.

인간의 건강한 삶을 위한 가축원격 진료 예측 모델 (Livestock Telemedicine System Prediction Model for Human Healthy Life)

  • 강윤정;이광재;최동운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335-343
    • /
    • 2019
  • 건강한 삶은 인간이 추구하는 행복의 필수불가결한 요소이다. 식생활은 그 기반을 제공하는 것이며 가축의 건강은 사람의 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 가축 질병을 정확하게 예측하고 관리하는 것은 지속가능한 가축의 생산을 보장하고 인간의 건강을 유지하는 데 기여한다. 사람의 경우 만병의 근원이 감기라면, 송아지의 경우 모든 질병의 원인을 제공하는 것은 설사병이다. 따라서 송아지의 설사병을 스마트 센서로 생체 데이터를 추출하고, 수집된 생체 데이터는 전처리 후에 의미 있는 정보로 사용한다. 축사의 환경 정보와 송아지 객체의 생화학·면역·감염원인체의 측정 정보를 온톨로지로 구축한다. 온톨로지는 논리적 추론 절차를 거쳐 송아지의 설사병을 예측할 수 있는 지식 베이스로 구축하였다. 송아지의 질병명, 원인, 발생 시기, 증상에 대해서 지식 기반으로 설사병을 예측한다. 가축의 일부 중에서 송아지를 모델한 지식 기반의 가축 원격 진료 질병 예측은 상위 온톨로지와 예측에 관한 도메인 온톨로지로 표현하여 그 결과로 치료, 예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