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감염률

검색결과 994건 처리시간 0.031초

부산 일대에서 시판되는 붕장어의 Anisakis 유충 감염상 (Infection status of larval anisakids in Astroconger muyias.for collected from the Southern Sea near Pusan)

  • 송수복;황은경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0권4호
    • /
    • pp.263-268
    • /
    • 1992
  • 인체 소차관의 급성 질환 띤 만성으로 호산구성 육아종증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Anisakis류에 있어서 중간 숙주가 되는 우리나라 남해안산 허산 어류 중 부산 각 지역별 광안리, 자갈치, 송도와 다대포에서 붕장어를 구입하여 유충류를 채집한 후 헙대학적인 조사를 시도하였던 바 Anisakis type과 Contracaecum type의 두가지 유충을 검출하였다. 붕장어 382마리 중 259마리가 양성으로 67.8%의 감염률이었으며 붕장어 마리당 감염를은 전체 충체 1,768마리로써 4.6마리였다. 넉장어의 크기에 따른 선충류의 감염률은 꽐수록 증가되었다. 통장어의 각 장기별 선충류의 감염률은 망 1,430(80.8%), 소장 166(9.38%), 위장 107(6.0%), 퍼부 32(1.8%), 근육 18(1.0%), 간장 13(0.7%) 그리고 두부 2(0.1%)의 순위이었다. 이상의 결과에 의하면 붕장어회의 생식으로 Anisakis류의 인체 감염의 가능성이 충분하다고 판단된다.

  • PDF

강원도 홍천강 유역의 Metagonimus속 흡충 감염상 (Epidemiological studios on Metagonimus infection along the Hongcheon river, Kangwon Province)

  • 안영훈;양용석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6권3호
    • /
    • pp.207-214
    • /
    • 1988
  • 강원도 홍천군내를 임류하여 경기도 청평댐으로 유입되는 홍천강 유역 주민의 Metagonimus속 흡충 감염실태와 홍천강에 서식하는 중간숙주의 감염상을 조사하였다. 홍천강 유역 주민의 Metngonimus속 흡충 감염률은 529명(남 314, 여 215)중 39명(남 33명, 10.5%; 여 6명, 2.8%)으로 평균 7.4%의 양성률을 보였다. 총 8개 지점에 대한 조사중 북방면 굴흑이가 주민감엽률 26.9% (남자는 38.2%)로 가장 높았고 제 1중간숙주인 다슬기의 서식밀도도 높았다(m2당10∼20개). 다슬기의 Metagonimus 유미유충 감염률은 10.7%(121개중 13개)였다. 주민들의 호생식성 어종이며 근단. 수가 많은 피라미 (Zncco platypus)의 metacercaria 감염은 68.2%(44마리중 30마리)이며 주 검출부위는 비늘(89.9%)이었다. 피라미에서 검출된 metacercaria를 흰쥐에 감염시킨 다음 15일후에 성충을 회수하고, 사람에서 검출한 충체와 비교하였던 바 동일종으로 관찰되었다. 검출된 충체는 Metagcnimus takahashis([고교]흡충)와 기타 Metagonimus속 흡충이 혼재해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강원도 홍천강 유역에 Metagonimus 흡충 감염이 높은 지역이 있음을 알았고 주요 감염원이 되는 어종은 피라미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남해안 양식산 조피볼락에 기생한 Microcotyle sebastisci의 감염률 변동 (Ecological study on Microcotyle sebastisci of parasiting of cultured rocfish, Sebastes schlegeli, in Korea)

  • 최상덕;심두생;공용근;백재민;방인철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19-126
    • /
    • 1996
  • 1995년 4월부터 10월까지 전남 가막만과 경남 남해 해역에서 양식하는 조피볼락에 기생하는 아가미흡충 Microcotyle sebastisci의 기생률 변동 및 병리조직학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M. sebastisci는 6~7월에 나타나지 않았고, 주로 새엽 II~III에 기생하였다. 기생된 부위는 미세한 출혈과 함께 점액이 다량 분비되었다. 남해의 경우 9월에 있어서 감염률, 상대 감염밀도, 평균 감염강도는 각각 40.0%, 30.7, 76.8을 나타내었다. 또한 가막만의 경우는 10월에 감염률, 상대 감염밀도, 평균 감염강도는 각각 46.0%, 40.5, 88.0으로 조사기간 중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병리조직학적 소견으로는 호흡상피세포의 증생, 비후, 새박판간상피세포의 중생과 새변의 곤봉화가 일어났다. 2차적으로 세균의 감염에 의한 아가미 부식도 관찰되었다.

  • PDF

AIDS news

  • 대한에이즈예방협회
    • 레드리본
    • /
    • 통권70호
    • /
    • pp.46-49
    • /
    • 2006
  • VGX "FDA, 에이즈치료제 추가임상 승인"/ 印 에이즈 감염인 520만 명 초과/ 성문화에 개방적인 대학생, 에이즈 걱정은 별로 안 해/ 베트남 '에이즈 신부' 파문/ 수혈로 에이즈 감염 국가보상 추진··· 여야 의원 12명 무상치료 등 법안 발의/ 에이즈 감염인 해고 못 한다/ 고흥군, 청소년 에이즈 예방 조기교육/ 에이즈 감염인들 '힘겨운 삶'/ "에이즈 감염인 자살률 일반인 10배"/ 씨티은행, 어린이 에이즈환자에 기부금/ 印에이즈女 지방선거 도전 "내 나라 감염확산 막고 싶어"

  • PDF

2012~2017년 강원지역에서 채집된 모기의 계절적 발생소장과 플라비바이러스 감염률 (Mosquito Prevalence and Flavivirus Infection Rates in Gangwon-do, Republic of Korea)

  • 정세진;고석현;고은미;임은주;김영수;이욱교;이동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8권2호
    • /
    • pp.89-99
    • /
    • 2019
  • 2012~2017년까지 강원도 3개 시 군(춘천시, 강릉시, 횡성군)에서 채집된 모기는 총 6속 13종, 654,362마리가 채집되었다. 채집된 모기는 분류하여 얼룩날개모기속을 제외하고 종별, 채집일, 채집 장소에 따라 최대 50마리를 1개 실험군으로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염기서열 분석방법으로 플라비바이러스 감염여부를 조사하였다. 채집모기 276,224마리에 대해 7,721개 실험군을 검사한 결과 68개 실험군(0.9%)에서 플라비바이러스 유전자가 검출되었다. 검출된 플라비바이러스의 염기서열 분석결과 4개 실험군은 일본뇌염바이러스(Japanese encephalitis virus), 64개 실험군은 차오양바이러스(Chaoyang virus)로 확인되었다. 일본뇌염바이러스는 2012년 춘천시에서 채집된 2,728마리의 빨간집모기 중 1개 실험군, 2013년 횡성군에서 채집된 19마리의 동양집모기 중 1개 실험군, 2017년 춘천시에서 채집된 1,111마리의 빨간집모기 중 1개 실험군, 강릉시에서 채집된 빨간집모기 724마리 중 1개 실험군에서 검출되었다. 검출된 일본뇌염바이러스의 유전형은 모두 V형 바이러스였다. 차오양바이러스는 강원도 내에서 6년간 채집된 금빛숲모기 232,871마리, 5,055개 실험군을 대상으로 검사한 결과 63개 실험군에서 검출되었으며, 춘천지역에서 채집된 빨간집모기 585개 실험군 중 1개 실험군에서 검출되었다. 채집지역별 금빛숲모기의 차오양바이러스 감염률이 가장 높은 지역은 MIR (최소감염률) 0.32, MLE (최대우도법) 0.33 (CI 0.23~0.46) 감염률을 보인 춘천시였다. 그 뒤로 횡성군 MIR 0.30, MLE 0.30 (CI 0.16~0.52)과 강릉시 MIR 0.21, MLE 0.21 (CI 0.13~0.31)순이었다. 월별 금빛숲모기의 차오양바이러스 감염률은 10월에 MIR 0.38, MLE 0.38 (CI 0.07~1.25)로 가장 높은 감염률을 나타내었다.

지역사회 획득 소아 요로 감염에서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 생성 (Incidence and Risk Factors for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Producing$ Escherichia coli in Community-acquired Childhood Urinary Tract Infection)

  • 이정원;신지선;서정완;이미애;이승주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8권2호
    • /
    • pp.214-222
    • /
    • 2004
  • 목적: 소아 요로감염은 적절한 항생제 치료가 중요하며 항생제의 선택에는 E. coli에 대한 항생제 감수성이 기준이 된다.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ESBL)$은 E. coli 등 그람음성균에서 분비되어 광범위 항생제 내성을 초래하는 효소로서 주로 병원 감염에서 발생하여 치료를 어렵게 하는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지역사회 획득 소아 요로감염에서도 ESBL(+) E. coli가 분리되었기에 ESBL(+) E. coli 요로감염의 특성을 후향적으로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1년 3월부터 2003년 2월까지 이대목동병원 소아과에 입원한 지역사회 획득 E. coli 요로감염 소아(288명)를 대상으로 ESBL을 검사하였다. 검사 방법은 미량 액체배지 희석법을 이용한 자동화 기계(Vitek GNS 433 card)에서 ESBL이 의심되는 균주에 한해 National Committee for Clinical Laboratory Standard (NCCLS)의 기준에 따라 ESBL을 확인하였다. ESBL의 결과에 따라 ESBL(+) E. coli 요로감염의 발생률을 조사하였고 임상적 특징, 위험요인, 항생제 내성률 및 치료효과 등을 ESBL(-) E. coli 요로감염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지역사회 획득 소아 요로감염에서 ESBL(+) E. coli의 발생률은 10.8%(31명)이였고 93.5%(29/31)가 6개월 미만의 영아에서 발생하였다(P<0.01). 임상소견은 ESBL 양성군과 음성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ESBL 밭생의 위험인자로 잘 알려진 항생제 사용력, 입원병력 및 요로계 기형과도 무관하였다. ESBL(+) E. coli의 항생제 내성률은 ESBL(-) E. coli 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P<0.05). Ceftriaxone 투여 48시간 후의 멸균률은 ceftriaxone에 대한 높은 내성률에도 불구하고 96.8%(30/31)로 높았다. 그러나 6개월 이내의 재발률이 25.8%(9/31)나 되었고 이는 ESBL 음성군의 재발률 6.6%(17/227)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P<0.05). 결론: 지역사회 획득 소아 요로감염에서 6개월 미만의 어린 영아는 ESBL(+) E. coli 발생의 새로운 위험요인이므로 이에 대한 역학적 연구가 요구된다. 소아 요로감염에서 경험적으로 사용하는 항생제의 선택에 대한 변화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한국 남해안의 풀망둑에 기생하는 요각류 Acanthochondria brevicorpa 감염률의 계절성 (Seasonality of the Infection of Acanthochondria brevicorpa (Copepoda) on a Gobiid fish Acanthogobius hasta off the south coast of Korea)

  • 서해립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4
    • /
    • 1994
  • 완도 해역에서 1990년 4월에서 1991년 3월까지 숙주 어류인 풀망둑을 월별 채집하 여 기생성 요각류 Acanthochondria brevicorpa를 조사하였다. 감염률은 숙주 크기와 양의 상관이었다. 기생성 요각류는 전장이 24 cm 이상되는 어류에서만 채집되었다. 숙 주가 잡히지 않아 1990년 4, 6, 7월의 자료를 얻을 수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A. brevicorpa의 감염률과 감염강도에서 뚜렷한 계절변동이 나타났다. 채집된 어류 83마 리 중 34.9%가 요각류가 전혀 발견되지 않았다. 포란한 요각류는 2월과 5월 사이에 나 타났으며, 5월에 가장 많이 출현하였다. 요각류의 유생 중 CC에서 CIII 유생은 조사기 간에 1마리도 채집되지 않았으며, 3월과 5월에 CIV와 CV 유생이 약간 발견되었을 뿐이 었다. 본 연구결과에서 요각류 A.brevicorpa는 주로 봄에 생식하고, 추가적인 숙주를 포함하는 생활환을 갖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 PDF

여성 HIV에 취약하다 - 사회적 역학적 측면 -

  • 고운영
    • 레드리본
    • /
    • 통권58호
    • /
    • pp.12-13
    • /
    • 2004
  • 여성감염자의 수가 남성과 비슷해지고 있고, 아프리카$\cdot$선진국에서의 여성 에이즈 감염률은 남성에 비해 훨씬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UNAIDS는 올해 주제로 '여성과 에이즈'로 정하고 전 세계적인 관심과 예방을 강조하고 있다. 여성은 왜 남성에 비해 에이즈에 취약한 것인지 사회적 역학적 특성을 살펴보자.

  • PDF

에이즈의 역사(3) (The History of AIDS)

  • 신수린
    • 레드리본
    • /
    • 통권71호
    • /
    • pp.22-25
    • /
    • 2006
  • 이 시기에 오면 에이즈의 치료약도 속속 개발되어 전 세계적으로 감염인으로 살아가게 되는 숫자가 많이 늘어나게 되었다. 편견과 차별은 여전하였지만 점차 그들과 더불어 살아가야함을 알게 되는 시기이기도 하다. 그러나 선진국에서 감염률을 줄여가는 사이 후진국에서는 급격한 증가세를 보이는 등 심각한 불균형 양상을보이기 시작하였다. 이제 세계는 에이즈라는 공동의 적 앞에서 공조와 공존이라는 새로운 해법을 선택하게 되었다.

  • PDF

전라남도 여천군 남면 연도 주민의 장내 기생충 감염상황 (Statue of Intestinal Parasitic Infections in a Remote Island, Yondo, Jeonranarn-do (Province))

  • 구기수;민득영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6권4호
    • /
    • pp.275-284
    • /
    • 1988
  • 1988년 2월 및 5월에 전라남도 여천군 남면 소재 연도 주민 1,011명 (남자 507명, 여자 504명)에 대하여 formalin-ether 침전법으로 장내 기생충 감염상환을 조사하고, 장내 윤충란 양성자 의 경우 감염강도를 E.P.G.로 측정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주민 1,011명중 398명 (39.4%)이 장내 기생충 양성자이었고 윤충 감염이 372명 (36.8%), 원충 감 염이 56명(5.5%)이었다. 검출된 기생충은 모두 10종으로서 편충란 양성자가 278명(27.5%)으로 가 장 많았고 그 다음이 회충 176명(17.4U, 불수정란 양성자 31명 포함), Taenia sp. 59명(5.8%)이었으며, 대장아메바 3.3%, 람블편모충 1.5%, 왜소아메바 0.8%, 왜소조충 0.4%이었고, 구충, 동 양모양선충 및 이질아메바가 각각 0.2%의 양성률을 보였다. 성별 감염률은 여자가 44.0%로 전 연령군에서 남자 34.7%보다 높았다. 연령별로는 40대가 46.0%로 가장 높았고 10세 미만이 33.1%로 가장 낮았다. 회충란 양성자중 149명의 E.P.G.는 평균 1,876(범위 200∼17,800), 편충 E.P.G. 는 검사자 242명에서 평균 327(범위 200∼1,600)이었다. 장내 기생 윤충의 양성자 572명중 단일 감염은 236명 (63.4%), 2종 감염은 129명 (34.7%), 3종 감염은 7명 (1.9%)이었고, 원충시스트 양성자 56명 중 단일 감염은 53명 (94.6%), 2종 감염은 3명 (5.4%)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낙도 주민의 장내 기생충 감염률은 높음을 알 수 있으며 이의 퇴치를 위하여 생환 주변 환경의 개선, 집단 치료, 보건 교육 등 적극적인 관리가 시급히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