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감염관리 직무스트레스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35초

일터 영성이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 치과위생사의 감염관리 지식, 수행과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융복합 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the Effects of Workplace Spirituality on Infection Control Knowledge, Performance, and Job Stress of Dental Hygienists in the COVID-19 Pandemic)

  • 김설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1호
    • /
    • pp.231-238
    • /
    • 2022
  •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일터 영성이 감염관리 지식과 수행,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분석을 위해 융복합 연구를 시행하였다. 자료수집은 2021년 2-3월 동안 치과위생사 14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고 SPSS 21.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분석을 하였다. 일터 영성은 감염관리 수행 팬데믹 상황에서 일터영성은 감염관리 수행력을 높이고 직무 스트레스를 경감시키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감염관리 지식과 수행이 높은 집단은 직무불안정, 조직체계, 스트레스가 낮게 나타났다. 직무 스트레스는 2년 이하 경력자는 관계갈등, 3-5년 경력자는 직무 불안정, 조직체계, 보상 부적절, 직장 문화가 높게 조사되었으며 6년 이상 경력자가 직무 자율성 결여 인식이 가장 높았다. 팬데믹 상황에서 일터영성은 감염관리 수행력을 높이고 직무스트레스를 경감시키는 것으로 조사되어 포스트 코로나를 대비하여 전인적이고 체계적인 조직운영을 위한 의료의 질을 향상안이 요구되었다.

응급실 간호사의 COVID-19 관련 지식, 감염관리수행 및 직무스트레스가 간호업무수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Knowledge related to COVID-19, Performance of Infection Control and Job stress of Nurse in Emergency Department on the Nursing Performance)

  • 권미경;제남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107-119
    • /
    • 2022
  • 본 연구는 COVID-19로 인한 응급실 간호사의 COVID-19 관련 지식, 감염관리수행 및 직무스트레스가 간호업무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응급실 간호사의 신종감염병 대처능력 향상 및 효율적인 간호업무수행을 위해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본 연구는 G도 소재의 지역응급의료기관 및 센터로 지정된 병원 26곳의 응급실 간호사 165명을 대상으로 2021년 8월 10일부터 9월 10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총 150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기술적 통계, t-test, ANOVA, 상관관계,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대상자의 간호업무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위계적 선택법을 이용한 다중회귀로 분석한 결과 감염관리수행이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간호업무수행이 더 높았으며, 설명력은 18.4%이었다. 본 연구결과 감염관리수행, 직무스트레스, 비교대 근무가 간호업무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 나타났다. 응급실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줄이고 효율적인 간호업무수행과 신종감염병 대처 능력 향상을 위한 다양한 방안들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코로나19 확진자 발생으로 코호트격리된 병원간호사의 이직의도 영향요인: 일 대학병원을 중심으로 (Factors affecting the turnover intention of hospital nurses quarantined in cohort due to the outbreak of COVID-19: Focused on a university hospital)

  • 이순열;한숙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561-572
    • /
    • 2022
  • 본 연구는 코로나19 확진자 발생으로 코호트격리된 병원간호사의 이직의도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수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대학병원 간호사 191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3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t-test, Pearson's 상관관계 분석, ANOVA,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중 감염관리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𝛽=.40, p<.001) 사회적 지지 중 상사의 지지가 낮을수록(𝛽=-.21, p=.004) 극복력이 낮을수록(𝛽=-.16, p=.016) 이직의도가 높았다.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25%(Adj. R2=.25, F=16.99, p<.001)로 나타났다. 특히 코로나19 확진자 발생으로 병원 전체가 코호트격리된 병원간호사의 감염관리 직무스트레스는 보통 이상이었다. 감염관리 직무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도록 방안을 찾고, 상사의 지지로 조직과 업무의 부정적인 측면을 줄여서 이직의도를 낮추어야 한다. 그리고, 극복력 향상을 위한 극복력 강화 프로그램으로 이직의도 감소를 모색해야 할 것이다.

코로나19 상황에서 간호사의 간호업무수행 영향요인 (The Influence Factors on Nursing Practice by Clinical Nurses (in the COVID-19 Situation))

  • 박은희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10호
    • /
    • pp.121-129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상황에서 임상간호사의 간호업무수행에 영향을 주는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간호업무수행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서술적 연구로서 G시에서 임상간호사로 근무하고 있는 119명을 대상으로 2022년 6월 15일부터 7월 20일까지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수집 하였다. 분석을 위해 서술적 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감염관리수행(r=.553, p<.001), 회복탄력성(r=.286, p<.001)이 간호업무수행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임상간호사의 간호업무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감염관리수행(B=.529, p<.001)이 18.3% 설명력을 나타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코로나19 유행상황에서 코로나19 감염관리 자체가 간호업무수행에 새로운 업무부담으로 작용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반면 회복탄력성과 직무스트레스가 영향력을 미치지 못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가 매우 높아 임상간호사의 주기적인 상담을 통해 임상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를 낮추어 양질의 간호업무 수행이 가능하게 해야 할 것이다.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 이직의도 조절을 위한 긴급 감염병 상황에서의 회복탄력성 탐구 (Exploring of Resilience in Emergency Infectious Diseases to Moderate Job Stress, Job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of Childcare Teachers)

  • 이재무;조경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509-519
    • /
    • 2021
  •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 이직의도 조절을 위한 긴급 감염병 상황에서의 회복탄력성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얻고자 수행되었다. 분석을 위해 2020년 8월 19일부터 30일까지 설문을 실시하였고, 최종적으로 201명의 응답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직무소진, 이직의도는 낮은 수준, 회복탄력성은 높은 수준으로 확인되었으며, 모두 개인적 특성 유형에 따라 대부분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직무소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정적(+) 영향력을 미쳤으나 이직의도와는 영향관계가 없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또한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의 관계 속에서 회복탄력성 중 정서조절력, 충동통제력, 적극적 도전성이 조절효과를 나타내었다. 코로나19 바이러스 사태라는 긴급 감염병 위기 상황에서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는 나빠진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가장 큰 이유는 원활한 직무수행이 어려워진 것 때문으로 규명되었었다. 반면 회복탄력성과 직무소진은 이전과 변함없음이 확인되었다. 이에 방역 기반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 대응, 직무소진과 회복탄력성의 일상적 관리, 자기초점주의 근간의 상담이나 프로그램 등과 같은 회복탄력성 강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일 감염병 전담병원 간호사의 COVID-19 관련 직무스트레스, 감정노동, 임파워먼트가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Job stress related to COVID-19, Emotional labor and Empowerment on Retention intention of nurses working at a infectious disease-specialized hospital)

  • 김하늘;양승애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35-47
    • /
    • 2022
  • 본 연구는 일 감염병 전담병원 간호사의 COVID-19와 관련된 직무스트레스, 감정노동, 임파워먼트 및 재직의도 정도를 파악하고 COVID-19와 관련된 직무스트레스, 감정노동, 임파워먼트가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S시 소재 감염병 전담병원 간호사 162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2021년 8월 27일부터 2021년 9월 17일까지 실시하였고, SPSS/WIN 25.0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독립표본 t-검정, 분산분석, 피어슨상관계수,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 분석 결과 재직의도는 근무부서 및 근무만족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재직의도와 COVID-19와 관련된 직무스트레스, 감정노동, 임파워먼트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재직의도는COVID-19와 관련된 직무스트레스와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r=-0.215, p=0.006)를 나타냈고 임파워먼트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r=0.343, p<0.001)를 보였다. 다중선형회귀분석 결과 재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로 근무만족도, COVID-19와 관련된 직무스트레스, 임파워먼트가 확인되었으며(F=23.751, p<0.001) 설명력은 30.0%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효율적인 간호인력 관리를 위한 전략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임상간호사의 불안과 감염관리 직무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nxiety and Infection Control Job Stress on Depression in Nurses)

  • 류경선;이미향;임효남;이경화
    • 가정간호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5-14
    • /
    • 2023
  • Purpos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degree of anxiety and depression related to infection control and job stress in clinical nurs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Furthermore, it seeks to identify the effects of depression. Finally, it intends to develop intervention measures to prevent depression in clinical nurses during epidemics of new infectious diseases and prepare basic data for developing educational program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elf-report questionnaire survey administered to 208 nurse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IBM SPSS (Version 26.0) statistics program. Results: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participant depression, anxiety, and infection control job stress found that depression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nxiety (r=.63, p<.001) and infection control work stress (r=.26, p<.001). Anxiety (β=0.60, p<.001) was found to significantly affect participant depression with an explanatory power of 40.2%, confirming that higher anxiety levels induce increased depression. Conclusion: Based on the above results, anxiety is confirmed to be a factor that affects depression. Accordingly, education is required to strengthen individuals' physical and mental capabilities and promote a safe working environment, including providing sufficient personal protective devices and other appropriate gear to defend clinical nurses against outbreaks of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at medical institutions and through healthcare policies. Other considerations should include sufficient rest hours and paying additional benefits for nurses caring for patients with severe confirmed COVID-19.

종합병원 감염관리간호사의 업무실태와 스트레스, 역할갈등 및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Work Condition, Stress, Role Conflict and Job Satisfaction of Infection Control Nurses Working in General Hospitals)

  • 허선;김계하;오향순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27-338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work conditions, reported stress, role conflict and job satisfaction of infection control nurses working in general hospitals. Methods: The subjects were 125 infection control nurses from 102 general hospitals. Data were collected using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questions about general characteristics, job characteristics, work condition, stress, role conflict, and job satisfac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to September 2011 and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in SPSS/WIN 18.0. Results: Over fifty percent (56.0%) of infection control nurses reported the majority of their time was monitoring intensive units. The average reported stress was 7.20, role conflict was 3.67, and job satisfaction was 3.14. The factors which influenced job satisfaction were stress, enough information, annual income, and the number of hospital beds. Conclusion: The factors contributing to job stress of infection control nurses need to be specifically identified. Education and training for infection control personnel should be provided to enhance job satisfaction.

감염관리간호사의 업무만족도 및 자아탄력성과 직무 스트레스와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Job Satisfaction, Resilience and Job Stress among Infection Control Nurses)

  • 차경숙;이홍자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51-260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resilience, job satisfaction, and job stress among nurses working at general hospitals. Methods: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study using a questionnaire. The resilience scale, satisfaction scale and job stress scale were used. The data from 194 infection control nurses, who work for below 3 years at general hospitals, were collected from March 2 to September 30, 2017.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Win program. Results: In this study, job stress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ith resilience (r=-.14, p=.043) and job satisfaction (r=-.50, p<.001).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infection control experience (r=.32, p<.001). Also, the level of job requirement stress and job autonomy stress scored higher than other sub-dimension of job stress. Job satisfaction was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β=-.43, p<.001) in job stress.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ystematic training courses and education programs for new infection control nurses should be developed to decrease nurses' job stress and increase their resilience. Holding this program can help reduce nursing job stress and help to adapt individuals to existing changes.

감염관리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 측정도구 개발 및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Job Stress Measurement Tool for Infection Control Nurses)

  • 허선;김계하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622-635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valuate a tool to measure job stress related to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of infection control nurses. Methods: The tool was developed through the steps of literature reviews, preparatory questions, and a test of validity and confidence. The participants were 212 infection control nurses from 145 Korean hospitals.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ronbach's ${\alpha}$ coefficients, item analysis, factor analysis. Results: Through factor analysis, 38 items in four domains and nine factors were derived. The Cronbach's ${\alpha}$ coefficient of the final instrument was .95.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measurement tool is reliable and valid to measure the job stress of infection control nur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