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감성형용사

Search Result 149,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Fiber Fashion Design Recommender Agent System using the Prediction of User-Preference and Textile based Collaborative Filtering Technique (사용자 선호도 예측과 Textile 기반의 협력적 필터링 기술을 이용한 섬유패션 디자인 추천 에이전트)

  • 정경용;김진현;나영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2.11a
    • /
    • pp.224-228
    • /
    • 2002
  • 제품의 품질 및 가격 뿐만 아니라 물질적 풍요로움과 더불어 다변화 되어가는 생활 환경 속에서 소비자의 감성과 선호도를 파악하는 것은 제품 판매 전략의 중요한 성공요소가 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제품의 기능적 측면 뿐만 아니라 개개인의 정서적 감정과 선호도가 반영된 제품의 설계나 디자인 또한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재 개발의 프로세스가 고객 중심으로 변화하는 것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감성과 선호도를 중심으로 소재를 개발하는 방법의 하나로 협력적 필터링 개인화 기법을 응용하여 섬유 패션 디자인 추천 시스템을 제안한다. Textile 기반의 협력적 필터링 시스템에서 예측에 사용될 이웃의 수를 결정하기 위해서 Representative Attribute-Neighborhood를 사용한다. 이웃들간의 사용자 유사도 가중치는 피어슨 상관 계수(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를 사용한다. 소재에 대한 사용자의 감성이나 선호도에 대한 Textile의 대표 감성 형용사를 추출함으로써 소재 개발을 위한 감성 형용사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한다. 구축된 감성 형용사 데이터 베이스를 기반으로 성향이 비슷한 사용자에게 Textile을 추천한다. 사용자 선호도 예측과 Textile 기반의 협력적 필터링 기술을 이용한 섬유 패션 디자인 추천 에이전트를 구축하여 시스템의 논리적 타당성과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실험적인 적용을 시도하고자 한다.

  • PDF

Abstraction Method of Sensibility Factors for Streetscape Design (도로경관 설계를 위한 감성요인 추출 방법에 관한 연구)

  • Lee, Byung-Joo;Kim, Myung-Soo;Jo, Kyung-Do;NamGung, Moon
    •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 /
    • v.12 no.2
    • /
    • pp.51-61
    • /
    • 2010
  • According as the quality of life is improved along with economic growth, in the road plan and design sector also, it is now progressed that function oriented design is changed into the landscape oriented design that considers eyesight and emotion, which are psychological properties of users. Accordingly this study tries to come up with reasonable and objective methods to extract various emotional adjectives, which were found by the survey, while minimizing difference among characteristics of emotion and cognition of individuals. First, given semantic differential, based on various emotional adjectives that were found through the survey with the scale up to five points, the author extracted representative emotional adjectives through an element analysis, which is a conventional method of the previous research, and through an identification analysis which is suggested by this study, and then established model I of Quantification. And by using the established quantification model, the author presumed satisfaction degree, and through verifying pair wise comparison with actual satisfaction degree, the author found the results from identification and correlation analysis methods are most similar to actual satisfaction degree. As a result, the author could check the above emotional and correlation analyses were appropriate methods for comprehending which emotional elements are applicable when a continuous road landscape is designed by identification and correlation analyses.

A strategy for simplifying the process of sensibility measurement using a category-based dimensional model (범주-차원의 혼합을 통한 감성 조사의 단순화 전략 -직물 패턴의 감성 조사를 중심으로-)

  • 박수진;장준익;홍찬섭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8.04a
    • /
    • pp.230-236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형용사로 감성 반응을 평가하는 일반적인 감성공학 연구에서 감성공학 연구에서 감성 공간을 보다 쉽게 도식화하고 평가 방법을 단순화시키는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기존의 감성공학연구에서는 수집된 감성 어휘를 순차적으로 정리해 줄이는 방법을 취한 다음 최종 어휘 목록을 이용하여 평가 대상이 다소 복잡하여 표본의 수가 많은 경우 어휘 목록을 인위적으로 줄이지 않으면 신뢰로운 반응을 기대하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보다 단순한 방법으로 감성 반응을 포괄적으로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감성 형용사를 설명하는데 필요한 최소 차원을 설정하고 차원 평정치에 따라 필요한 어휘군의 목록만 사용하여 어휘를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The Development of Kamsung Evaluation Index of Life Environmental Noise (생활 공간음 환경의 감성 평가 지표 개발)

  • 손진훈;권윤주;민윤기;최상섭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9.11a
    • /
    • pp.121-126
    • /
    • 1999
  • 본 연구는 생활 소음이 유발하는 유해성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감성 척도를 개발하고, 그 척도를 이용하여 생활 소음과 소음에 대한 감성간 관계를 반영하는 감성 지수를 도출하고자 수행되었다. 먼저 소음에 대한 주관적 느낌을 잘 기술해주는 27 개의 형용사를 선정한 뒤, 세 가지의 실제 주거 소음을 들려주며 소음에 대한 감성을 27 개의 형용사에 대해 평가하게 하였다. 이 결과에 대한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지배성', '쾌/불쾌', '각성' 차원의 세 개 차원으로 구성되는 14 개의 최종적 소음 감성 척도를 개발하였다. 다음으로 실제 주거 생활에서 소음과 감성간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실제로 4 가지의 주거 소음을 들으면서 인지적 과제를 수행하게 하여 소음에 대한 느낌을 소음 감성 척도상에 평가하게 하는 실험을 실시하였다. 이 결과 소음의 크기가 증가할수록 소음에 대한 감성이 부정적으로 나타나는 직선적 관계가 얻어졌고. 이를 기초로 일차 방정식 형태의 소음-감성 지수를 도출하였다.

  • PDF

화상통신 품질의 감성공학적 평가

  • 나종관;박문규;박민용;박희석;윤재욱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6.10a
    • /
    • pp.78-82
    • /
    • 1996
  • 본 연구는 화상통신 시스템의 통신품질을 평가하는 데있어 감성공학적 평가방법을 체계화하고, 감성 simulator를 구축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사회가 다원화되고 확대됨에 따라 멀티미디어 통신 시스템 의 설계 시 고려되어야 할 과제는 사용자에게 제공해야 하는 통화품질을 명확히 하고, 이것을 실현하 기 위해각종 통신설비의 품질을 구현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멀티미디어 통신의 총아라고 할 수 있는 화상통신 시스템에 감성공학적 기법을 적용하여, 사용자가 만족할 수 있는 통신서비스 품질 설정을 위 한 체계적 방법론 및 표준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기초 연구이다. 설문지와 사전 등을 통하여 화상 통 신을 사용할 때 사용자가 느끼는 감성을 형용사의 형태로 정리하였다. 또, 유사한 화상통신 시스템의 사용 경험이 있는 사람들로부터 불만 사항을 조사하고, 연구진에 의하여 추출된 형용사에 대한 가중치 를 부여 하도록 한다. 이렇게 얻어진 불만 및 감성 항목은 화상통신 시스템의 설계요인으로 분해되어, 추후 수행될 감성실험의 실험 조건으로 결정되었다. 현재 감성실험을 수행할 수 있는 감성 simulator가 구현되었으며 추후 실험이 수행될 계획이다. 그 실험 결과는 감성과 설계요인들과의 관계를 밝히며, 고객이 느끼는 주관적 화상통신 품질을 평가하는데필요한 지침이 마련된다.

  • PDF

Relationshios Between Preference of Innerware Fabrics and Their Mechanical Properties (내의 직물의 역학적 특성과 질감 감성과의 관계)

  • 손진훈;박현영;이임갑;최상섭;강대임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 no.2
    • /
    • pp.35-42
    • /
    • 1998
  • 소비자의 감성적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직물 및 의류의 설계 및 생산을 위해서는 직물의 접촉시에 유발되는 감성반응의 객관적이고 정량화된 평가 체계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질감을 표현하는 형용사들을 추출하여 최종적으로 18개의 감각 및 감성을 구분한 Likert Scale을 개발하였으며 이 척도의 신뢰도(reliability)는 매우 높았다. 이들 18개의 형용사는 요인분석 결과 5개의 주된 요인으로 묶였으며 구성타당도가 높은 척도이다. 19종의 내의 표본에 대한 세 차례의 측정을 통해 내의 직물의 선호도(감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된 감각적 감성요인을 추출하였다. 특히 "매끄러움", "부드러움". "섹시함". "편안함". "폭신함". 등의 감성요인이 선호직물과 비선호 직물을 매우 잘 구분해 주는 소비자의 대표적 감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가장 중요한 결과로, Kawabata Evaluation System을 이용하여 시료 내의 직물의 16개 역학적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이들 특성이 감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회귀 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시료직물 중 선호되는 내의류들은 폴리에스테르(속칭, 물실크)종류이었으며, 가장 비선호 되는 것들은 망사나 모시메리로 나타났다. 내의류 js호도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주된 심리적 특성인 "매끄러움". "부드러움". "섹시함". "편안함" 그리고 "푹신함" 등을 결정짓는 방정식을 만들었다.

  • PDF

Research on Words Representing Human Visual Sensibility for Residential Environment (주거환경의 시각 감성어휘 선발)

  • 윤정선;이강희;신미경;구아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9.11a
    • /
    • pp.134-138
    • /
    • 1999
  • 본 연구는 주거환경에 대한 시각 감성을 대표하는 형용사를 선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주거환경에 대한 감성을 대표하는 형용사를 선발하는 것은 감성의 잣대를 만드는 일이기 때문에 감성어휘를 정확하게 선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어휘수집의 첫 단계에서는 주거환경 중 시각 환경에 대한 감성을 표현하는 어휘 235개를 수집하였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수집된 어휘를 다른 피험자들에게 제시하여 주거 환경의 분위기를 나타내는 어휘로서 적절함의 정도를 7점 척도로 표시하도록 하여 24개의 어휘를 골라내었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이들 어휘를 무선적으로 두 개씩 짝을 지어 두 단어가 유사한 정도를 7점 척도로 평가하도록 하고 이에 대해 요인분석, 군집분석, 다차원분석(MDS)을 실시하여 주거환경에 대한 10개의 감성 어휘를 추출하였다. 마지막 단계에서는 연구자들이 400여장의 실물 사진 열람을 통해 추출된 감성 어휘를 검증하여 수정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Emotion Assessment Scale in Evaluation of Television Picture Quality (TV 화질에 대한 감성평가척도 개발)

  • Jang, Eun-Hye;Choi, Sang-Sup;Lee, Kyung-Hwa;Sohn, Jin-Hun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2 no.1
    • /
    • pp.121-128
    • /
    • 2009
  • The article reports findings on: (1) development of emotion assessment scale in evaluating the Television(TV) picture quality; and (2) how psychological and physical factors relate to TV picture quality. A total of 152 adjectives that specifically describe emotional reactions were first selected from a Korean dictionary of adjectives, followed by ratings on their suitability for the evaluation of TV picture quality. The final selection of 19 adjective, based on the reported rating scores greater than 4.1, were used on 126 college students who were asked to perform similarity ratings on the adjectives. Based on factor analyses (i.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ith oblique rotation) on the similarity of scores, the following adjectives were selectively chosen for the development of the new emotion assessment scale: 'neat-messy', 'refreshing-gloomy', 'clean-dirty', 'comfortable-tense', 'smooth-rough', 'bright-dark', 'gorgeous-plain', 'diverse-monotonous', 'satisfying', 'natural', and 'sensuous'. These adjectives composed into two distinct constructs, 'cleanness or smart' factor and 'gorgeousness' factor, which demonstrated sensitivity to changes in brightness, contrast, color, and tint in the TV picture quality, except for changes in sharpness.

  • PDF

Development of an Emotion Scale and Analysis of the Structure of Emotion Induced by Odors (향 감성평가 척도개발 및 향 감성구조 분석)

  • 손진훈;박미경;이배환;민병찬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5 no.1
    • /
    • pp.61-70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Emotion Rating Scale induced by Odors'and to identify the structure of odor emotion induced by odors. At first 37 adjectives that describe odor to develop a rating scale were selected. Subjects were to rate odor emotion on a 7-point bipolar scale. 304 subjects participated and were as a group instructed to rate odor emotion. 53 out of 304 subjects were retested to test for reliability of the scale two weeks after under the same condition and finally 25 adjectives were then selected based on high test-retest reliability and factor loading, high contributing to one factor. 24 subjects each in 10s, 20s, 30s & 40s were to rate odor emotion induced by 5 different odors on the scale developed. The structure of odor emotion consisted of 'Esthetics', 'Intensity', 'Romance', 'Nature'and 'Character'. The structure of odor emotion by age appeared quite similar but that by different odors was little bit different.

  • PDF

A Study on Adjectives for Sensory Evaluation of Taste in Korean Language (한국어 맛 평가 형용사에 관한 연구)

  • Lee, Joonwhoan;Jeong, Sunghwan;Rho, Jeong-Ok;Park, Keunho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6 no.4
    • /
    • pp.493-502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adjective scales, which will be used in the qualitative sensory evaluation of taste, by collecting and analyzing adjectives of expressing taste of Korean language. For the purpose, we rated the mutual similarities among selected 92 adjectives which include the sense of taste, texture, smell and temperature from foods, and then carried out factor analysis and clustering analysis by using correlation based on the similarities. According to the factor analysis there are more than 10 important factors involved in the linguistic representation of taste including food temperature, texture and smell as well as taste. Also, from the cluster analysis, we found that the adjectives can be clustered with groups of the adjectives representing general taste, negative taste, texture and temperature of food. In addition we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djectives to represent the generic preference of taste and the adjectives to express individual factors of the preferences that are resulted from cluster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could show that we need to restrict the type of foods to find out the meaningful limited number of sensory adjective scales for taste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