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감성형용사

Search Result 149,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Measuring meaning of korean adjectives and colors (감성 측정을 위한 우리말 형용사의 의미구조)

  • 박미자;신수길;한광희;황상민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 no.2
    • /
    • pp.1-11
    • /
    • 1998
  • 최근 감성연구의 한 측정 방법으로 의미변별 기법을 이용해 형용사를 제시하는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의미변별 기법을 사용하는 감성 연구의 기초적인 연구로서 우리말 형용사의 전체적인 의미구조를 분석해 보았다. 우리말 형용사의 의미구조는 기존의 다른 언어권에서 얻은 연구결과와 거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형용사의 의미구조는 다섯 요인으로 나타났으나, 기존 연구들과 마찬가지로 세 요인이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다. 한편, 이러한 의미구조가 색채라는 특정 자극과 관련해서 나타나는 의미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NCS단색과 형용사 쌍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색채 이미지와 관련된 형용사의 의미구조도 세부적인 차이는 있으나, 첫 연구에서 발견된 결과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 감성의 표현수단으로서 어휘를 고려할 때, 이 결과는 사용하는 어휘가 다를지라도 기저에 있는 의미구조는 문화에 상관없이 보편적이라는 것을 제시한다. 다시 말해 어휘로 표현되는 감성의 기본구조가 공통적일 수 있음을 제시한다.

  • PDF

A Study on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Color Sensibility (색채 감성의 위계 구조에 대한 탐구)

  • Park, Chang-Ho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19 no.1
    • /
    • pp.41-56
    • /
    • 2008
  • Previous studies, while investigating factors of sensibility, had rarely considered its internal structure. This study hypothesized that sensibility had sensational aspects and emotional aspects and the former corresponded to objective adjectives, describing attributes of objects, and the latter to subjective adjectives, describing psychology of experiencers. Forty-three objective adjectives and 21 subjective adjectives describing color sensibility were selected both by a linguistic criterion and an empirical evaluation. Factor analysis on semantic differential responses to these two groups of adjectives resulted in 5 sensational factors and 3 emotional factors of color sensibility respectively. Hierarchical structure was derived by regressing emotional factor scores on sensational factor scores. In consequence, emotional aspects were interpreted by different combinations of sensational factors. Limitations and significance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PDF

Extract korean sensitivity adjective from image and Design for sensitivity contents framework (영상의 한국적 감성 형용사 추출 및 감성 컨텐츠 프레임 워크 설계)

  • Baek, Seong-Eun;Shin, Seong-Yoon;Rhee, Wang-Yon
    • KSCI Review
    • /
    • v.15 no.1
    • /
    • pp.191-195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영상으로부터 한국적 감성 데이터를 추출하고 감성 컨텐츠 프레임워크(ISC) 구축을 통해 영상데이터를 다양한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함께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먼저 영상으로부터 객체를 분리해내고 각각의 특징벡터 모델을 구축한다. 특징벡터모델은 요소인자로써 벡터공간의 데이터로 입력되고, 정규화 된 한국어 형용사 데이터와의 근접도를 비교하여 대표 감성을 표현하게 된다. 또한 감성 컨텐츠 데이터의 3층 구조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분류하고 대표 감성형용사와의 인자사상을 통하여 다양한 영상-감성 컨텐츠를 제공하는 프레임워크를 설계한다. 이것은 다양한 영상의 추상데이터에 대응한 감성표현을 추출하여 영상에 내포되어 있는 정확한 의미를 관찰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 PDF

A Comparison of Two Research Methods on Human Sensibility Using Adjectives (형용사를 이용한 주관적 감성 연구의 두 방법 비교)

  • 신미경;민병찬;정순철;박미경;민병운;남경돈;김수진;김준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0.11a
    • /
    • pp.7-12
    • /
    • 2000
  • 본 연구는 형용사를 이용한 향의 이미지 구조 연구에서 자극을 사용한 경우와 향을 제시하지 알은 두 경우를 비교하였다. 자극을 제시한 실험에서는 피험자에게 5가지의 향 자극을 주고 각 향에 대한 이미지를 25개의 형용사에 대하여 7점 척도로 표시하도록 하였다. 자극을 제시하지 않은 실험은 쌍 비교법을 사용하여 형용사를 두개 씩 쌍을 지워 제시하고 두 형용사가 유사한 정도를 7점 척도로 나타내게 하였다. 두 자료를 다차원 척도 (MDS), 군집분석,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여 비교하였다. 결론적으로 향의 이미지 구조는 자극 제시여부에 따라 구조적이며 근본적인 차이가 없음이 밝혀졌다. 그러나 자료 분포의 밀집정도에 따른 지엽적인 차이는 있었으며 이러한 차이는 두 경우에 적용되는 기억이, 단기기억과 장기기억으로, 다르다는 점에서 기인되는 것이 라고 판단되었다.

  • PDF

Preference Sensibility and Hand of Silk Fabrics according to Lifestyle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견직물의 선호감성과 태평가)

  • 김춘정;조길수;나영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0.11a
    • /
    • pp.140-144
    • /
    • 2000
  • 본 연구는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견직물에 대한 감각·감성의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고, 라이프스타일별 촉감선호도와 구매선호도 차이를 규명함으로써 견직물의 소재 디자인시 감성관련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감각형용사는 ‘거칠다, 우글쭈글하다, 촘촘하다’등에서 보수파가 캐주얼파보다 높은 평가하였으며, 감성형용사는 ‘개성적이다, 독특하다’등에서는 보수파가 캐주얼파보다 높게 평가하였으며 ‘클래식하다’는 보수파가 캐주얼파보다 높게 평가하였다. 또한, ‘캐주얼하다, 액티브하다, 신선하다’는 보수파가 캐주얼파보다 높게 평가하였다. 세 clluster별로 촉감선호도와 구매선호도를 분석한 결과 cluster 2를 가장 ‘촉감이 좋다, 구매시 선호한다’라고 하였다. 촉감선호도는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구매선호도에서는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 PDF

A Study on Mobile Phone GUI Designs as the analysis on Trends and User's Sensibility for Female Users in 20s (20대 여성 사용자 감성 및 트렌드 분석을 통한 휴대폰 GUI연구)

  • Chang, Dong-Hoon;Hong, Tai-Wha;Hong, Joo-Hee;Choi, Soo-Ji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b
    • /
    • pp.499-504
    • /
    • 2006
  • 본 연구는 사회 트렌드 변화에 따른 적응 속도가 빠르고 소비 또한 타 계층에 비해서 매우 높은 지수로 구성된 20대 여성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이들의 다양한 감성 니즈를 파악하고 현 시점에서의 트렌드 분석을 통해 그들의 요구와 취향이 적절하게 반영된 휴대폰 GUI디자인을 대기화면을 중심으로 제시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사용자 감성 니즈 분석을 위해 FGI 기법을 사용하였고, 트렌드 분석을 위해서는 Town Watching과 잡지 및 웹사이트 분석을 통하여 감성형용사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형용사간의 상관치와 의미에 따라 상대축을 설정하여 공간을 설정하고 공간 위에 각 형용사와 이미지를 배열하여 감성형용사 공간을 설정하였다. 이러한 감성평가 결과에 FGI를 통해 구분한 사용자의 감성 니즈 분류를 기초로 하여 3가지의 감성테마로 분류를 하였다. 분류 기준은 사용자들이 원하는 휴대폰 이미지와 트랜드 분석을 하여 얻은 형용사를 비교하여 그룹핑하였다. 분류된 그룹에 해당하는 테마명을 지정해주었고 그에 맞는 휴대폰 GUI 디자인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시장세분화 경향에 따라 특정 사용자 층에 대한 연구가 중요한 시점에서 20대 여성이라는 특정 사용자층에 대한 조사를 바탕으로 디자인을 이끌어내었다는데 의의가 있다.

  • PDF

형용사의 의미측정과 색채 이미지 연구

  • 박미자;강현정;신수길;한광희;황상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8.11a
    • /
    • pp.178-182
    • /
    • 1998
  • 본 연구는 의미변별법을 사용하여 우리말 형용사의 의미구조를 파악하였다. 우리말. 형용사의 대표적인 반대어 40쌍이 선정되었으며, 요인분석 결과 5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다. 의미변별법을 색 이미지에 적용시진 결과도 비슷한 요인들을 추출 했으나, 전체 변량을 설명하는 양에 있어서 차이를 나타냈다. 본 연구 결과는 형용사를 사용하는 감성연구의 기반기술을 제공할 것이라 예측된다.

  • PDF

Analysis of Emotional Characteristics on Life Environmental Noise I: Structural Analysis of Noise Adjectives (생활공간음의 감성 특성 분석 : 소음 형용사에 대한 차원분석)

  • 민윤기;손진훈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2 no.1
    • /
    • pp.69-75
    • /
    • 1999
  • 본 연구는 우리말 형용사를 이용하여 각종 생활공간음에 대해 느끼는 사람들이 감성적 반응의 차원을 밝히기 위한 기초 연구로 수행되었다. 형용사 사전에서 추출된 어휘들에 대한 적합성 및 유사성 평가를 통해 14개의 형용사가 최종적으로 선정되었고, 이 형용사들의 유사성 점수에 대해 요인분석, 다차원 척도 분석 및 군집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생활공간음에 대한 사람들의 감성적 반응은 크게 3가지 차원, 즉 쾌-불쾌, 민감-둔감 및 지각된 크기가 추출되었고, 소음에 대해 느끼는 감성은 이들 차원 상에서 측정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차원들은 서로 직선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즉, 소음에 대해 민감한 사람은 그 소음에 대해 불쾌하거나 짜증을 일으키기 쉽지만 소음에 대해 불쾌하거나 짜즈을 일으킨 사람이 소음에 대해 민감한 사람이라고 볼 수는 없을 것이다. 따라서 이들 차원간에 구체적인 통로분석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이며 이는 후속연구에서 밝혀질 것이다. 또한 실제 소음을 제시하여 각각의 소음을 평가하는 경험적 연구도 수행될 것이다.

  • PDF

A Study on the Adjectives for Selection of Color Patterns (컬러 패턴 선택을 위한 형용사에 관한 연구)

  • Kim Sung-Hwan;Eum Kyoung-Bae;Chung Sung-Suk;Lee Joon-Whoan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8 no.4
    • /
    • pp.355-363
    • /
    • 2005
  • The adjectives for represnting emotions is important to evaluate and select the colors or color patterns. In this paper, we perform the MDS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to the Soen's experimental data obtained from the evaluation of random color patterns with 13 adjective pairs. As a result, those adjectives can be reduced 3 different factors representing emotions of weight, activity and temperature, which is approximately corresponds the results of previous researches on single colors. Also, we show that the adjectives for preference can be approximate4 by other primary adjectives for color patterns using regression analysis. This implies that one can construct a uniform emotion space for evaluating and selecting color patterns regardless of objects such as wall papers, carpets, and so on.

  • PDF

A Study on Creation of Kansei-Vocabulary Relation associated with color in WordNet (WordNet상에서 컬러기반 감성어 관계 생성에 관한 연구)

  • 백선경;조미영;김판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b
    • /
    • pp.568-570
    • /
    • 2004
  • 기존의 컬러 기반 감성시소러스 구축에서는 감성 어휘 관계 생성을 위해 IRI에서 개발한 단색이미지 스케일을 사용하여 컬러를 표현하였다. 그리고 컬러에 따라 연상되는 형용사를 단색 이미지 스케일에 배치하여 형용사 이미지 스케일의 공간관계를 생성하였다 즉, 컬러를 보고 연상되는 이미지를 형용사로 표현하고 색의 고유한 관계를 공간상에 배치하여 컬러 값에 따른 형용사를 매핑하였다. 이는 단순히 컬러의 관계만을 이용한 설정으로 의미적 감성어 표현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HP사의 'The Meaning of Color'표를 이용하여 컬러에 따른 감성 이미지를 정의하고, 정의된 어휘간의 의미적 표현을 위해 유의어, 동의어 관계 등을 포함한 WordNet 구조를 기반으로 새로운 감성어 관계 생성 방안을 제안한다. 방안을 제안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