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감성적 경험

Search Result 123,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A Study on The Emotional Travel Planning App Using Data Mining (데이터 마이닝을 활용한 감성적 여행 계획 앱 연구)

  • Hyun-woo Seo;Am-Suk Oh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7a
    • /
    • pp.549-550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데이터 마이닝을 활용한 감성적 여행계획 제공 앱으로 각 개인에게 알맞은 맞춤형 여행계획 추천 어플을 연구하고자 한다. 여행 계획에서 여행자들이 더 좋은 경험을 하도록 돕고 앱을 통하여 여행을 최대로 즐길 수 있으며 앱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들을 바탕으로 숙소, 관광명소, 음식점 등의 자료제공으로 최상, 최적의 숙소 체험, 훌륭한 음식점 예약, 주변의 좋은 여행지를 검색 가능하게 하고자 한다. 아울러, 어떤 여행을 계획하든 제공하는 앱으로 간편하게 감성적으로 여행을 계획하고 그 체험과 정보들을 다른 사람들에게도 여행 가이드로 추천, 공유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Satisfaction of Visual Elements of Package Design for Carbonated Beverage Based on Emotional Experience Theory (감성경험 이론에 기반한 탄산음료 패키지 디자인 시각요소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 Zhang, Shang-Shang;Jang, Chung-Gun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3 no.4
    • /
    • pp.271-278
    • /
    • 2022
  • Carbonated drinks are a kind of drink that is popular in our daily lives and are sold mainly among young people. There are many brands of carbonated drinks currently on sale, and most of them emphasize the distinction of texture, and brand images and packages have further commercialized package design as a whol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emotional experience of soda package design, which can increase the added value of the brand. Sensibility is the most common psychological experience in humans and is the subjective experience and feeling of things. By combining the emotional experience with the package design of carbonated drinks, it provides more emotional user experience while purchasing carbonated drinks, realizing diversification of product package designs and satisfying consumers' emotional needs. This paper first examines the package design of carbonated drinks, I hope it will be an implication if you increase the emotional experience of soda package design.

Research on the Emotional Expression of Synesthesia through STEAM Education Program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을 통해 배우는 공감각의 감성적 표현 연구)

  • Lee, Jin;Lee, Seungyon-Seny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3 no.9
    • /
    • pp.448-454
    • /
    • 2013
  • This paper proposes a methodology of expanding the mind in multi-disciplinary ways through STEAM education program based on science and art. The paper aims at analyzing both the analog- an digital-based emotional expressions experienced by students. Students use digital visualization technology using linguistic tool as well as sense of vision, hearing and touching. This is a STEAM education program designed for high school students and called "Kandinsky, Drawing the Sound". Kandinsky was a prominent proponent of synesthesia and through his artwork, students can learn how to express and develop synesthetic senses. Through this STEAM program, students are empowered to express diverse emotions reconstructed through plays, stories and synesthesia.

A Critical Review of Some Experiential Approaches in Marketing and Their Applicability (마케팅의 경험적 접근방법 및 그 활용방안에 관한 비판적 고찰)

  • 이진용
    • Asia Marketing Journal
    • /
    • v.5 no.2
    • /
    • pp.19-48
    • /
    • 2003
  • 본 연구는 마케팅의 네 가지 경험적 접근방법, 즉 정보탐색적 접근, 브랜드 컨셉으로서의 경험, 즐거움의 경험, 총체적 경험 등의 내용을 살펴보고 이들의 기여와 문제점 및 한계를 살펴보았다. 또한, 감성적 경험과 소비 시점의 경험에 관해서도 논의하였다. 경험적 접근방법은 새로운 마케팅 수단으로 충분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으며 인지적 접근, 브랜드의 기능적 혜택을 강조하는 기존 마케팅 방식과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 하지만, 경험적 접근방법 앞으로 해결해야 할 많은 과제가 남아 있으며, 일부 실무적인 서적들이 주장한 바 와 같이 인지적, 기능적 마케팅 방식을 대체하는 것은 아니라고 할 수 있다. 기존 전통적인 마케팅 방식에 대하여 보완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제한적인 조건에서만 적합한 방식으로 평가할 수 있다.

  • PDF

A Study on User Experience Guidelines for Mobile Phone (모바일 폰의 사용자 경험 설계 가이드라인에 대한 연구)

  • Chang, Han-Kyu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8.05a
    • /
    • pp.966-967
    • /
    • 2008
  • 사용자가 제품, 시스템, 서비스 등을 사용하면서 느끼게 되는 총체적 경험을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 이라고 한다. 사용자들은 모바일 폰을 사용하면서 느끼게 되는 다양한 경험에 기반하여 모바일 폰에 대한 이성적, 감성적 판단을 내리게 된다. 최근 많은 기업들이 자사 제품의 차별화를 위해 고유의 사용자 경험을 창출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애플 노키아 등 사용자 경험에 기반한 제품 개발의 성공 사례를 검토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 경험을 구성하는 핵심 요소를 추출 한 후 모바일 폰에서 성공적인 사용자 경험을 설계하기 위해 필요한 핵심 가이드라인을 도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보다 효과적인 사용자 경험 설계를 위한 방법론 개발에 기초가 되는 가이드 라인을 제공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A Study on the Impact of Smart Tourism Application Service and Design Concept on the Intention to Continue Using (스마트 관광 애플리케이션 서비스의 효과와 지속 사용 의도를 위한 디자인 컨셉에 대한 연구)

  • Wang, Tuo;Dong, Hao;Zhang, Xindan;Bae, Ki-Hy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2 no.10
    • /
    • pp.279-290
    • /
    • 2022
  • The popularization of mobile Internet applications has accelerated the development of smart tourism industry. Based on TAM and VAM theories, this paper studies the influencing factors of tourism App users' willingness to continue using through complex network and data analysis methods. Through the research, it is found that the improvement of service level and design concept of smart tourism application can accelerate the aggregation of complex networks and improve user engagement. At the same time, reasonable price service experience value, convenience service experience value, interactive service experience value, emotional design perception, ease of use design perception, entertainment design perception and other factors can have a direct impact on users' intention to continue to use, and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 The smart tourism App's convenience and price advantage are the root of its competitiveness. The design concept can affect users' emotional experience and perceptual experience, and help smart tourism App improve users' satisfaction.

Impact of travel experience on employee's happiness and motivations to work (여행경험이 직장인의 근로의욕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Pyo, Hyun-Woo;Kim, Moon-Seup;Kim, Jin-Sook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6 no.2
    • /
    • pp.9-14
    • /
    • 2020
  • This paper aims to figure out the impact of employee's travel experience on their happiness and motivations to work. To this end, targeting 405 employees in Daegu, Gyeongsangnamdo, and Gyeongsangbukdo, SPSS Statistics 18.0 program was applied to analyze. Frist, in travel experience depending on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der, educational background, and occupation bu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 marital status, and average income. Second, there was difference in travel experience depending on frequency of domestic travel but no difference in terms of the period of stay. On the other hands, travel experience depending on frequency of overseas travel showd significant difference in sub-factor, human network experience.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overseas travel depending on period of stay. Third, travel experience showed positive relation in employee's motivation to work and happiness. Fourth, as a result of reviewing impact of travel experience on employee's motivations to work and happiness, sub-factors like emotional, behavioral, relational experiences affected motivations to work significantly. Emotional experience and cognitive experience didn't affect significant impact. And sub-factors of travel experience like emotional, cognitive, and behavioral experiences affected happiness significantly. Emotional and relational experience were not significant. From the research above, it turned out that travel experience gives happiness to employees and provokes positive thinking and their motivations to work.

Effects of Hotel Using Experience on Customers' Purchase and Behavior Intention (호텔이용 경험이 구매의사와 고객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Han, Jin-You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6 no.5
    • /
    • pp.105-113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s of the hotel using experience on customers' purchase and behavior intention. For this study, a total of 306 questionnaires among collected data for customers who hotel using experience at five star hotels located in Seoul from April 1, 2015 to April 30, 2015 was to ensure a valid sample.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s which conducted by factor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it shows 1% level positive significant effects in purchase and continual purchase intention of "emotional experiencer", "physical experience factor", "continuous experience factor", and "superior experience factor", but it is 10% level significant effects in continual purchase intention positively effected continual purchase intention of "physical experience factor". Also, it shows 1% level positive significant effects on hotel customers' intention of reused, intention of suggestion, intention of recommendation of "emotional experiencer", "physical experience factor", "continuous experience factor", and "superior experience factor". From the study, it is expected to build hotel-customer relationship and brand level of awareness for activating customers' loyalty.

Analysis of Emotional Characteristics on Life Environmental Noise I: Structural Analysis of Noise Adjectives (생활공간음의 감성 특성 분석 : 소음 형용사에 대한 차원분석)

  • 민윤기;손진훈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2 no.1
    • /
    • pp.69-75
    • /
    • 1999
  • 본 연구는 우리말 형용사를 이용하여 각종 생활공간음에 대해 느끼는 사람들이 감성적 반응의 차원을 밝히기 위한 기초 연구로 수행되었다. 형용사 사전에서 추출된 어휘들에 대한 적합성 및 유사성 평가를 통해 14개의 형용사가 최종적으로 선정되었고, 이 형용사들의 유사성 점수에 대해 요인분석, 다차원 척도 분석 및 군집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생활공간음에 대한 사람들의 감성적 반응은 크게 3가지 차원, 즉 쾌-불쾌, 민감-둔감 및 지각된 크기가 추출되었고, 소음에 대해 느끼는 감성은 이들 차원 상에서 측정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차원들은 서로 직선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즉, 소음에 대해 민감한 사람은 그 소음에 대해 불쾌하거나 짜증을 일으키기 쉽지만 소음에 대해 불쾌하거나 짜즈을 일으킨 사람이 소음에 대해 민감한 사람이라고 볼 수는 없을 것이다. 따라서 이들 차원간에 구체적인 통로분석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이며 이는 후속연구에서 밝혀질 것이다. 또한 실제 소음을 제시하여 각각의 소음을 평가하는 경험적 연구도 수행될 것이다.

  • PDF

Empathic MultiMedia and Sensible Interface (감성적 멀티미디어와 감성 인터페이스)

  • 이구형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8.04a
    • /
    • pp.183-188
    • /
    • 1998
  • 미래를 예측하는 가장 정확한 방법은 미래를 창조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멀지않은 미래를 창조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멀지않은 미래에 우리 앞에 놓일 기술과 제품에 대한 예측과 창조를 위하여 연구된 결과이다. 인간의 생활을 풍요롭게 할 수 있는 기술롸 제품을 인간 중심으로, 인간에게 만족스럽게 개발하기 위해서 인간의 생활 특성과 함께 기계화 인간 사이의 관계를 새롭게 정리하였다. 또 인간의 COMMUNICATION생활에서 그 비중을 급속히 증가시켜 가고 있는 Haman-Machine(Computer) Interaction에 대한 정밀한 고찰을 통하여 인간 중심의 Human-Machine Interaction 을 가능하게 할 Interface로서의 MultiMedia개념을 도출하였다. 개인의 감성은 감정과 구분되는 심리 변화로, 감정에 비하여 강도는 약하나 일상 생활에서 개인의 생각과 행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감성은 외부의 감각자극에 대하여 직관적이고 반사적으로 발생되며, 개인의 생활경험과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된다.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욕구는 단순한 보유욕구에서 비교우위욕구, 사용성 욕구를 거쳐 감성욕구로 변환된다. 미래의 인간 생활에 필요한 기술과 제품은 인간의 COMMUNICATION생활과 감성 특성을 반영하여 감성적 MultiMedia 와 감성인터페이스의 개념으로 창조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