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감마-선

검색결과 1,495건 처리시간 0.024초

감마선조사 닭고기의 미생물학적 및 유전독성학적 안전성 평가 (Microbiological and Genotoxicological Safety of Gamma-Irradiated Chicken)

  • 곽희진;정차권;강일준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617-624
    • /
    • 2001
  • 계육의 위생화를 위한 방사선 조사기술의 이용가능성을 검토할 목적으로 방사선 조사 계육을 대상으로 미생물학적 및 유전독성학적 안전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3kGy의 감마선 조사는 저온성 세균을 약 1.5 log cycle 정도 감소시킬 수 있었고, 일반세균도 검출한계 이하로 감소되었으며, 특히 7kGy이상의 조사로 모든 오염미생물은 완전히 사멸시킬 수 있었다. 또한 감마선 조사후 냉동저장의 병용은 육제품의 초기살균과 미생물의 생육억제에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유전독성학적 안전성 시험의 경우에는 감마선 조사 및 비조사 닭고기 현탁액의 S. typhimurium TA98, TA100, TA1535 및 TA1537에 대한 복귀변이 집락수를 조사한 결과, 대사활성계 도입 및 부재시 모두, 모든 시험균주에서 시험적용 농도인 0.I~8.3mg/plate의 범위에서 복귀변이 집락수의 농도 의존적인 증가 혹은 감소를 보이지 않아 감마선 조사 닭고기(10kGy)는 돌연변이원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설치류 망상적혈구를 이용하여 감마선 조사된 닭고기의 염색체 이상 시험을 수행한 결과, 감마선 조사 닭고기는 시험적용 용량인 1250~2500mg/plate의 범위에서 소핵을 가진 망상 적혈구의 출현율이 음성대조군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아 소핵을 유발하지 않음을 확인하여 유전독성학적 측면에서의 안전성이 확인되었다.

  • PDF

감마선조사 천연케이싱의 사용이 소시지의 제조적성에 미치는 영향 (Quality Properties of Sausage Prepared with Gamma-Irradiated Natural Casing)

  • 조철훈;이주운;육홍선;김동호;변명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75-79
    • /
    • 2001
  • 고품질의 위생적인 소시지를 제조하기 위하여 천연 돈장 및 양장에 감마선을 조사하고 천연장을 케이싱으로 하여 고급유화형 소시지를 제조한 후 저장기간에 따른 품질 변화를 조사하였다. 감마선 조사된 천연케이싱으로 제조된 소시지의 총균수는 돈장과 양장 구분없이 현저하게 감소되었고, 계산상의 $D_{10}$값은 돈장소시지는 1.71 kGy, 양장소시지는 1.58 kGy였다. 감마선 조사 및 비조사 돈장과 양장으로 제조하여 진공포장으로 $4^{\circ}C$ 냉장한 소시지의 지방산패는 저장 10일째 다소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그 외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소시지의 전단력은 감마선 조사로 인하여 낮은 값을 나타내었고, 관능검사에서는 감마선 조사구와 비조사 구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감마선을 조사한 천연돈장 및 양장으로 제조한 소시지는 위생적 품질특성을 유지 하면서 고급육제품을 제조하는데 매우 효과적이었다.

  • PDF

Ames test를 이용한 감마선 조사 황기, 감초 및 진피의 유전독성학적 안전성 평가 (Genotoxicological Safety of the ${\gamma}$-ray Irradiated Astragali Radix, Glycyrrhizae Radix and Aurantii nobilis Pericarpium in the Ames Test)

  • 함연호;육홍선;조성기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54-59
    • /
    • 2001
  • 건조 생약재인 황기, 감초 및 진피의 감마선 조사 위생화의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감마선 조사 후 Samonella typhimurium TA98과 TA100 균주를 이용한 유전 독성학적인 안전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시험 대상은 오염유기체 완전 구제 선량인 10kGy의 감마선으로 조사된 시료의 열수 추출물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시험농도는 대상물질이 생약재임을 고려하여 50%의 균주생장억제를 나타내는 농도를 최고 농도로 하였다. 시험은 대사 활성화시키지 않는 경우와 대사 활성화시킨 경우에서 복귀돌연변이 집락을 계수하였다. 그 결과 각 시료에 의한 집락수의 증가를 인정할 수 없었으며, 각 용량단계에서 감마선 비조사군과 조사군 간의 차이도 볼 수 없으므로 음성으로 판정하였다. 따라서 감마선 조사된 각 시료가 직접변이원이나 간접변이원으로 작용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결과로 보아 생체내 유전독성, 만성독성 및 생식독성 시험 등이 추가된다면 감마선조사 생약재의 안전성을 명확히 밝힐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NaOH를 이용한 우드칩의 당화 전처리에 대한 감마선 조사 영향 연구 (Effect of Gamma Irradiation on Wood Chip Saccharification Pretreated with NaOH)

  • 김수미;최종일;조민호;김종덕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4권3호
    • /
    • pp.431-435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감마선 조사가 NaOH 전처리를 이용한 우드칩의 당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당화량은 전처리된 우드칩에 효소를 이용하여 가수분해한 후 생성된 환원당과 포도당 양을 측정하여 확인하였다. 10 g/L NaOH 처리한 우드칩을 각각 50, 100, 200 kGy 세기의 감마선을 조사하여 당화량을 측정하였다. 우드칩의 가수분해 수율을 비교했을 때, 200 kGy 감마선 조사한 우드칩에서 가장 높은 환원당 함량 12.2 g/L이 얻어졌다. 또한 전처리 과정에서의 감마선 조사 단계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우드칩을 먼저 50, 100, 200 kGy 감마선 조사한 후, 10 g/L NaOH 로 전처리하였다. 200 kGy 감마선 조사 후 NaOH 전처리를 수행했을 때 환원당 함량은 13.4 g/L로 전처리 이후의 감마선 조사구보다 증가하였고, 7.9 g/L 포도당을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감마선 조사가 셀루로오즈 바이오매스 전처리에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수확 후 지연 감마선 조사와 CA 저장이 밤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elayed Gamma-Irradiation and CA Storage on the Quality of Chestnuts)

  • 권중호;정형욱;김경은;정헌식;최종욱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6-22
    • /
    • 2001
  • 밤(Castanea crenata, 은기)의 수확 후 품질유지에 있어서 지연 감마선 조사와 CA 저장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밤을 수확하여 $0^{\circ}C$에서 3개월간 보관한 후 0.25kGy의 감마선을 조사하고 $0^{\circ}C$의 CA (3%O$_2$+5% $CO_2$) 및 air조건에서 6개월간 저장한 다음 이화학적 품질특성들을 측정하였다. 밤의 발아(근)는 지연 감마선 조사에 의해 완전 억제되었으며 부패는 CA저장과 병행시 더욱 적게 발생되었다. 중량감소는 CA저장 밤이 air 저장 밤보다 작었고 지연 감마선 조사에 의해 약간 억제되었다. 과육표면의 L값과 b값은 지연 감마선 조사의 영향이 없이 CA저장 밤이 air 저장 밤보다 높게 유지되었다. 비타민 C, 전당 및 환원당 함량은 지연 감마선 조사 직후 감소되었으나 저장 후에는 조사의 영향을 받지 않았고, 비타민 C와 환원당의 경우 CA저장 밤에서 낮은 함량을 유지하였다. 유기산 함량은 CA저장 밤이 air 저장 밤보다 높았으며, CA저장 밤에서는 감마선을 조사한 밤에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수확 후 지연 감마선 조사와 CA저장은 발아(근)와 부패의 발생 억제, 그리고 중량, 과육표면 득도 및 유기산함량의 감소 억제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감마선을 이용한 수용액상의 CdS 양자점 제조 및 광학적 특성 (Fabrication and Optical Characteristics of CdS Quantum Dot Structures in Aqueous Solution Using a Gamma-ray Irradiation Technique)

  • 정은희;이재훈;임상엽;이창열;최영수;최중길;박승한
    • 대한화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249-253
    • /
    • 2004
  • 감마선을 이용하여 수용액상에서 안정화 된 CdS 반도체 양자점을 제조하고, 제조된 양자점의 광학적 흡수스펙트럼을 분석하였다. CdS 양자점 제조시 카드뮴을 제공하는 물질로는 cadmium sulfate를 사용하였고, 황을 제공하는 물질로는 2-mercaptoethanol을 사용하였으며, 매개체로는 감마선이 조사된 물에 존재하는 환원제 $e^{-}_{aq}$을 이용하였다. 감마선 조사 전과 후에 제조된 CdS 양자점의 흡수스펙트럼을 비교한 결과, 감마선 조사 후에는 300 nm~400 nm 사이에서 CdS 양자점 형성에 의한 엑시톤 흡수 봉우리가 명확히 관측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감마선의 조사 시간을 5분, 10분, 15분으로 증가시켜 감마선의 양을 다르게 조사시킨 결과 엑시톤 흡수 파장이 338 nm, 347 nm, 367 nm로 장파장 쪽으로 이동함을 확인함으로써, 감마선의 조사량을 조절하면 CdS 양자점의 크기를 변화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감마선 조사와 저장온도에 따른 복숭아의 품질특성 변화 (Changes of Nutritional Compounds and Texture Characteristics of Peaches (Prunus persica L. Batsch) during Post-irradiation Storage at Different Temperature)

  • 윤혜정;임상용;허정무;이보영;최영지;권중호;김동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77-384
    • /
    • 2008
  • 복숭아의 보존기한 연장을 위한 품질 향상을 위한 방법으로 적숙기의 복숭아에 1 kGy의 감마선 조사를 실시한 다음, $4^{\circ}C$$25^{\circ}C$의 저장조건에서 복숭아의 일반적인 품질 특성 및 관능학적 품질 특성을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과실류에 대한 Codex 권장선량인 1 kGy 선량의 감마선 조사에서 복숭아의 품질변화는 나타나지지 않았으며 초기 오염미생물의 균수를 약 2 log 단위($10^2\;CFU/g$) 정도 감소시키는 제어 효과가 확인되었다. 감마선 조사 복숭아의 보존 실험에서, 감마선 조사된 복숭아는 $25^{\circ}C$의 조건에서는 약 1주, $4^{\circ}C$의 조건에서 약 6주 이상의 미생물학적 품질 안전성을 나타내었으며 위축률, 수분감소, 경도 등의 이화학적 품질에서도 개선효과가 확인되었다. 감마선 조사 직후에는 감마선 조사 복숭아와 비조사 시료간의 관능특성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보존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마선 조사시료의 선호도가 비조사 시료보다 더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감마선 조사와 냉장보존을 병용할 경우, 상온 1주 이하인 복숭아의 미생물학적 보존기한을 4주 이상으로 연장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새우젓 저염화를 위한 최적 숙성직전의 감마선 조사 (Processing of Low Salted and Fermented Shrimp Using Gamma Irradiation Before Optimum Fermentation)

  • 안현주;이철호;이경행;김재현;차보숙;변명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1107-1113
    • /
    • 2000
  • 관능적 품질이 우수하고 저장성을 향상시킨 저염 새우젓을 개발하기 위한 방법으로 감마선 조사기술을 이용하였다. 식염농도를 15% 및 20%로 조절한 새우젓을 제조하여 $15^{\circ}C$에서 발효시키면서, 최적 숙성기에 도달하기 전 아미노태질소의 함량이 400mg% 수준에서 5 kGy 및 10 kGy의 선량으로 감마선 조사하였으며, 대조구로는 30% 식염농도의 새우젓을 제조하여 저장기간 동안 품질을 평가하였다. 최적 숙성 직전 감마선을 조사한 결과, 일반성분, 수분활성 및 염도는 감마선 조사에 의한 영향을 보이지 않았다. pH의 경우, 감마선 조사에 의한 발효 억제로 비조사구 보다 낮게 나타났다. 총균수는 감마선 조사에 의해 최고 숙성기에 나타나는 부패 미생물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약간의 발효가 진행될 뿐 고식염의 대조구와 마찬가지로 부패가 일어나지 않았다. 관능검사 결과, 15% 및 20% 식염함량의 새우젓 모두 감마선 조사를 한 경우 관능적으로 우수하였으며, 특히 15% 식염과 10 kGy의 감마선 조사 또는 20% 식염과 5 kGy 이상의 조사는 저장성과 관능적 품질이 매우 우수하였다.

  • PDF

저염 새우젓 제조를 위한 최적 숙성직전의 감마선 조사시 화학적 품질변화 (Changes of Chemical Properties in Processing of Low Salted and Fermented Shrimp Using Gamma Irradiation immediately before Optimum Fermentation)

  • 이경행;안현주;이철호;김영지;변명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1051-1057
    • /
    • 2000
  • 관능적 품질이 우수하고 저장성을 향상시킨 저염 새우젓 개발을 위해 감마선 조사기술을 이용하였다. 식염농도를 15% 및 20%로 조절한 새우젓을 제조하여 $15^{\circ}C$에서 발효시키면서, 최적 숙성기에 도달하기 직전 아미노태 질소의 함량이 400mg% 수준에서 5 kGy 및 10 kGy 선량의 감마선을 조사하였으며, 대조구로는 30% 식염농도의 새우젓을 제조하여 저장기간 동안 화학적 품질을 평가하였다. 최적 숙성직전 감마선을 조사한 결과, 감마선 조사직후 아미노태 질소, 휘발성 염기태 질소, trimethylamine 및 효소활성은 감마선 조사에 의한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저장기간에 따른 성분의 변화는 식염함량 및 감마선 조사선량이 증가할수록 낮았으며, 효소활성은 발효 4∼5주까지 계속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경향으로 대조구와 유사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15% 식염과 10 kGy의 감마선 조사 및 20% 식염과 5 kGy 이상의 감마선을 최적 숙성직전 조사한 새우젓의 경우 젓갈의 화학적 품질지표인 아미노태 질소, 휘발성 염기태 질소, trimethylamine 함량 및 단백질분해 효소활성이 30% 고염농도인 대조구와 비슷한 수준으로, 발효기간 동안 적정수준의 함량 및 활성을 나타내어 양호한 품질특성을 보였다.

  • PDF

감마선 조사 포도의 저장온도에 따른 품질특성 변화 (Quality Characteristics of Grapes during Post-irradiation Storage at Different Temperatures)

  • 윤혜정;조민호;권중호;임병락;김동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648-655
    • /
    • 2008
  • 포도의 보존기한 연장 및 미생물학적 품질 향상을 위한 방법으로 적숙기의 포도에 1 kGy의 감마선 조사를 실시한 다음, $4^{\circ}C$$25^{\circ}C$의 저장조건에서 6주간 저장하면서 포도의 일반적인 품질특성 및 관능 품질특성을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포도에 대한 1 kGy 선량의 감마선 조사에 의한 총당, pH, 적정산도, 안토시아닌 함량 등의 일반 품질 특성변화는 나타나지지 않았으며, 미생물분석 결과 포도의 초기 오염미생물을 약 $1{\sim}2\;log$ 단위($10{\sim}10^2\;CFU/g$) 감소시키는 미생물 제어 효과가 확인되었다. 감마선 조사 포도의 보존 실험에서, 감마선 조사된 포도는 $25^{\circ}C$의 조건에서는 약 2주, $4^{\circ}C$의 조건에서 약 6주 이상의 미생물학적 품질 안전성을 나타내었으며 수분감소, 경도 등의 이화학적 품질에서도 개선효과가 확인되었다. 감마선 조사 직후에는 감마선 조사 포도와 비조사 시료간의 관능특성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보존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마선 조사 시료의 선호도가 비조사 시료보다 더 높아짐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감마선 조사와 냉장보존을 병용할 경우, 상온 2주 이하인 포도의 보존기한을 최소 6주 이상으로 연장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