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감마-선

검색결과 1,495건 처리시간 0.022초

감마선 조사와 저장 기간에 따른 건멸치류의 품질 및 열발광 특성 (Quality and Thermoluminescence Properties of ${\gamma}$-Irradiated Boiled-Dried Anchovies during Storage)

  • 권중호;노정은;변명우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9-27
    • /
    • 2002
  • 건멸치의 위생적 품질개선을 위한 감마선 조사가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아울러 감마선 조사 멸치에 대한 검 지법으로서 열발광 특성을 분석하였다. 건멸치류의 미생물 오염도는 총세균이 $10^4$~$10^{6}$ CFU/g 수준으로 건멸치의 종류에 따라 큰 타이를 보였으며, 대장균군은 모든 시료에서 음성으로 나타났다. 미생물학적 품질개선을 위한 3kGy 수준의 감마선 조사는 유통조건(식품포장용 PVC film, 0.06 mm, 500 g)으로 포장하여 6개월 저장(15$\pm$1$^{\circ}C$) 후에도 검출한계이하(20 CFU/g)의 수준을 유지할 수 있었다 저장 중 건멸치의 기계적색도(L, a, b, ΔE ), 갈색도, TBA가, VBN, TMA-N, 관능적 특성 등 건멸치의 품질에 관련된 여러 인자들은 3 kGy의 감마선 조사에 의해 거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그러나 저장기간에 따른 영향은 매우 크게 나타났으며, 이는 저장온도와 포장조건의 중요성을 뒷받침해 주었다. 건멸치의 방사선 조사 여부 확인을 위한 열발광 특성을 분석해 본 결과, 비조사구는 280~30$0^{\circ}C$ 부근에서 매우 낮은 peak를 나타내었고, 1 kGy 이상의 감마선 조사구는 20$0^{\circ}C$ 전후에서 조사선량에 의존적($R^2$=0.9933)인 높은 glow curve를 나타내어 감마선 조사 건멸치의 판별이 가능하였고, - 2$0^{\circ}C$에서 6개월간 저장 후에도 검지가 가능하였다.

감마선 조사로 유도된 간세포와 조혈계 손상 마우스에서 퀘르세틴 투여 후의 방사선방호 효과 (Radioprotective Effect of Quercetin Post-Treatment against γ-Irradiation-Induced Hepatocellular and Hematopoiectic System Damage in Mice)

  • 강정애;윤선혜;노종국;최대성;장범수;박상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7호
    • /
    • pp.970-974
    • /
    • 2015
  • 본 연구는 BALB/c 마우스에서 감마선 조사 후 퀘르세틴을 7일 동안 경구 투여하여 감마선 조사로 인한 조혈계 및 간세포 손상에 대한 방사선 회복 효과를 검토하였다. 퀘르세틴을 투여한 군은 감마선 조사군에 비해 비장 및 흉선 지수, 백혈구 수치가 증가하여 조혈 면역계 손상에 대해 보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ALT와 AST의 활성도 감마선 조사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간세포 손상에 대한 보호 효과를 확인하였다. 방사선 조사에 의해 체내에서 생성된 자유라디칼은 생체물질과 결합하여 지질과산화를 일으키고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도하여 조직을 손상시킨다. 퀘르세틴을 투여한 군의 지질과산화는 감마선 조사군에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나 방사선에 의한 장애를 감소시켰으며, 항산화 효소도 감마선 조사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생체 내 항산화 활성도 회복시켰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방사선 조사후에 퀘르세틴의 투여는 방사선에 의한 조혈계 및 간세포 손상에 대해 회복 효과가 있어 방사선 보호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감마선 조사에 의한 복숭아의 미생물학적, 이화학적 품질 및 관능적 품질 변화 (The Effects of Gamma Irradiation on the Microbiological, Physicochemical and Sensory Quality of Peach (Prunus persica L. Batsch cv Dangeumdo))

  • 김미선;김경희;육홍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364-371
    • /
    • 2009
  • 복숭아의 저장안정성 증가를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복숭아에 $0.5{\sim}2$ kGy의 저선량 감마선을 조사하여 $20^{\circ}C$에서 9일동안 저장하면서 복숭아의 미생물학적 및 이화학적 품질 특성을 살펴보았다. 복숭아의 총 호기성 세균과 효모 및 곰팡이의 변화는 조사선량에 따라 감소하여 감마선 조사가 미생물 저감효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계적 경도 측정결과 조사선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며, 색도 변화는 감마선 조사에 의해 명도(L)가 감소하고, 적색도(a)와 황색도(b)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H, 가용성 고형물, 총 폴리페놀 함량, 항산화 활성 변화는 감마선 조사된 시료구가 비조사구에 비해 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선량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비타민 C(아스코르브산) 함량 변화는 조사선량과 저장기간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감마선 조사에 의한 영향을 나타나지 않았다. 관능검사 결과 비조사구에 비해 조사구에서 높은 기호도를 보였으며, 저장 기간이 지남에 따라 비조사구와 조사구(0.5, 1, 1.5 kGy)의 기호도는 유의차를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복숭아에 대한 저선량 감마선 조사는 복숭아의 색도, 물리적 특성에 좋지 않은 영향을 나타내지만, 미생물학적 안정성에 효과적이며 항산화능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마선 조사된 저염 오징어젓갈 발효의 미생물균총 특성 (Micro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Gamma Irradiated and Low-Salted Fermented Squid)

  • 김동호;김재훈;육홍선;안현주;김정옥;손천배;변명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1619-1627
    • /
    • 1999
  • 염 농도와 감마선 조사 선량을 달리한 오징어젓갈의 미생물 균총 변화를 살펴보았다. 총균, Lactobacillus spp., Staphylococcus spp.는 발효기간에 따라 지속적으로 생장하여 발효 40일째에 염도 5%와 10%에서는 $10^8\;CFU/mL$까지, 염도 20%에서는 $10^7\;CFU/mL$까지 생장하였으며 5 kGy 이상 감마선 조사구는 초기 균수 감소로 발효 후기의 미생물 밀도가 낮아졌다. 염도가 증가할수록 감마선 조사가 미생물 생장에 미치는 영향이 컸으며, 감마선 조사에 의한 오징어젓갈 관련 발효 미생물의 생장억제는 염도 10%에 10 kGy의 감마선 조사 조건이 적합하였다. 발효미생물의 동정 결과, L. plantarum이 전 실험구에 걸쳐 가장 일반적인 발효균으로 분리되었으며 Lactobacillus sp. 2, Mic. varians, Streptococcus sp. 1 등은 염도 5%의 실험구에만, Mic. morrhuae 등은 20%의 염농도에서만 분리되어 염도에 따른 microflora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또한, L. brevis, Ped. halophilus, Pse. diminuta 등은 방사선 감수성이 큰 미생물군이었으며, L. plantarum, Mic. morrhuae, Pseudomonas sp. 3 등은 방사선에 대한 저항성이 높았다. 전체적으로 보아 염도 20% 실험구에서의 분리 미생물이 15종으로 가장 다양한 분포를 보였으며 염도가 낮아질수록, 감마선 조사선량이 높아질수록 종의 다양성은 낮았다.

  • PDF

감마선 조사에 의한 수산 자숙액의 단백질 함량 변화 (Changes of the Protein Contents of Seafood Cooking Drips by Gamma Irradiation)

  • 최종일;김현주;성낙윤;변의백;김재훈;전병수;안동현;조국연;변명우;이주운
    • KSBB Journal
    • /
    • 제23권6호
    • /
    • pp.489-493
    • /
    • 2008
  • 수산가공 폐자원인 수산 자숙액의 산업적 활용 극대화 방안의 연구 일환으로 감마선 조사가 수산 자숙액 내 단백질 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톳, 문어 및 참치 자숙액을 감마선 조사하여 단백질 정량 및 SDS-PAGE를 진행하였다. Lowry, BCA 및 Kjeldahl 법에 의한 단백질 정량 실험 결과 감마선 조사에 의해 수산 자숙액 단백질의 함량이 증가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단백질 함량은 10 kGy이상에서는 선량에 따라 일정한 값을 가졌다. 이를 토대로 각각의 자숙액을 SDS-PAGE를 이용한 전기영동적 분리정도를 확인한 결과 감마선 조사에 의해 단백질의 응집과 저분자화가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감마선 조사에 의해 수산 자숙액의 단백질 추출 효율이 증가한 것으로 판단되며 추후 감마선 조사에 의해 증가된 단백질의 동정 및 구조변화 등의 후속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감마선 이용 미생물학적 및 관능적 품질이 우수한 아이스크림의 개발 (Development of Ice Cream with Improved Microbiological Safety and Acceptable Organoleptic Quality Using Irradiation)

  • 김현주;장애라;함준상;정석근;안종남;변명우;조철훈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4호
    • /
    • pp.515-522
    • /
    • 2007
  • 감마선을 이용하여 미생물학적으로 안전하면서 관능적 품질이 우수한 아이스크림을 개발하기 위해 감마선에 안정적인 spearmint, mint 및 citrus향을 선발하고 이를 이용하여 감마선 조사에 의한 특유의 냄새변화가 없는 아이스크림을 제조한 후 품질을 비교하였다. 일반적인 조성은 향 무첨가 대조구와 처리구 사이에 차이가 없었으며, 총균수는 향 무첨가 대조구, spearmint, mint 및 citrus향 첨가구가 각각 2.38, 1.23, 1.38 및 1.15 log CFU/g 수준에서 검출되었다. 그러나 대조구는 3 kGy, 그 외 처리구는 1 kGy 선량에서 균이 검출되지 않았다. 관능검사 결과 mint향을 첨가하고 1 kGy 감마선 처리한 아이스크림과 citrus향을 첨가하고 3 kGy에서 감마선 처리한 아이스크림이 유의적으로 높은 기호도를 보였다. 따라서 3 kGy 이하의 감마선 조사와 mint 또는 citrus향의 선택적 첨가는 관능적으로 문제가 없으면서 유아, 노약자, 환자 등 민감한 소비자들에 대한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확보하는 기술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계란 오염 세균의 분리 및 분리 균주의 감마선 감수성 평가 (Isolation of Egg-Contaminating Bacteria and Evaluation of Bacterial Radiation Sensitivity)

  • 김동호;윤혜정;송현파;임병락;조철훈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774-781
    • /
    • 2008
  • 계란의 주요 오염 미생물을 분리하여 계란의 난각 표면과 내부에 접종한 다음 감마선 살균을 실시하여 각 미생물의 감마선 감수성을 평가하였다. 본 실험에서 시중 유통 계란으로부터 분리된 미생물을 16S rDNA 염기서열분석을 통하여 잠정 동정한 결과 Staphylococcus sciuri, Bacillus cereus, Escherichia coli, Proteus mirabilis 및 Enterococcus faecalis의 5 종의 미생물이 확인되었으며 Salmonella는 검출되지 않았다. 표준 시험균주인 S. Typhimurium을 비롯하여 계란 분리균주 5종을 계란 난각 표면과 내부에 $10^{6{\sim}7}\;CFU/g$되게 접종한 다음 감마선을 조사하여 D10 값으로 감마선 감수성을 평가한 결과, S. Typhimurium은 $0.365{\sim}0.399\;kGy$, Staphylococcus sciuri는 $0.418{\sim}0.471\;kGy$, B. cereus는 $1.075{\sim}1.119\;kGy$, E. coli는 $0.280{\sim}0.304\;kGy$, P. mirabilis는 $1.132{\sim}1.330\;kGy$, 그리고 Enterococcus faecalis는 $0.993{\sim}1.290\;kGy$ 수준의 D10 값을 나타내었다. 감마선 조사 후 $25^{\circ}C$ 상온저장 조건에서 미생물의 생장을 살펴본 결과, S. Typhimurium은 3 kGy에서, E. coli와 Staphylococcus sciuri는 5 kGy에서 완전 사멸되었으며 다른 미생물 접종 시험군에서도 각각의 $D_{10}$ 값에 준하는 미생물생장 억제효과가 나타났다. 일반적인 계란의 미생물 오염 수준을 102 CFU/g 수준임을 감안할 때, 3 kGy의 감마선 조사선량으로 계란의 미생물 제거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고순도 Ge 검출기의 전기적 노이즈 감소를 통한 감마선 에너지 스펙트럼의 분해능 향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Gamma Ray Energy Spectrum Resolution through Electrical Noise Reduction of High Purity Ge Detector)

  • 이삼열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849-856
    • /
    • 2020
  • 감마선 에너지 스펙트럼 연구에서 에너지 분석을 통한 핵종 분석은 매우 중요하다. 감마선 에너지 측정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고순도 Ge 검출기는 높은 에너지 분해능과 상대적으로 높은 검출 효율 때문에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반도체 검출기는 높은 에너지 분해능을 유지하기 위해 주변 환경에서 발생하는 노이즈를 효과적으로 차단하지 않으면 원래의 성능을 유지하기 어렵고 고가의 장치의 효과를 얻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검출기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해 접지 루프 아이솔레이터 (NEXT-001HDGL)를 사용했다. 에너지 분해능 향상 효과를 테스트하기 위해 양성자 가속기 KOMAC에 새로 설치된 HPGe 검출 장치를 사용했다. 감마선 에너지 2614 keV의 경우 에너지 분해능이 (0.16 ± 0.02) %에서 (0.11 ± 0.01) %로 개선되었고, 감마선 에너지 662 keV의 경우 에너지 분해능이 (0.72 ± 0.07) %에서 0.27 ± 0.03 %로 향상되었다. 이 결과는 KOMAC (Korea Multi-Purpose Accelerator Complex)의 HPGe 검출 장비를 이용한 감마선 스펙트럼 연구에 매우 유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비상시 환경방사능 모니터링을 위한 공기부유진 시료의 감마선에너지 스펙트럼에 대한 핵종판별 (Nuclide Identification of Gamma Ray Energy Peaks from an Air Sample for the Emergency Radiation Monitoring)

  • 변종인;윤석원;최희열;임성아;이동명;윤주용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34권4호
    • /
    • pp.170-175
    • /
    • 2009
  • 감마선분광분석법을 이용하여 비상시 환경방사능 모니터링을 수행할 경우 스펙트럼 측정시 해당 시료의 종류에 따른 백그라운드 자료 확보와 이를 활용한 체계적인 핵종확인 과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비상시 환경방사능 모니터링을 고려하여 24시간 동안 포집 후 회화시킨 공기부유진 시료를 HPGe 감마선분광분석 시스템으로 계측하여 감마선에너지 스펙트럼을 얻었으며, 그 스펙트럼에서 보이는 피이크들의 핵종을 판별하기 위해 두 가지 방법 - 1) 반감기 추정 2) 핵자료를 이용한 축차우연동시합성피이크 확인 - 으로 접근하였다. 그 결과로서 공기부유진의 감마선에너지스펙트럼에 대한 핵종판별결과 자료를 산출하였다.

BSH 존재시 중성자 및 ${\gamma}$-ray 조사에 따른 plasmid DNA의 손상 (Plasmid DNA damage by neutron and ${\gamma}$-ray in the presence of BSH)

  • 천기정;서원숙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31권2호
    • /
    • pp.65-68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boron 화합물인 BSH(Boron Sulfhydryl Hydride)의 농도와 중성자 및 감마선 방사선 조사선량에 따른 plasmid DNA의 손상 정도를 관찰하였다. Plasmid는 pBR 322(2870 bp)와 ${\Phi}X174$ RF DNA(5386 bp)를 사용하였고 조사 후 DNA의 손상 정도는 agarose gel 전기영동 상에서 관찰하였다. 중성자 조사에서는 plasmid DNA의 손상 정도는 BSH의 농도 및 조사 선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감마선 조사에서는 조사하지 않은 대조군과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Plasmid DNA의 손상 양상은 BSH 존재시 중성자 및 감마선 조사에서 다소 다름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