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감각피드백시스템

Search Result 24,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A research on feedback effect according to different sensory modality for attention recovery (집중력 회복을 위한 감각 모달리티 별 피드백에 대한 연구)

  • Hyun, Hye-Jung;Whang, Min-Cheol;Park, Jun-Seok;Lee, Yoon-Joung;Kim, Young-Joo;Kim, Jong-Hwa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a
    • /
    • pp.137-142
    • /
    • 2007
  • 한정된 주의력 자원을 회복 시키기 위한 방법 중 피드백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피드백의 구체적 내용에 대한 집중력 회복의 연구는 미미하다. 본 연구는 집중력을 회복할 수 있는 감각적 자극 중 정서적 피드백 간의 효과 차이를 분석 하였다. 집중력을 평가하기 위한 온라인 실험 시스템을 구축하고 시각, 청각, 촉각 피드백 자극을 제시하여 각각의 감각자극과 집중력 회복의 효과를 분석 하였다. 실험 참여자의 감각 피드백의 선호도에 따른 영향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 후 주관적 설문을 실시하였다. 감각 피드백을 6명의 대학원생에게 일주일에 걸쳐 반복적으로 약200개의 자극을 제시하고 5회 이상 실험을 통하여 얻어진 30회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피드백 별 수행 수준에서는 청각, 촉각, 시각 순으로 효과가 높았으며, 반응 시간에서는 촉각, 청각, 시각 순으로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 PDF

A research on feedback effect according to different sensory modality for attention recovery (집중력 회복을 위한 감각 모달리티 별 피드백에 대한 연구)

  • Hyun, Hye-Jung;Whang, Min-Cheol
    • Journal of the HCI Society of Korea
    • /
    • v.2 no.1
    • /
    • pp.41-47
    • /
    • 2007
  •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examine the effect of feedback on attention recovery. The role of feedback has been proven to be positive in particular to extend the limitation of attention resource. We studied the impact of feedback on attention by varying its type and modality. An experimental system was developed to observe how accurately the participants performed the pattern-matching task with differential feedback provided on a real-time basis based on the ADHD diagnostic model. Six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with 6 different feedback conditions and controlled conditions.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the feedbacks before experiment. They was asked two hundred tasks in four feedback conditions. The difference of feedback effect according to different modality is to find within a subject.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combined feedback of cognitive with perceptual stimulus led better performance than the combined of perceptual feedbacks.

  • PDF

Haptic-enabled Augmented Reality System using Hand-Eye Calibration (Hand-Eye 캘리브레이션을 활용한 햅틱 지원 증강 현실 시스템)

  • Kim, Ki-Young;Park, Young-Min;Woo, Woon-Tac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7b
    • /
    • pp.526-528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감각형 객체를 도입한 새로운 햅틱 지원 증강 현실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카메라 또는 증강용 마커가 이동할 경우 발생하는 카메라-햅틱 간 캘리브레이션 문제를 해결하여, 햅틱 장비의 좌표계를 증강 객체의 좌표계로 강건하게 변환시킨다. 사용자의 간섭없는 캘리브레이션을 위해, 햅틱 좌표계와 증강 좌표계간의 캘리브레이션은 Hand-Eye방법으로 카메라 이동시 자동으로 수행된다. 또한, 감각형 객체 이동시 증강의 안정성을 높히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칼만 필터 (Kalman filter)를 적용한다. 사용자는 감각형 객체에 증강된 가상 모델을 손에 쥔채로, 햅틱 큐의 끝 부분을 움직여 가상 객체를 조작하고, 동시에 역감을 느끼게 된다. 실험에서는 시스템의 유용성을 보이기 위해, 증강용 감각형 객체, 상호작용 및 햅틱 피드백용 PHANToM, 그리고 디스플레이용 3차원 모니터로 구성된 MP3 조작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제안된 햅틱 지원 증강 현실 시스템은 역감과 증강 현실이 필요한 디자인 시스템이나, 교육 및 엔터테인먼트 응용 등에 접목되어 쓰일 수 있다.

  • PDF

Haptic System to Provide the Realistic Sensation of Virtual Impact (사실적인 가상 임팩트 감각 전달을 위한 햅틱 시스템)

  • Jechan Jeon;Jaeyoung Park
    •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
    • v.24 no.6
    • /
    • pp.23-29
    • /
    • 2023
  • As an effort to maximize the immersiveness of user experience in virtual reality, there have been constant efforts to provide a user with tactile sensation by providing haptic feedback. Most of the haptic feedback methods, however, can create only limited or unrealistic haptic sensations since they utilize affordable actuators such as a vibrotactile actuator. When it comes to martial arts training or a game, the limitation of such haptic feedback is apparent due to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hysical impact of hitting an object and the sensation departed from a vibrotactile actuator. Noting this, we proposed a haptic impact system that can create a haptic impact when the user hits a virtual object with the fist. The haptic interface uses a quick-return mechanism that can deliver haptic impact feedback to a user's fist. The realism of the haptic impact was evaluated by conducting a human-subject experiment. The results indicate a significant effect of haptic feedback on the realism of the virtual impact.

Interaction Human Model and Interface for Increasing User's Presence and Task Performance in Near-body Virtual Space (가상 근신(近身) 공간에서의 작업 성능과 사용자 존재감 향상을 위한 상호작용 신체 모델과 인터페이스)

  • Yang Ungyeon;Kim Yongwan;Son Wook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4.11a
    • /
    • pp.975-978
    • /
    • 2004
  • 본 논문에서 우리는 가상현실 시스템의 구축에 있어서, 사용자의 직접 상호작용 (direct interaction)을 기본으로 하는 근신 공간(near-body space) 작업에서 사용자의 존재감 (Presence) 향상과 작업 성능 향상을 위하여, 사용자와 공간적 및 감각적으로 일치된 가상 인체 모델의 구현을 중심으로 현재의 기술 현황 및 연구 개발 방향에 대하여 기술한다. 이상적인 가상현실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서 고려되어야 할 요소를 멀티모달 상호작용과 실감 일치형 인터페이스 개발 방법론의 관점에서 보면, 사용자가 접하는 가상 공간의 시각적 모델(visual perception)과 자기 동작 감각적(proprioceptive) 모델의 일치가 중요하다. 그러므로, 시각적으로 사용자의 움직임과 일치된 자신의 신체가 가시화 되어야 하고, 자연스러운 근신 공간 직접 상호작용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사실적인 햅틱 피드백 요소가 중요하며, 공간적 정보를 표현 함에 있어서 동기화 된 사실적 청각 피드백 요소의 지원이 중요하다. 앞의 주요 3 가지 감각 인터페이스 방법(sensory channel, modality)는 현재의 불완전한 인터페이스 기술의 한계를 고려하여 상호 보완적인 관계로 응용 환경에 최적화된 적용 방법이 연구되어야 한다.

  • PDF

Usability test about immersion in the Augmented Reality based Product Design (증강현실 기반 제품 디자인에서의 몰입감에 대한 사용성 평가)

  • Ha, Tae-Jin;Chang, Yoon-Je;Woo, Woon-Tack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b
    • /
    • pp.118-123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증강현실 기반 제품 디자인 시, 논문 [1]에서 제안된 몰입감 향상 기법들에 대한 사용성 평가를 통해, 사용자에게 다차원 피드백(multimodal feedback)을 제공하는 것이 몰입감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알아본다. 우선 기존의 데스크톱 기반의 디자인 환경과 다차원 피드백을 가능하게 하는 증강현실 기반 디자인 환경과의 비교 후, 시각 피드백에 대한 사용성 평가로써 증강된 가상객체에 의해 가려진 손을 다시 보이게 함으로 얻게 되는 실재감 향상 정도와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컨텐츠의 시각적 맵핑의 적절성을 평가한다. 또한 청각 피드백에 대한 평가 기준으로써 시나리오 상의 상황에 따른 배경음/효과음 맵핑의 몰입감과 적절성을 평가한다. 마지막으로 촉각 피드백에 대한 평가로써, 물리적인 감각형 객체에 가상객체를 정합함으로써 얻게 되는 촉감과 시나리오 상의 이벤트에 따라 제시되는 진동-촉각 피드백에 의한 몰입감 향상 정도를 평가한다. 제시된 사용성 평가의 결과는 기존의 증강현실 기반 디자인 시스템의 몰입감을 향상 시키기 위한 구현에 있어, 고려될 수 있는 사항으로써 의미가 있다.

  • PDF

Study on the Improvement of Equilibrium Sense of the Elderly Using Virtual Bicycle System (가상 자전거 시스템을 이용한 고령자의 평형감각 증진에 관한 연구)

  • Jeong Sung-Hwan;Piao Yong-Jun;Chong Woo-Suk;Kwon Tae-Kyu;Hong Chul-Un;Kim Nam-Gyun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C
    • /
    • v.42 no.6
    • /
    • pp.57-66
    • /
    • 2005
  • In this paper, a new rehabilitation training system was developed to improve equilibrium sense by combining virtual reality technology with a fixed exercise bicycle. The subjects consisted of two groups. A group of young people, was compared against a group of elderly. We measured three different running modes of virtual bicycle system with two successive sets. The parameters measured were running time, velocity, the weight movement, the degree of the deviation from the road, and the variables about the center of pressure. The repeated training, our results showed that the running capability of the elderly improve compared. In addition, it was found out that the ability of postural control and the equilibrium sense was improved with the presentation of the visual feedback information of the distribution of weight. From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we showed that our newly developed system might be useful in the diagnosis of equilibrium sense or in the improvement of the sense of sight and, somatic, and vestibular sense of the elderly in the field of rehabilitation training.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UI(Tangible User Interface) System Model (TUI 시스템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 임창영;최민영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6 no.4
    • /
    • pp.355-364
    • /
    • 2003
  • The TUI system Modeling Language(TML) developed in this research can be used for designing TUI system with concerning about TUI's characters. For design to be concerned about physical property of tangibles and control device and digital media, TML can be a framework to give a definition of each property and be used for designing action and reaction process separately. And it would be the guideline to represent interaction's dynamic property through showing parallel information flows among objects. Finally, for verification TML's suitability, TUI system to which TML was applied was developed.

  • PDF

Adaptation of Sensory Nerve Afferents for Selective Elicitation of Tactile Sensations (감각의 순응을 이용한 선택적 감각유발 가능성)

  • An, Boyoung;Ma, Joohyung;Hwang, Sun Hee;Song, Tongjin;Khang, G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 /
    • v.32 no.10
    • /
    • pp.845-850
    • /
    • 2015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feasibility of utilizing an adaptation for selective elicitation of tactile sensations by means of transcutaneous electrical stimulation. We conducted the first experiment to investigate how the stimulation frequency affected the adaptation. Twenty healthy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second experiment to confirm our proposal that the perception intensity of the low-frequency vibration can be enhanced after a high-frequency adaptation, and vice versa. It was found that (1) a low-frequency stimulation did not adapt the nerve afferents responsible for the high-frequency vibration, (2) a high-frequency stimulation affected the nerve afferents responsible for the low-frequency vibration, but adapted to the pressure sensation more intensely, and (3) more than 62% of the subjects reported a more clear selective sensation after the adaptation had lessened or depressed the unwanted sensation. The observations showed that adaptation of the nerve afferent could be utilized for selective elicitation of tactile sensations.

Development of Sensory Feedback System for Myoelectric Prosthetic Hand (전동의수 사용자를 위한 감각 측정 및 전달 시스템 개발)

  • Bae, Ju-Hwan;Jung, Sung Yoon;Kim, Shinki;Mun, Museong;Ko, Chang-Y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 /
    • v.32 no.10
    • /
    • pp.851-856
    • /
    • 2015
  •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sensory feedback system which could measure force and temperature for the user of myoelectric prosthetic hands. The Sensory measurement module consisted of a force sensing resistor to measure forces and non-contact infrared temperature sensor. These sensors were attached on the fingertips of the myoelectric prosthetic hand. The module was validated by using standard weights corresponding to external force and a Peltier module. Sensory transmission module consisted of four vibration motors. Eight vibration patterns were generated by combining motion of each vibration motor and were dependent on kinds and/or magnitude. The module was verified by using standard weigts and water at varying temperatures. There were correlations of force and temperature between the sensory measurement module and standard weight and water. Additionally, exact vibration patterns were generated, indicating the efficacy of the sensory feedback system for the myoelectric prosthetic h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