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감각운동 조절능력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7초

감각-운동 중심의 융합 활동을 기초로 한 그룹 작업치료가 초등학교 1학년 부적응아동의 자기조절능력과 실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사례연구 (The Effect of Group Occupational Therapy based on Sensory-Motor Centered Convergence Activities on Self-regulation and Executive Function of Maladapted Children in First Grade Elementary School: A Case Study)

  • 조선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67-75
    • /
    • 2021
  • 본 연구는 초등학교 1학년 부적응 아동을 대상으로 감각과 운동 중심의 융합 활동으로 구성 된 그룹 작업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자기조절능력, 실행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설계는 사전-사후 검사를 통한 사례 연구이며 대상자는 총 3명이다. 사전-사후 검사로 자기 조절 능력 척도와 실행 기능을 알아보기 위해서 운동적 합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감각-운동 중심의 그룹 작업치료 프로그램은 전정 감각, 고유 감각, 촉각이 기초 한 움직임 활동을 하였으며 아동의 활동에 대한 선호도를 조사하여 과제를 선정하였다. 그 결과 대상자 1과 대상자 2 아동은 자기조절 능력, 실행 기능의 향상이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근거로 하여 교육 현장과 임상이 연계되어 학교의 부적응을 보이는 아동들에게 그룹 중심의 감각-운동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학교의 적응 능력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을 사료된다.

연하장애 환자의 구강인두 기능회복을 위한 감각운동 자극의 효과 (The effect of sensorimotor stimulation for ingestion in dysphagic patients who have nonprogressive brain damage - Preliminary Study -)

  • Kang, Hyun Sook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11-219
    • /
    • 1988
  • 운동학습이론인 감각운동 통합이론을 본 연구의 개념적 틀로하여 한방병원에 입원한 뇌졸중 환자 중 구강인두 기능이 저하된 환자를 대상으로 감각운동자극이 구강인두 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1988년 3월초부터 5월 중순까지 예비실험 연구하였다. 감각운동자극을 주기 전에 구강인두기능을 시정하고 대상자 전원에게 저하된 구강인두기능에 따라 감각운동자극을 선택하여 하루 3번 매식후 30분전에 주었으며, 이를 일주일 동안 계속하였다. 일주일 후 다시 구강인두기능을 측정하여 자극을 주기전, 후의 기능정도를 paired t-test로 비교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1. “자극을 주기 전보다 준 후에 머리와 목운동 조절점수가 높을 것이다”라는 제1가설은 지지되었다(t=-2.71, df=5, p=.042). 2. “자극을 주기 전보다 준 후에 씹는 능력이 증가되었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았다(t=-2.00, df=5, p=.102). 3. “자극을 주기 전보다 준 후에 입술운동의 조절점수는 높을 것이다”라는 제3가설은 지지되었다(t=-4.77, df=5, p=.005). 4. “자극을 주기 전보다 준 후에 혀 운동 조절점수가 높을 것이다”라는 제4가설은 지지되었다(t=-3.61, df=5, p=.015). 5. 자극을 주기 전보다 준 후에 연하능력이 증가되었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았다(t=-2.24, df=5, p=.076). 이상의 결과로 감각운동자극은 연하장애환자의 구강인두기능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 PDF

12주간의 고유감각자극운동이 농촌지역 중년여성의 만성요통과 감각운동 조절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12-Week of Proprioceptive Exercise Programs on Chronic Low Back Pain and Sensorimotor Control in Middle-Aged Females in Rural Areasa)

  • 김은주
    • 미래기술융합논문지
    • /
    • 제3권1호
    • /
    • pp.33-42
    • /
    • 2024
  • 본 연구는 만성요통을 호소하는 농촌지역 50대 중반 여성을 대상으로 고유감각자극을 위한 소도구 운동프로그램을 12주간 적용하여 VAS(visual analogue scale), 정적균형능력 좌·우, 전·후, 그리고 고유감각 운동능력 신체안정성 좌·우, 전·후의 신체적 변화를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자는 실험집단(experimental group; EG) 24명, 통제집단(control group; CG) 20명으로 무작위할당 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동질성 검사는 독립 t-검정을 실시하여 평균의 유의차를 분석하였고, 동질성이 확보된 경우 Two-way ANOVA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s ANOVA)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집단과 12주 시기 간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다. 그러나 집단 내 시기 간 VAS, 정적균형능력 좌·우, 전·후, 그리고 고유감각 운동능력 신체안정성 좌·우, 전·후에서 유의한 평균차이로 개선된 결과를 나타냈으며, 집단 간 12주 후에서 실험집단이 모든 변인에서 유의한 개선 효과가 나타났다.

초등학교 지적장애아동의 자세조절 특성 (A Study of Postural Control Characteristics in Schoolchild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 이형수
    • 재활복지
    • /
    • 제14권3호
    • /
    • pp.225-256
    • /
    • 2010
  • 본 연구는 초등학교 지적장애아동의 자세조절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시각, 안뜰감각 그리고 몸감각을 조합하여, 실험 조건에 따라 자세유지를 위하여 어떤 감각을 활용하고 있는지, 부적절한 감각자극에 대해서 통합시스템에서 어떻게 반응하는지, 외부 동요에 대해 신경근육의 자세조절 전략 시 동원되는 근육의 수축 개시시간과 개시순서를 각각 측정하여, 지적장애 아동의 자세조절 특성을 살펴보고, 나아가 초등학교 지적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분석하여 자세조절능력 향상 프로그램에 적용 시 방향을 제시해주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성별과 연령을 고려하여 초등학교 지적장애아동 26명과 일반아동 26명의 아동으로부터 자세조절능력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자세조절과 감각계와의 관계를 파악한 평형점수와 감각활용 분석, 엉덩관절 전략에 의지하는 자세조절 전략, 근수축 개시지연과 근수축 개시순서의 변화 등을 종합해 볼 때 초등학교 지적장애아동의 자세조절의 문제는 운동시스템, 감각시스템, 통합시스템의 자세조절 시스템 전반에 걸친 총체적인 문제로 나타났다. 따라서 초등학교 지적장애아동의 자세조절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운동시스템, 감각시스템, 통합시스템을 포함하는 포괄적 자세조절 훈련 프로그램의 접근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자세조절 프로그램을 구성할 때, 다양한 감각을 제공하여 주고, 제공된 감각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감각훈련과 함께 고위중추에서 입력된 감각들을 정상적인 자세조절 발달에 활용할 수 있도록 훈련 시켜주어야 한다. 적응 반응을 계획하고 조직화하여 의미 있는 활동을 통해 중추신경계의 처리능력을 향상시키는 치료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한다. 또한 자세조절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는 안정성 한계를 넓힐 수 있는 신경발달학적 치료와 함께, 근골격계에서 빠른 근수축 반응과 효율적인 근수축 개시순서를 유발 할 수 있도록 고유수용성 운동조절 프로그램, 자세반응 촉진 프로그램과 같은 훈련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코어 훈련이 프리스타일 스키 선수들의 배근력, 서전트 점프, Y-자 검사 및 평형감각 조절 능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core training on abdominal muscle strength, sagent lump, Y-balance and equilibrium sensory control in freestyle skiers)

  • 정철;박우영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608-617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8주간의 코어 훈련이 프리스타일 스키 선수들의 배근력, 서전트 점프, Y-자 검사 및 평형감각 조절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하였다. 14명의 프리스타일 선수를 무작위로 운동군 7명과 통제군 7명으로 분류하였다. 훈련군은 8주간의 코어 훈련을 하였고, 통제군은 일반적인 훈련을 하였다. 연구 결과 배근력과 서전트 점프에서 효과를 보였고, 집단 간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Y-자 검사의 경우 좌측 앞쪽에서 효과를 보였고, 좌·우측 좌측 후방 안쪽에서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 종합점수의 경우 운동군은 사전의 좌·우 차이 7.5cm, 사후에서 1.66cm로 감소하였으나 통제군은 사전 3.73cm에서 사후 7.01cm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평형감각 조절 능력에서는 조건 2, 5, 6에서 유의한 효과를 보였으나 집단 간의 차이는 없었다. 결론적으로, 8주간의 코어 훈련은 프리스타일 스키선수들의 자세 조절 능력에서 유익한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뇌성마비 아동의 자세조절 향상을 위한 운동 중재 효과: 체계적 고찰 (Effects of Exercise Interventions on Postural Control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in Korea: A Systematic Review)

  • 박영주;홍은경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46-57
    • /
    • 2016
  • 목적 : 뇌성마비 아동의 자세조절을 향상시키기 위해 국내에서 사용되는 운동 중재의 방법과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체계적 고찰을 사용하여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누리미디어(DBpia),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그리고 한국학술정보(KISS)의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2006년 10월 이후로 게재된 국내학회지를 검색하였다. '뇌성마비', '자세조절', '균형'를 키워드로 검색하여 총 18개의 연구가 연구대상으로 선정되었다. 각 연구는 근거의 질적 수준과 방법론적 질적 수준으로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대상자, 중재, 대조군, 결과에 따라 Patient, Intervention, Comparison, Outcome(PICO)로 분석하였다. 결과 : 본 연구의 분석에 사용된 연구의 근거수준은 수준 I이 8개, 수준 III이 5개, 수준 IV가 2개, 수준 V가 3개이었고, 방법론적 질적 수준은 '우수'의 연구가 가장 많았다. 대상자는 경직형 양하지 마비, 실험설계는 무작위 대조군 실험 연구가 가장 많았다. 분석결과 국내에서 사용되는 자세조절 운동 중재는 뇌성마비 아동의 운동능력과 균형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보였다. 결론 : 국내에서 사용되는 운동 중재는 뇌성마비 아동의 자세조절 능력을 향상시켰다. 앞으로 뇌성마비 아동의 유형별 자세조절 향상을 위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임플란트 저작능에 영향을 주는 신경학적 원인에 대한 고찰 (Discussion of Neurologic Factor Influencing on Chewing Ability of Implant)

  • 김태선;윤준호;김성회;김지환;이재훈;심준성;문홍석;박영범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8권3호
    • /
    • pp.269-276
    • /
    • 2012
  • 임플란트 보철물의 저작능력과 관련되어 다양한 요인들이 존재하며 여기에 관해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대부분의 후향적 연구에서는 임플란트 저작력이 다른 유형의 보철물과 비교해서도 우수한 것으로 결론 내리고 있다. 그러나 임상적으로 임플란트 보철치료 후에 저작능력에 대해 만족하지 못하는 환자들이 간혹 있으며 이러한 저작의 불만족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는 여러 가지 원인들 중 신경학적 원인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한다. Pubmed database에서 Implant chewing ability, masticatory ability 등의 임플란트 저작과 관련된 검색어를 사용하여 검색 후 임플란트 보철물의 저작능력에 관련된 요인들 및 임상과 관련된 논문들을 선택하고 고찰하였다. 저작능력에 관한 정의, 저작능력에 관련된 요인들에 대해 고려하였으며 이러한 요인들 중 신경학적 원인과 관련된 내용을 분석 평가하였다. 치주인대(Periodontal Ligament: PDL)의 기계적감각수용기(Mechanoreceptor)는 저작운동 시 치아로부터 얻은 정보를 뇌간으로 전달하여 저작운동의 조절에 관여한다. 임플란트의 경우 치주인대의 부재로 인해 저작운동 시 저작운동 적응 능력이 떨어지며 특히 딱딱한 음식을 저작 시 이러한 현상이 두드러진다. 저작근, TMD의 mechanoreceptor 또한 저작운동에 관여하기 때문에 치주인대의 기계적감각수용기 부재를 보상할 가능성도 있으며 임플란트 주변 조직에 있는 nerve fiber가 감각능력에 관여할 수 있을 가능성에 대한 보고도 있으니 이에 대한 추가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구강운동촉진기술: 1 부-이론적 배경과 기초 요소 (Oral-Motor Facilitation Technique (OMFT): Part I-Theoretical Base and Basic Concept)

  • 민경철;서상민;우희순
    • 재활치료과학
    • /
    • 제10권1호
    • /
    • pp.37-52
    • /
    • 2021
  • 서론 : 구강 운동 기능은 태아기에서 유년기 발달로 이어지는 감각 탐색, 음식 섭취, 의사소통 표현의 기초가 되는 기능이다. 구강 운동 기능에 문제가 발행하면, 구강 내 음식 처리 어려움, 삼킴 및 섭식기능 저하, 의사소통 기능 감소, 구강 위생 능력 저하 등이 나타난다. 이러한 증상 치료를 위한 구강운동 치료는 구강 내 감각 정상화, 자세 조절, 구강 움직임 증진, 구강 운동 기능 향상을 목표로 제공되는 치료법이다. 본론 : 구강운동촉진기술(OMFT)은 1) 구강 및 안면 근육계의 해부생리학적 이해; 2) 감각·적응·행동·인지의 통합적 접근; 3) 도수적 접근을 통한 감각 및 운동 자극; 4) 운동 조절과 운동 학습 이론에 기초한 구강운동의 4가지 주요 특징을 바탕으로 전반적이고 통합적인 구강 기능 증진을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OMFT는 근거 중심의 새로운 치료 프로토콜로써 아동 및 성인, 신경계 및 근골격계의 구강 기능에 문제를 보이는 모든 이들에게 적용이 가능한 치료 기법이다. 결론 : 본 논문은 OMFT의 개발에 따른 이론적 배경 및 OMFT의 실제적 적용에 따른 기초 요소를 소개하는 것이 목표로, 본 논문을 통해 임상 전문가들이 정확한 이론적 배경과 치료법을 바탕으로 대상자에 맞는 전문적인 치료 제공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Effect of core training on dynamic posture control, lower extremity injury, and joint position sense in ski athletes

  • Jong-Yual Kim;Woo-Young Par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7호
    • /
    • pp.95-102
    • /
    • 2023
  • 이 연구의 목적은 8주간의 코어 훈련이 스키선수의 동적자세조절, 하체 손상 및 고유수용성 관절위치감각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스키선수 20명으로 무작위로 코어 운동군 10명과 통제군 10명으로 분류하였다. 코어 훈련프로그램은 벤치, 사이드웨이 벤치, 프랜크, 사이드 브리지 및 서파인 브리지로 구성하였고, 8주간 주 3회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동적자세조절 검사는 좌·우측 후방안쪽 뻗기에서 유의한 효과가 있었고, 하체 손상 준거 검사는 좌·우측 종합점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또한 고유수용성 관절위치감각은 왼발 15°과 왼발 45°에서 유의한 감소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8주간의 코어 훈련은 스키선수의 동적자세조절 능력, 하체 손상 감소 및 관절위치감각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여대생의 세 가지 균형조절 훈련 효과 비교 (The Effect of 3 Balance Training Programs on Improving Capabilities of Balancing among Some Female Students)

  • 유진호;정선미;박형수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619-629
    • /
    • 2013
  • 이 연구는 20대 여대생들을 대상으로 세 가지 균형조절 훈련(Aqua, Bio-feedback, Trampolin)이 정적 균형 능력과 시각, 전정각, 고유수용감각 등의 감각요소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아쿠아 훈련군(10명), 바이오피드백 훈련군(10명), 트램폴린 훈련군(9명)으로 무작위 할당한 후 각 군별로 주 3회, 회당 30분간의 운동 프로그램을 6주간 진행하면서 3주후, 6주후에 Tetrax portable multiple system을 이용하여 안정성지수를 측정하고, 근전도 중앙주파수값을 이용하여 산출한 근전도 균형점수를 반복측정된 자료의 분산분석 및 Wilcoxon의 부호순위 검정 등을 이용하여 비교 분석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바이오피드백 훈련은 세 가지 감각기능을 고루 향상시키며 아울러 감각기능 간의 협응성 또한 향상시키는 것으로 판단되며, 아쿠아 훈련은 전정기능을 집중적으로 강화시키는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