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감각마케팅

Search Result 79, Processing Time 0.046 seconds

The Myths and Realities of Experiential Marketing (체험마케팅의 허와 실)

  • Chang, Dae Ryun
    • Asia Marketing Journal
    • /
    • v.8 no.2
    • /
    • pp.93-99
    • /
    • 2006
  • 최근 국내외로 각광을 많이 받은 마케팅 개념 중 하나가 바로 체험마케팅이다. 특히 업계에서는 체험마케팅에 대한 많은 관심이 있었기에 체험마케팅의 여러 개념과 적용사례가 부각되고 있다. 본 글에서는 체험마케팅에 관련된 주요 오해가 무엇이고 그 실상이 또한 무엇인지 설명하고자 한다. 체험마케팅의 첫째 오해는 체험마케팅이 획기적인 개념이라는 것인데 사실 체험마케팅의 근원이 되는 소비자 반응의 계층, 감성 마케팅, 그리고 통합마케팅 등은 다른 선행 이론에서 잘 정립되었다. 하지만 체험마케팅의 공헌은 이처럼 분할된 여러 개념을 한 틀 속에 응용할 수 있게끔 체계화시켰다는 점이다. 둘째 오해는 체험마케팅의 뜻이 감각마케팅과 통용된다는 것이다. 체험마케팅의 유수 사례 중에는 오감마케팅만을 강조하는 경우가 많은데 성공적인 체험마케팅을 꾀하는 기업은 소비자의 전체적인 체험의 향상을 지향해야 한다. 셋째 오해는 체험마케팅이 감성마케팅만을 강조하고 이성적 마케팅을 간과한다는 생각이다. 체험마케팅은 실제로 소비자의 상황분석에 근거하여 이성과 감성적 마케팅을 둘 다 포괄하는 접근방식이다. 넷째 오해는 체험마케팅의 개념이 너무 추상적이어서 실무에는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주장이다. 하지만 체험마케팅의 실무적인 프로세스를 충실히 따르면 여러 가지의 마케팅 및 조직상의 긍정효과가 나타난다.

  • PDF

Experiential Marketing Exploratory Study for Application of the Festival (체험마케팅의 축제적용을 위한 탐색적 연구)

  • Lee, ik-su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99-400
    • /
    • 2011
  • 본 연구는 최근 활발하게 연구되어지고 있는 체험마케팅을 중심으로 이론적 내용을 살펴봄과 동시에 지역축제 적용을 위해 요인분석을 통한 축제적용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체험마케팅을 구성하고 있는 요소중 감각마케팅, 감성마케팅, 인지마케팅으로 구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Impact on customer loyalty, store experience (매장에서 체험이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Kim, Mi-Ji;Kim, K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1.06a
    • /
    • pp.373-376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체험마케팅 중에도 감성 마케팅과 관련한 매장 내 환경이나 소비자 관점에 관한 연구는 그리 많지 않은 편이며, 특히 매장에서 경험하는 감각적 요소들이 소비자들의 소비감정과 어떻게 관련되고 소비자 행동 특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한 조사결과 감각, 감성, 관계/행동, 충성도 등을 분석한 결과 제안모델이 매장에서 체험이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이 우수함을 제안하였다.

  • PDF

The Relationships Among the Department Store's Marketing Mix, Experience Factors and Store Attitude (백화점의 마케팅믹스요인, 체험요인 및 점포태도의 관계)

  • Fan, Qing-ji;Kim, Won-Kyum;Cui, Gu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243-246
    • /
    • 2010
  • In this research, the object is to analysis the impact of the four dimensions of Marketing Mix, product, price, place and promotion on store attitude. At the same time as mediating factors of relationship between Marketing Mix and customer attitude, experience factors, such as sense experience, feel experience and think experience are also analyzed. The results show that the promotion has a significant effect on sense experience, and place also has a significant effect on sense experience, feel experience and think experience. Another important result is, experience factors, such as sense experience, feel experience and think experience have significant effect on store attitude.

  • PDF

한기호씨 '마케팅 캠프'를 읽고

  • Yun, Baek-Gyu
    • The Korean Publising Journal, Monthly
    • /
    • s.250
    • /
    • pp.33-33
    • /
    • 1999
  • 이 글은 본지 지난호(제249호)에 실린 한기호씨의 <마케팅 캠프> "문제는 시기 놓치지 않는 발빠른 대응"에 대한 반론이다. 지식문화로서 출판과 자본주의산업으로서 출판의 간극에 서서 어떤 평형감각을 지녀야 할지 생각케 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 PDF

Influence of Marketing Mix on Customer's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Mediating Effects of Customer Experiences- (마케팅믹스요인이 점포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고객체험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 Fan, Qing-Ji;Kim, Won-Kyum;Cui, Gua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0 no.8
    • /
    • pp.292-300
    • /
    • 2010
  • In this research, the object is to analyze the impacts of the four dimensions of Marketing Mix in terms of product, price, place and promotion on store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At the same time the mediating variables such as sense experience, feel experience and think experience in relationship among Marketing Mix and store attitude, customer experiences are also analyzed. The results show that the product, place, and promotion have significant effects on sense experience, feel experience and think experience. Another important finding is customer experiences such as sense experience, feel experience and think experience have significant effects on store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마케팅 메시지로서의 지식: 유비쿼터스 개인지식관리 환경을 중심으로

  • Lee, Gyeong-Jeon;Jeon, Jeong-Ho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6a
    • /
    • pp.86-90
    • /
    • 2008
  • 본 연구는 개인이 이른바 '유비쿼터스 개인지식관리 시스템'을 갖추고 있을 때 발생하게 될 것으로 예상되는 마케팅 메시지로서의 지식의 역할에 대한 개념적 연구를 수행한다. 기존의 마케팅 광고 메시지는 인간의 생물학적인 감각과 인지, 기억 능력에 의존하였기 때문에 반복적이고 자극적이어야만 했다. 그러나 유비쿼터스 환경에서는 UPA(Ubiquitous Personal Assistant)를 활용하여 개인이 소비하는 컨텐트를 이음매 없이(Seamless) 습득, 저장할 수 있게 되며, 이러한 변화는 마케팅과 광고의 방법에도 변화를 가져오게 될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개인지식관리를 통하여 변화되는 마케팅과 광고의 모습을 나타내고자 하며, 이를 위해 시나리오를 제시하고 분석한다.

  • PDF

The Role of Providing Evaluative Criteria of Sensory Attributes on Consumer Preference-Variance and Resistance to Market Information (제품선호도 분산과 시장정보의 저항에 대한 감각속성 평가기준 제공의 역할)

  • 나광진;황윤용
    • Asia Marketing Journal
    • /
    • v.5 no.2
    • /
    • pp.1-18
    • /
    • 2003
  • 본 연구는 소비자의 제품 평가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감각속성에 대하여 이를 평가할 수 있는 평가기준이 주어졌을 경우와 주어지지 않았을 경우 소비자의 선호도가 얼마나 일관적으로 형성되는지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형성된 선호도가 새로 유입되는 불일치 시장정보에 대해 어떠한 저항을 보이는지를 세 가지 유형의 시장정보를 통해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감각속성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기준 정보가 주어진 경우 소비자들의 감각속성에 대한 지각이 제시된 평가기준을 활용하여 유사하게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대상에 대한 선호도의 분산이 감각속성에 대한 평가기준을 제시하지 않았을 때보다 작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감각속성에 대한 평가기준이 제시되는 집단이 평가기준이 제시되지 않은 집단보다 평가기준을 활용함으로써 판단에 대한 확신을 가지게 되어 이후에 제시되는 불일치 시장정보에 대해 보다 저항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