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갈변화

검색결과 165건 처리시간 0.028초

간장의 저장 중 갈색화반응에 대한 산소의 영향 (Effect of Oxygen on the Browning of Soy Sauce During Storage)

  • 박승규;한창근;경규항;유양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07-311
    • /
    • 1990
  • 간장의 갈변에 산소가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발효숙성이 종료된 직후 여과한 생간장에 환원당(포도당, 자일로오스)과 아미노산(글리신)을 첨가한 것과 이들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시료를 호기적 조건과 혐기적 조건에서 저장($30^{\circ}C$, 150일)하면서 갈색화반응의 차이를 관찰하였던 바 호기적 조건에서는 혐기적 조건에서보다 약 2.5배(단, 자일로오스 첨가구는 약 1.5배)의 갈변이 일어났다. 간장을 $30^{\circ}C$에서 30분간 열처리하고 저장하였을 때는 가열하지 않았을 때에 비해 초기갈변값이 약 10%정도 증가하였을 뿐 저장시험기간 동안에 열처리 유무가 갈변에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따라서 상업적으로 양조한 간장에서는 미생물이나 효소 등에 의한 생물학적인 갈변은 중요하지 않았다.

  • PDF

명태건조방법에 따른 갈변화 관련 물질의 변화 (Effects of Different Drying Methods on Fatty Acids, Free Amino Acids, and Browning of Dried Alaska Pollack)

  • 최희선;김종환;김재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9호
    • /
    • pp.1182-1187
    • /
    • 2007
  • 건조된 명태들은 전반적으로 다가불포화지방산이 감소하고 단일불포화지방산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주기적인 자연냉동과 해동을 반복하면서 건조된 명태(미숙성황태)를 장기간 숙성하여 완성한 황태의 지방산 조성은 북어나 미숙성황태와 비교해 볼 때, 원료시료(명태)간의 차이를 감안하더라도 특징적인 차이를 보였다.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도 황태가 북어나 미숙성황태보다 낮게 나타나 불포화지방산과 유리아미노산의 반응에 의한 점진적인 갈변화 현상을 설명해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황태의 수용성 갈변물질은 주로 숙성단계에서 많이 형성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한외여과 농축유로 제조한 모짜렐라 치즈의 품질에 관한 연구 (The Quality of Mozzarella Cheese Made by Concentrated Milk from Ultrafiltration)

  • 송광영;서건호;이시경;한송이;김명희;김송희;목보람;윤여창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907-913
    • /
    • 2011
  • 본 연구는 한외여과기법이 모짜렐라 치즈의 갈변화, 지방분리, 신전성 그리고 용융성에 미치는 영향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외여과로 농축한 우유로 제조한 UF-모짜렐라 치즈의 갈변화, 지방분리, 그리고 신전성은 모두 원료유의 지방함량, 모짜렐라 치즈 제조 시의 스타터와 렌넷 첨가량, 완성된 모짜렐라 치즈의 굽는(baking) 온도에 따라서 많은 영향을 받았다(p<0.05). 갈변화와 지방분리는 굽는 온도가 높고 저장기간이 길수록 증가하여 바람직하지 않았고, 신전성은 온도가 올라갈수록 향상되었지만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서 감소하였다(p<0.05). 용융성은 지방함량, 농축계수, 저장기간에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본 연구에서 한외여과기술로 처리된 UF-치즈유를 모짜렐라 치즈 제조에 사용하여도 기호성에 적절한 기능성 특성을 가지고 있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마늘의 마이크로웨이브 추출 특성과 갈변억제 효과 (Extraction Characteristics and Browning Inhibitory Effects of Fresh Garlic by Microwave-assisted Extraction)

  • 강덕순;정승원;권중호;김현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91-297
    • /
    • 2000
  • 마늘을 MAE방법에 의하여 물과 에탄올로 추출한 후 기능성과 갈변억제 효과를 비교하였다. 에탄올, 물 추출물의 수율은 5분 동안 추출한 경우 각각 12.9% 및 12.7%이었고 추출시간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며 비교적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Polyphenol 함량은 5분 추출물이 각각 574.3mg% 및 569.0mg%로 가장 높았다. 에탄올과 물 추출물의 전자공여작용은 20분 추출물의 경우 각자 17.0% 및 20.7% 수준으로 가장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아질산염 소거작용은 pH 1.2일 때 5분 동안 추출한 추출물이 각각 98.9% 및 99.7%로 가장 높았으며 pH가 증가할수록 효과가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 저해 효과는 물 추출물의 경우 5분 추출물이 83.1%로 가장 높은 것에 비해 에탄올 추출물은 87.1%로 20분 동안 추출 하였을 때 그 값이 제일 높았다. Tyrosinase 저해효과는 물 및 에탄올 추출물 모두 30%이하로 매우 낮은 효과를 나타내었으나 15분 에탄올 추출물은 60%이상의 값을 나타내었다. 이들 물과 에탄올 추출물에 대해 0.1% ascorbic acid, citric acid 및 cysteine으로 10일 동안 갈색 억제 효과를 측정한 결과 모든 처리구에 비해 0.1% cysteine이 가장 높은 갈변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0.1% ascorbic acid는 cysteine보다는 낮은 갈변 억제 효과를 보였으며 0.1% citric acid는 대조구와 비슷한 갈변화 진행을 나타내었다. 갈색화 억제 상승 효과는 0.1% cysteine과 ascorbic acid를 첨가한 실험구가 citric acid를 첨가한 실험구에 비해 효과적인 갈색화 억제를 나타내었다.

  • PDF

시장성이 없는 품질의 갈변 표고버섯(Lentinus edodes)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tive Activity of the Extracts from Browned Oak Mushroom (Lentinus edodes) with Unmarketable Quality)

  • 강미영;김설이;윤혜정;남석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648-654
    • /
    • 2004
  • 갈변된 표고버섯을 건강기능성 식품산업의 소재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하는 일환으로서 갈변된 표고버섯의 생리활성을 항산화 활성을 지표로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DPPH 라디칼에 대한 전자공여능과 superoxide radical 및 hydroxyl radical에 대한 소거활성, 그리고 linoleic arid 자동산화반응에 대한 억제활성을 조사하여 각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갈변 표고버섯의 전자공여능은 생 표고버섯보다 추출방법에 따라 2-4배 정도 높았지만, 건조 표고버섯보다는 높거나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Superoxide radical에 대한 소거활성도 DPPH에 대한 전자공여능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는데, 갈변 표고버섯의 소거활성은 생 표고버섯보다 2배 정도 높았다. 또한 이와 같은 갈변화에 따른 superoxide radical 소거활성의 증가는 직접적인 radical 소거작용의 결과일 가능성이 제시되었다. Hydroxyl radical 소거활성의 경우, 추출방법에 관계없이 소거활성은 갈변 표고버섯 > 건조 표고버섯 > 생 표고버섯의 순서로 낮아졌으며, superoxide radical 소거작용과 마찬가지로 시료가 직접적으로 hydroxyl radical을 소거했을 가능성이 암시되었다. Linoleic acid 자동산화반응을 이용한 지질과산화에 대한 억제활성을 측정한 결과, 전반적으로 70% 에탄올추출물의 활성이 열수추출물보다 높았고, 억제활성도 갈변 표고버섯 > 건조 표고버섯 > 생 표고버섯의 순서로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는 상품성을 상실한 갈변 표고버섯이 건강기능성을 지향한 다양한 가공식품의 개발을 위한 적절한 소재임을 보여주었다.

L-Ascorbic acid 가열갈변물질의 항산화성 (Antioxygenic Effects of Browning Reaction Product Obtained from L-Ascorbic Acid Solution)

  • 유병진;장미화;정인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622-626
    • /
    • 1991
  • 2M의 AsA용액을 $85^{\circ}C$에서 일정시간 갈변반응시켜서 생성된 갈변물질의 항산화성을 조사하였다. pH를 조절치 않고 가열한 AsA용액(pH2.30)의 갈변반응물질은 AsA를 첨가치 않은 것에 비해 약간의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고 가열시간에 따라서 항산화력의 차이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며, AsA의 잔존량이 항산화력의 세기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2M의 AsA용액의 pH를 2.3, 4.0, 7.0, 9.0 및 11.5로 조절한 뒤 $85^{\circ}C$에서 15시간 가열시켜 생성된 갈변물질 중에서 pH2.3, 4.0의 경우는 항산화 효과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며 환원력과 AsA 잔존율은 높았으나 갈변도는 낮았다. 반면 pH7.0, 9.0 및 11.5의 경우는 매우 강한 항산화성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 AsA 갈변용액은 환원력과 AsA 잔존율은 낮았으나 갈변도는 높았다. AsA용액을 pH7.0으로 조절한 후 $85^{\circ}C$에서 0, 3, 5, 10, 15 및 25시간 동안 갈변시켜 얻은 갈변물질의 항산화성은 가열시간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 PDF

고려인삼(高麗人蓼) 갈변물질(褐變物質)의 항산화효과(抗酸化效果) (Antioxidant Activity of Panax Ginseng Browning Products)

  • 김상달;도재호;오훈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4권3호
    • /
    • pp.161-166
    • /
    • 1981
  • 홍삼(紅蔘)의 특징(特徵)이라고 할 수 있는 갈색화반응(褐色化反應)에 의(依)해서 생성(生成)된 갈변물질(褐變物質)의 항산화효과(抗酸化?果)와 여러가지 기본적(基本的)인 성질(性質)을 조사(調査)하였다. 인삼(人蔘) model system을 이용(利用)하여 갈변반응(褐變反應)을 시킨 결과(結果) 갈색도(褐色度)는 반응시간(反應時間)에 비례(比例)하여 증가(增加)하였으나 항산화효과(抗酸化?果)는 반응시간(反應時間) 17시간(時間)까지 갈색도(褐色度)에 비례(比例)하여 증가(增加)하였으나 그 이후에는 일정(一定)한 level을 유지하였다. 증삼시간별(蒸蔘時間別)로 실제(實際) 홍삼(紅蔘)을 제조(製造)하여 갈색도(褐色度) 및 항산화능(抗酸化能)을 조사(調査)한 바 model system에서 얻은 결과(結果)와 유사(類似)하였다. 투석(透析)에 의해서 분리(分離)된 인삼갈변반응물질(人蔘褐變反應物質)은 외액(外液)이 내액(內液)보다 갈색도(褐色度)가 낮았지만 더 강(强)한 항산화효과(抗酸化效果)를 보였다. 인삼갈변물질(人蔘褐變物質)을 Amberlite 이온교환수지(交換樹脂)를 사용(使用)하여 3개의 peak로 분리(分離)하였으며 유출(流出)차례에 따라 fraction I, II 및 III으로 명명(命名)하였다. 가장 갈색도(褐色度)가 강(强)한 fraction II는 전체(全體) peak의 80.7%로 강(强)한 항산화효과(抗酸化效果)를 나타냈으며 Somogyi-Nelson시약(試藥)에 대(對)하여 환원능(還元能)을 보였고 ninhydrin반응(反應)에 양성(陽性)이었다. 인삼갈변반응물질(人蔘褐變反應物質)과 백삼(白蔘) 및 홍삼(紅蔘)의 75% ethanol 추출물(抽出物)이 DPPH에 대(對)한 수소공여성(水素供與性)을 측정(測定)한 바 백삼(白蔘)은 수소공여성(水素供與性)이 거의 없었으나 홍삼추출물(紅蔘抽出物)은 수소공여성(水素供與性)이 강(强)하였다. 특히 인삼갈변반응물질(人蔘褐變反應物質)은 5mg/ml의 농도(濃度)에서 BHA와 같은 level의 수소공여성(水素供與性)을 나타냈다.

  • PDF

당(糖), 아미노산(酸) 및 무기질소화합물(無機窒素化合物)이 인삼갈변촉진(人蔘褐變促進)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Sugars, Amino acids and Inorganic Nitrogenous Compounds on the Acceleration of Browning in Ginseng)

  • 도재호;김상달;오훈일;홍순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5권3호
    • /
    • pp.161-165
    • /
    • 1982
  • 홍삼갈변(紅蔘褐變)의 적합(適合)한 촉진방법(促進方法)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인삼(人蔘)에 당(糖), amino산(酸) 및 무기질소화합물(無機窒素化合物)을 처리(處理)한 결과(結果) 당류중(糖類中)에서는 maltose와 glucose가 가장 강(强)한 갈변축진작용(褐變促進作用)을 나타내었다. amino산(酸)은 basic amino acid인 lysine, histidine, arginine이 가장 크게 촉진(促進)했으며 당(糖)과 amino산(酸) 혼합처리(混合處理)에서는 glucose와 glutamic acid 혼합처리구(混合處理區)가 가장 크게 촉진(促進)되었다. Glucose농도별(濃度別) 처리시(處理時)의 갈변촉진효과(褐變促進?果)는 glucose농도(濃度)가 증가(增加)함에 따라 갈변(褐變)이 촉진(促進)되었으며 무기질소화합물중(無機窒素化合物中)에서는 $urea>(NH_4)_2HCO_3>CH_3COONH_4$등의 순(順)으로 갈변(褐變)이 촉진(促進)되었다.

  • PDF

수분활성도(水分活性度)가 분유(粉乳)의 비효소적(非酵素的) 갈변(褐變)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Water Activity on the Non-Enzymatic Browning Reaction of Dry Milk)

  • 장규섭;장영일;천기철;이성구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8권4호
    • /
    • pp.261-270
    • /
    • 1985
  • 수분활성도(水分活性度)가 분유(粉乳)의 비효소적(比酵素的) 갈변반응(褐變反應)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밝히기 위(爲)하여 전지분유(全脂粉乳)와 탈지분유(脫脂粉乳)를 각각(各各) $55^{\circ}C$에서 저장(貯藏)하면서 이때 발생(發生) 또는 소멸(消滅)되는 $O_2,\;CO_2$$H_2O$를 Gas Chromatograph에 의해 측정(測定)하였고. Maillard 반응(反應)에 의해서 생성(生成)된 갈색화(褐色化) 정도(程度)는 Reflective Spectrophotometer로 측정(測定)하였으며, 저장기간(貯藏期間)에 따른 $O_2,\;CO_2$, 갈변화(褐變化)의 관계(關係)를 회귀(回歸) 방정식(方程式)으로 얻었다. 즉, 저장기간(貯藏期間)동안 수분활성도(水分活性度)가 0.4 이상(以上) 갈변물질(褐變物質)과 이취생성(異臭生成)도 증가(增加)하였으며, 전지(全脂) 및 탈지분유(脫脂粉乳) 모두 수분활성도(水分活性度)가 0.33과 0.44사이에서는 큰 변화(變化)를 나타내지 않았다. Carbonyl-amine 반응(反應)에 의해 일어나는 갈색화(褐色化)는 탈지분유(脫脂粉乳)보다 전지분유(全脂粉乳)가 높았으며, 효소(酵素)는 갈색(褐色)과 이취(異臭)가 증가(增加)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 PDF

시장성이 없는 갈변 표고버섯 (Lentinus edodes) 추출물의 생리활성 검정 (Screening of Physiological Functionality for Unmarketable Browned Oak Mushroom (Lentinus edodes))

  • 강미영;김설이;윤혜정;남석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7권4호
    • /
    • pp.396-402
    • /
    • 2004
  • 갈변표고버섯을 건강기능성 식품산업의 소재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하여 환원력과 세포 내 활성산소종에 대한 억제효과, 페놀화합물 및 피틴산의 함량, 대식세포의 NO 라디칼과 matrix metalloproteinase9(MMP9) 생성에 대한 제어작용 및 항변이원성을 생리활성의 지표로 갈변반응이 건강기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에탄올추출물의 환원력이 열수추출물보다 전반적으로 우수하였으며 3.32 mg/ml 농도에서 갈변반응은 표고버섯의 환원력이 28%까지 증가시켰다. 갈변과정에서 페놀화합물의 함량은 생표고버섯에 비하여 73%정도 증가된 반면, 피틴산의 함량에 유의한 변화는 일어나지 않았다. 표고버섯 에탄올추출물의 처리는 $100\;{\mu}g/ml$의 시료농도에서 LPS 자극에 의한 대식세포의 NO 생성을 43% 이상 증진시킨 반면 열수추출물은 오히려 17%이상 억제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갈변반응이 용매별 추출분획의 NO 및 MMP9의 생성을 제어하는 경향에 변화를 일으키니 않았다. 또한 SOS chromotest를 이용한 항돌연변이 활성의 측정 결과도 mitomycin C가 유발한 돌변변이에 대한 표고버섯 추출물의 억제효과에 갈변반응이 큰 영향을 주지 않았다. 이상의 실험 결과는 상품성을 상실한 갈변표고버섯도 다양한 건강기능성 가공식품의 개발을 위한 원자재로 소비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