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간호 직무표준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3초

간호관련인력별 직무표준 설정에 관한 연구;간호사와 간호조무사를 중심으로 (A Study on Standards Development for Nursing Practice)

  • 송미숙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223-245
    • /
    • 1995
  • The study was performed to develop standards for nursing practice. The quality and quantity of medical services, including nursing services, has been determined to date by the availability of providers rather than by the actual needs of the patients. In fact, there has been a serious gap between expected and actual servces. In order to provide high quality nursing services and to enhance professional status, the nursing profession should define their practice in a measurable way and identify the client outcomes to which they contribute. Therefore,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the three phases as follows : (1) Evaluation of current nursing practices and environment, and analysis of actual patient needs, by means of questionnaires. (2) Literature review to define the nature, purpose, and standards of professional nursing practice. (3) Expert group's modification of existing standards by integrating the results of first two phases. As a result, standards for each area of nursing practice were developed, such as shown in Table 3 and Table 4. However, these standards must receive ongoing attention by the profession to assure that they remain current and reflect advances in nursing knowledge and clinical technology.

  • PDF

팀간호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The Influence of factor on team nursing system)

  • 이정란;함승우;김은엽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2부
    • /
    • pp.837-840
    • /
    • 2010
  • 본 연구는 급변하는 의료환경에 대비하여 간호의 질 향상 및 증진을 통한 환자 만족도 증진을 위해 간호전달체계를 기능적 간호방법에서 팀간호제 방법으로 전환을 하면서 이에 따른 간호활동 및 직무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간접간호 수행률 조사를 살펴보면 기록간호, 확인업무, 물품관리, 간접소통, 전달 업무 등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영양간호, 전적인 식사보조 등은 간호직무만족도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사 직무만족도는 어려움이 있을 때 동료나 상사에게 의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간호, 화재예방 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사 업무성과 병동의 시설과 기구를 적절히 관리한다. 간호사 업무성과, 환자에게 적절한 휴식 및 안정을 위한 간호를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간호사들이 역할을 명확히 규명하고 세분화하여 이를 수행하는 직무내용을 명확하게 파악하고 작업표준 지침서를 작성하여 활용한다면 간호사들의 자가 관리 증진은 물론 환자와 보호자에게도 만족감을 높여 줄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며, 이를 통한 다양한 팀제 운영이 될 것이라 생각된다. 또한, 향후 다양한 업무 개선 활동이 가능할 것이라 생각된다.

  • PDF

서울시내 산업간호사의 업무수행과 직무만족, 지식과의 관계

  • 조원정;강해신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1권호
    • /
    • pp.30-51
    • /
    • 1991
  • 본 연구는 산업간호사가 수행하는 산업간호업무 수행실태를 파악하고 업무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직무만족도와 지식의 측면에서 조사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 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방법은 1991년 4월 26일 부터 5일 3일까지의 총 8일간 서울시내에 소재하고 있는 사업체의 산업간호사 77명을 대상으로 연구자와 조사자 1명이 직접방문을 하여 자료수집 하였다. 자료는 SPSS를 이용하여 전산처리 하였다. 실수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구하였으며,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OVA 분석방법올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산업 간호업무 수행 정도는 근로자건강관리업무 중의 통상질환관리 업무를 대상자의 97.6%가 실시하여 수행정도가 가장 높았고, 가장 수행정도가 낮은 업무는 근로자복리중 진업무로 대상자의 40.2%만이 실시하고 있었다. 산업환경위생관리업무(실시율 45.5%), 직업병 관리업무(실시율 43.1%), 산업보건교육업무(실시율41.5%)로 역시 낮은 실시율을 보였다. 2. 산업간호사 직무만족도는 최대가능점수 240점에 대하여 점수 143.8점이며 최대평점 5점에 평점 3.0으로 나타났고 상호작용, 전문적위치, 자율성면에서 3.4점으로 높았으며 보수에 관한 만족도는 평점 2.3으로 가장 낮아 산업간호사들이 보수에 대해 불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산업간호사의 산업간호업무 관계지식정도는 최대가능점수 21점에 대하여 점수 17.9점을 나타내었다. 영역별로 가장 많이 알고 있는 지식은 건강관리실운영업무 관계지식으로 정확하게 알고있는 사람이 63명으로 전체의 81.4%이었고, 가장 낮게 알고 있는 지식은 산업환경위생관리 업무 관계지식으로 정답자는 42명(54.2%)이었다. 4. 산업간호업무 수행정도와 직무만족도 및 지식정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본 결과 직무만족도가 높을수록 업무수행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r=.3010, P<.01), 업무수행정도와 지식정도 역시 순상관관계 (r=.2591, P<.05)가 있음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지식정도가 높을수록 업무수행정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직무만족도와 지식정도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연구에서 나타난 산업 간호사의 업무수행은 통상질환관리 위주의 업무로서 직업병 예방, 산업보건교육, 산업환경위생관리 업무등에는 수행이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업무수행과 직무만족도 및 지식정도는 순상관관계가 있어 직무만족도와 지식정도가 높을수록 업무수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보험심사 전문 간호사의 직무표준 개발 (The Development Job Standards for Advanced Health Insurance Review Nurses)

  • 황혜영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64-274
    • /
    • 2009
  • Purpose: This study is to develop job standards in order to propose proper job level of the advanced nurse practitioners and apply the results to the work and enhance the expertism. Method: This study is a methodical study. The validity was examined by using the content validity index(CVI). Result: The pre-items of job standards for advanced health insurance review nurses were established and the final job standards comprising of 12 standards, 46 criteria, 92 indicators, 418 activities were determined after the examination by the advisory group. The validity of the job standards were examined for two times by the seven professionals. The relevance of the modified job standards was examined by the working level employees above the assistant manager position working in the general hospitals and the result was 93.14% relevance. The job standards comprising of 12 standards, 46 criteria, 89 indicator and 409 activities were developed. Conclusions: By the development of the job standards, it is expected to prove that advanced health insurance review nurses are the most suitable professionals for dealing with medical affairs such as management and propriety evaluation of medical expenses while defining the roles of advanced health insurance review nurses.

  • PDF

첫 임상실습이 간호대학생의 전문직관, 역할갈등,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Change in the Nursing Professionalism, Role Conflict and Job Satisfaction of the Nursing Students before and after their first Clinical Experience)

  • 박은희;황란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호
    • /
    • pp.593-601
    • /
    • 2017
  • 본 연구는 간호학생이 첫 임상실습을 경험한 후 달라진 전문직관, 직무만족, 역할갈등의 변화를 파악하며 간호학생의 임상 실습교육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자고 시도되었다. 첫 임상실습 후 간호학생의 전무직관(t=-2.184, p=.031), 직무만족(t=-2.068, p>.001)은 상승하였다. 그러나 부정적 요소인 역할갈등(t=-3.729, p>.001) 역시 상승하였다. 즉, 간호학생은 첫 임상실습을 통해 예비간호전문인으로서 바른 전문직관을 세우고 자신의 업무에 대해 만족감을 느꼈다. 그러나 간호학생은 첫 임상실습을 통해 임상에서의 현실적인 간호사 역할을 경험한 후, 오히려 심각하게 자신의 미래 직업에 대한 고민을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역할갈등의 하부영역 중 개인 내 갈등(t=-3.729, p>.001), 역할모호성(t=-5.720, p>.001)에서 심각한 갈등을 느끼므로, 간호학생을 위한 업무기준과 직준표준안 마련에 대해 간호교육계 및 임상실무 현장 전반에 걸쳐 논의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임상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Relations on Communication Competence, Job-stress and Job-satisfaction of Clinical Nurse)

  • 이애경;여지영;정성원;변상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2호
    • /
    • pp.299-308
    • /
    • 2013
  • 목적 본 연구는 임상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과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 수준을 확인하고 그 차이와 관계를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방법 서울과 경기지역의 임상간호사 209명을 대상으로 대인 의사소통능력 척도(GICC), 간호직무스트레스척도, 간호사 직무만족도구를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상관분석 및 t-test, ANOVA를 SPSS 16.0 program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임상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 평균은 3.30(${\pm}0.43$)이며, 임상간호사가 느끼는 직무스트레스 평균은 2.90(${\pm}0.33$), 직무만족도 평균은 3.01(${\pm}0.30$)이었다. 의사소통능력과 직무스트레스(r=-.247, p<.001) 그리고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r=-.215, p=.002)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의사소통과 직무만족도(r=.248, p<.001)간에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제시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를 대상으로 의사소통능력이 현재의 직무스트레스 및 직무만족도와 관련성이 있음을 규명하여 임상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만족도를 높이는 효율적 인력 관리를 위한 방안으로서 의사소통능력의 활용가능성과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가정간호를 위한 간호과정 정보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Nursing Process Information System for the Home Health Care)

  • 조현;강인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1126-1132
    • /
    • 2009
  • 본 연구는 가정간호사의 표준간호중재를 개발하여 이를 근거로 각각의 진단과 연결된 중재를 분류하고 프로토콜을 전산화하여 사용함으로써 의료기관간, 또한 의료인간의 격차를 없애고 서비스의 질 개선에 도움을 주고자 시행하였다. 연구방법은 크게 가정간호 표준중재 개발과정과 개발된 가정간호 표준중재 프로토콜을 전산화하는 과정으로 나누었는데, 가정간호 표준중재를 개발하기 위하여 먼저, 국내외 가정간호사의 직무분석, 대상자 사정 프로토콜 개발, 대상자 진단 프로토콜 개발, 대상자 중재 프로토콜 개발의 4가지 연구내용으로 구성하였다. 개발된 가정간호 표준 중재 프로토콜을 전산화하는 과정으로, 크게 가정간호 정보시스템을 위한 전략수립과 가정간호 정보시스템의 분석, 설계, 운영 및 평가 등의 4개 연구내용으로 구성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P시에서 가정간호사업 실시 기관에 근무하는 가정간호사를 대상으로, 가정간호 정보시스템 매뉴얼을 사용하여 직접 시범, 교육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표준 가정간호중재에 속하는 구성요소를 가정간호정보조사지, 가정간호경과기록지, 가정간호경과요약서, 가정간호종결 요약서 양식에 포함될 수 있도록 개발하였으며, 표준 가정간호중재가 개발됨으로써 가정간호사업부서 간의 정보교환이 용이하고 기록의 누락 및 중복을 막을 수 있으며 EMR, HMR 개발시 병원용어의 표준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호스피스간호사의 역할수행 정도와 직무만족도 (Role accomplishment and job satisfaction of hospice nurse)

  • 한형숙;최화숙
    • 호스피스학술지
    • /
    • 제8권1호
    • /
    • pp.29-48
    • /
    • 2008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호스피스간호사의 역할수행정도와 직무만족도를 파악하고, 역할수행정도와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데 있다. 방법: 자료수집은 전국 53개 기관에서 6개월 이상 근무하고 있는 189명의 호스피스 간호사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기기입식으로 2007년 10월부터 11월 사이에 시행하였다. 역할수행정도 측정도구는 Riehl의 간호역할을 기초로 유은광(1979)이 고안한 도구와 최화숙 등(2005)의 연구를 바탕으로 8개의 영역으로 구성하여 만들었으며, 이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alpha$=.963 이었다. 직무만족도는 Slavitt et al.(1978)의 도구와 박정순(1994)의 연구도구를 수정·보완하여 6개의 영역으로 구성하였으며, 이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alpha$=.881이었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해 SPSS 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등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대상자는 모두 여자였으며 연령은 20~29세군이 33.3%로 많았고 평균 나이는 36.7세이었다. 87.8%가 종교를 갖고 있었으며 59.3%가 병동형에서 근무하고 있었다. 대부분 근무기관에 호스피스 팀 구성이 되어 있었으며, 호스피스·완화간호 경력은 1년 이상~5년 미만이 57.7%로 많았고, 호스피스·완화교육은 호스피스간호 교육이수(12개월 이내)가 58.7%이었다. 대상자의 근무 중 가장 큰 어려움으로는 환자와 가족의 간호 28.8%, 의료제도 등의 환경장애 23.6%, 낮은 보수 15.3%, 역할의 모호성 13.1% 등 이었다. 호스피스간호사의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해 개선할 사항에 대한 의견으로는 전문가적 위치 및 존중 33.1%, 업무여건 개선 23.2%, 보수 인상 22.4%, 행정적 지원 11.8% 등 이었다. 대상자의 역할수행정도와 직무만족도는 각각 3.53점, 3.39점이었다. 호스피스간호사의 역할수행은 옹호자, 실무전문가, 조정자(협동), 교육자, 질 관리자, 상담자, 행정가, 연구자 순으로 수행하고 있었다. 직무만족도는 전문가적 위치에 대한 만족, 상호작용에 대한 만족, 직무자체에 대한 만족, 행정적인 측면에서 만족, 자율성에 대한 만족 순이었고, 보수에 대한 만족이 가장 낮았다. 대상자의 역할수행정도는 연령, 기혼여부, 학력과 직위에 따라, 조정자 역할 여부, 호스피스 전담 여부, 호스피스완화간호 경력과 호스피스·완화간호교육 정도에 따라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p<.05). 직무만족도는 연령 증가, 호스피스 팀 구성 직종 수에 따라, 조정자 역할 여부, 호스피스 전담 여부, 호스피스·완화 간호교육 정도, 근무를 가능한 오래하고 싶어 하는 대상자에서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p<.05). 대상자의 역할수행정도와 직무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순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r=.541, p<.01). 결론: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호스피스간호사 개인과 전문직의 발전을 위해서는 연구하며 일하는 자세와 모든 역할수행에서 적극적이고 창조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그리고 보수에 대한 낮은 만족도에도 불구하고 전체적인 만족도가 높은 것은 업무수행에 있어서의 만족과 호스피스.완화의료서비스에 대한 가치에서 많은 만족을 얻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향후 호스피스간호사의 보수에 대한 개선이 시급함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하겠다.

  • PDF

대학병원간호사의 자기효능감, 업무수행능력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A Study on The Influence Factors of Self-Efficacy, Job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of University Hospital Nurses)

  • 김미영;이혜경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726-736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병원간호사의 자기효능감, 업무수행능력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은 C시에 소재한 대학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13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을 이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자기효능감은 5점 만점에 평균 3.24점, 업무수행능력은 5점 만점에 평균 2.74점, 직무만족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10점으로 나타났다. 자기효능감, 업무수행능력, 직무만족도과의 관계는 정적상관관계가 있었다.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자기효능감(${\beta}=.39$, p<.001), 30~34세의 연령(${\beta}=-.27$, p=.001), 근무부서 중 수술실(${\beta}=-.17$, p=.029), 내과병동(${\beta}=-.17$, p=.025), 미혼(${\beta}=-.20$, p=.012)순이었고, 모형의 설명력은 30.4%이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병원간호사의 자기효능감, 연령, 근무부서 등을 고려한 직무만족도를 증진시키기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