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간호중재 목록 개발

Search Result 6, Processing Time 0.019 seconds

International Comparison of Nursing Interventions Performed by Neurologic and Orthopaedic Nurses (신경기계와 정형외과 근무간호사의 간호중재에 대한 국제적 비교)

  • Lee, Eunjoo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 /
    • v.13 no.4
    • /
    • pp.517-528
    • /
    • 2001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 아이오와 대학에서 개발된 Nursing Interventions Classification (NIC)을 사용하여 신경기계 병동과 정형외과 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이 가장 빈번히 수행하는 간호중재를 파악함으로서 이러한 부서의 간호중재 리스트를 개발하는데 있다. 그리고 확인된 간호중재의 리스트를 미국 간호협회의 핵심 간호중재 목록과 비교함으로써 양국간의 간호중재의 유사성과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한국간호의 발전을 도모하는데 있다. 방법: 8개의3차병원 및 종합병원 근무하는 간호사에게 NIC을 번역하여 소개한 뒤 가장 자주 수행하는 간호중재 30개를 선택하게 하였다. 선택된 간호중재는 빈도와 백분율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미국의 핵심간호 중재목록과 영역(domain)별, 분류군 (class)별로 비교하였다. 결과: 신경기계 병동은 30개의 간호중재를 정형외과 병동은 34개를 핵심간호중재로 확인하였다. 한국과 미국의 간호중재를 비교해본 결과 신경기계 병동의 간호중재와 미국American Association of Neuroscience Nurses (AANN) 의 핵심간호중재 목록과는 단지 5개의 간호중재가 일치하였지만 정형외과 병동의 간호중재목록은 미국의 National Association of orthopaedic Nurses (NAON) 의 핵심중재목록과 27개의 간호중재가 일치되어 더 많은 유사성을 나타내었다. 두 나라의 간호중재를 영역(domain)별로 비교해보면 한국 간호사의 간호중재는 미국간호단체의 핵심간호 중재 목록보다 신체적 간호에 보다 많은 편중을 보였다. 결론: 한국간호사의 간호중재가 신체적 간호중재에 집중되어 있으므로 환자간호에 보다 전인적인 간호중재가 수행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핵심 간호중재 목록은 병원의 간호정보시스템을 개발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간호지식의 확장이나 staffing, 간호 수가화,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간호의 효과성 연구를 자극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Development of Nursing Intervention List - Caregiver Support : Soobal - (돌봄제공자 지원 : 수발발간호중재 목록 개발 - 뇌졸중을 중심으로 -)

  • 안수연;염영희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
    • v.29 no.3
    • /
    • pp.518-529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evelop a nursing intervention list for family caregivers. The specific steps were as follows : 1. Analyze the concept, Soobal,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case observation. 2. Generate an initial list of defining activities for ‘Caregiver Support : Soobal’. 3. Validate the defining activities. 4. Complete the final list of defining activities. A two-round Delphi questionnaire with an adaptation of Fehring's methodology was used to establish the content validity of intervention, Caregiver Support : Soobal. The definition of ‘Caregiver Support : Soobal’ was provision of the necessary information, advocacy, and support to facilitate primary patient care by someone other than a health care professional in Korean traditional manners. Ten nurse experts participated in Round I and II of this study. They were asked to rate activities that examplified the interventions on a scale of 1 (activity is not at all characteristic) to 5 (activity is very characteristic). Round I contained 15 ‘critical’ activities and 10 ‘supporting’ activities, while round II contained 16 ‘critical’ activities and 6 ‘supporting’ activities. No activities were considered to be ‘nonsupporting’ in both round I and II. Finally, the definition and 25 defining activities were developed. Intervention, Caregiver Support : Soobal, attained an ICV score of .82. This study provides a protocol model to develop Korean nursing interventions.

  • PDF

The Convergent Development of Nursing Activity Index for postoperative patient using Patient Controlled Analgesia (자가통증조절기를 사용하는 수술 후 환자를 위한 간호 활동 목록의 융합적 개발)

  • Lee, Yoon-Young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7 no.5
    • /
    • pp.43-49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done to develop a nursing activity index for postoperative patient using Patient-controlled Analgesia(PCA). The study was developed in two steps: $1^{st}$ step) nursing activity index was develop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focus-group interview. $2^{nd}$ step) the nursing activity was ratified and Intervention Content Validity(ICV) was tested. Subjects were consisted of 5anesthesiologists, 6adult/fundamental nursing professors and 1acute pain management Clinical Nurse Specialist. We identified 12 items of nursing activity for postoperative patient using PCA. The Intervention Content Validity(ICV) score for each item ranged from 0.92 to 1.0. The nursing activity index for postoperative patient using PCA would be very useful in facilitating the nursing practice.

Development of an Intervention List for Family Nursing Care (가족간호를 위한 중재목록 개발)

  • Kim, Young-Im;Kim, Hee-Gerl;Jung, Hye-Sun
    • Research in Community and Public Health Nursing
    • /
    • v.20 no.2
    • /
    • pp.123-133
    • /
    • 2009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classify nursing interventions by developing a list of interventions for family nursing care. Methods: A new intervention list was confirmed after the researchers' discussion and professional consult. All possible interventions were re-organized. Results: Five grand categories were identified, which include health education, providing direct nursing care, utilization and referral of community resources, reinforcing family resources, and stress management. The category of health education consists of anticipatory guidance, training and education, providing information, and consult and motivation. The category of providing direct nursing care consists of identifying problem, providing technical nursing, providing family tailored nursing care, family contract, monitoring or evaluation, and collaboration with experts. The utilization and referral of community services includes utilization of health care facilities, utilization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use of neighbors, friends, and relatives, connecting to professionals or supporting groups, and utilization of other sources. Reinforcing family resources includes reinforcing economic resources, reinforcing physical resources, and reinforcing human resources. Stress management includes reorganization of perception, resolving conflicts, division of role, preparing communication strategies, time management, creating familiarity, supporting spirituality, and developing sense of humor.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useful resources to promote nursing activities by identifying possible family nursing interventions.

  • PDF

Managing Illness of Korean Immigrants in Transition (재미 한인들의 초기 이민 경험과 질병관리에 관한 고찰)

  • Im Eun-Ok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 /
    • v.10 no.1
    • /
    • pp.58-79
    • /
    • 1996
  • 재미 한인들의 급격한 증가와 더불어 미국 간호학의 한인들에 대한 문화적 지식의 유입을 필요로 하게 하였다. 더구나 기존 연구들은 한인들이 질병을 비효율적이며 부적절하게 관리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어 이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더욱 증가하였다. 기존 연구에 의하면 초기 이민 경험은 이민자들의 건강과 질병 관리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는 비평적 문헌 고찰을 통하여 초기 이민 경험이 재미 한인들의 질병관리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하여 살펴보고 이에 근거하여 재미 한인들을 위한 적절한 간호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했다. 의학도서 목록 전산망과 기타 문헌 자료를 이용하여 1966년부터 1995년까지의 의학, 보건학, 생물학, 심리학, 사회학 문헌들을 살펴보았다. 체계적인 문헌 고찰을 위하여 4개의 세부적인 주제 아래 문헌들을 구분하여 고찰하였다 첫째. 일반적인 이민자들의 초기 이민경험, 건강, 질병 관리가 고찰되었고. 둘째로 재미 한인들의 초기 이민 경험이 고찰되어졌으며, 셋째로, 재미 한인들의 건강. 질병관리가 고찰되어졌고, 마지막으로 이들을 위한 간호의 방향을 제시해 줄 기존의 간호 모델들이 고찰되어졌다. 문헌 고찰 결과, 재미 한인들의 부적절한 질병 관리는 그들의 초기 이민 경험들과 관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문화적으로 결정되어진 신념이나 태도들이 재미 한인들의 적절한 질병 관리를 방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재미 한인들도 본국인들과 마찬가지로 질병관리를 위해 현대의학. 한방, 무속, 민간요법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한방의 사용이나 이러한 치료법들의 흔용은 한인들의 적절한 질병 관리를 방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문화적 차이, 언어장벽, 그리고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차이점에서 오는 오해들이 재미 한인들의 질병 관리를 부적절하게 만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이민생활에서 오는 여러 어려움들 또한 재미 한인들의 질병관리를 어렵게 만드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섯째. 사회적 지지의 부족 역시 재미 한인들의 적절한 질병관리를 힘들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적절한 간호 모델의 부재가 이들을 위한 적절한 간호의 제공을 어렵게 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를 두고 초기 이민 적응기에 있는 재미 한인들에게 적절한 간호를 제공하기 위한 몇 가지 제안들이 제시되었다. 첫째, 이민자들에게 적절한 간호가 제공되기 위해서도 문화적 배경을 고려해야 하겠다. 문화적으로 적절한 간호를 위해서 간호 제공자들은 자신들의 문화와 다른 간호 대상자의 문화도 존중해 주어야 하며, 문화적으로 결정되어진 건강 신념들과 질병 관리 행태도 생명을 위협하지 않는 한 존중해 주어야 할 것이다. 또한 간호제공자들은 자문화 중심적인 사고방식에서 벗어나야 하며, 간호 대상자들의 상황을 총괄적으로 이해하여야 하고 이민자들의 어려움에 대해 공감을 가지고 간호를 제공하여야 하겠다. 둘째, 간호 제공자들은 한방에 관한 지식을 가지고 한 의학 혼용으로 인한 위험으로부터 간호 대상자를 보호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문화적 차이나 자민족 중심적 사고방식으로 인한 오해를 막기 위하여 간호 제공자들은 간호 대상자와 자주 상호 교류함으로써 배우는 자세로 간호 대상자를 대하여야 할 것이며, 자신의 자민족 중심적인 사고방식을 인지하고 언어적,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문화 집단별 차이를 앎으로써 오해의 소지를 줄여야 할 것이다. 넷째, 적절한 간호의 제공을 위하여 의사소통을 위해 대화만을 직접 번역해 주는 통역자와는 달리 문화적 배경까지도 이해하고 해석해 주는 문화적 통역자의 도움을 밟아야 할 것이다. 다섯째, 한국문화는 가족 중심적 문화이므로 간호 대상자의 혈연관계를 이해하고 그에게 크게 영향을 주는 가족원을 간호 중재에 참여시킴으로써 치료 효과를 높여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효과적인 간호를 위하여 재미 한인을 위한 적절한 간호 모델을 개발함으로써 체계적인 간호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 PDF

Cancer Health Literacy and Cancer Screening Behaviors: A Systematic Review (암 건강정보문해력과 암 조기진단행위: 체계적 문헌고찰)

  • Guo, Lingru;Kim, Hyunli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2 no.9
    • /
    • pp.373-385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ystematically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ancer health literacy and cancer screening behaviors using global data. Following the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review guidelines, full-text articles published on PubMed, CINAHL, Embase, and Cochrane Library were reviewed until 31 January 2021. The reference lists of all selected studies have been also included. The cancer health literacy and cancer-screening behaviors of the participants aged ≥18 years were assessed. Seventeen studies that met the inclusion criteria were included. The cancer screening behaviors included mammograms, clinical breast cancer examination, Papanicolaou test, colonoscopy, and PSA screening. Eleven studies revealed a statistically meaningful relationship between the cancer health literacy and cancer screening behaviors. Further research should focus on developing effective interventions and guidelines on cancer health knowledge. The research scope of all areas of cancer health literacy and cancer screening behaviors should be extended to improve the cancer screening rates and public heal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