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간호요양원

검색결과 65건 처리시간 0.023초

가정간호서비스 이용 노인환자의 간호요양원(nursing home) 필요 예측에 관한 연구 (The needs of nursing home services for frail elderly people receiving home care nursing services)

  • 강임옥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415-424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population requiring nursing home services for frail elders who received home care nursing services. This study identified the need of nursing home services and the proportion of elders over 60 years of age requiring nursing home services according to the admission eligibility including items with intensity of home care nursing services and the criteria for screening of patients requiring home care nursing services. In this study, survey research design was conducted. A total of 49 home care nurses were collected. They were asked to assess the need of nursing home services based on items with intensity of home care nursing services and the criteria for screening of patients requiring home care nursing services. Using secondary data analysis from the survey on 'The Evaluation of Home Care Nursing Service Program in 1994 in Korea', the proportion of elders requiring nursing home services was estimated. The estimated numbers and proportion of frail elders requiring nursing home services were 169 (86.2%) aged persons among community dwelling elders based on admission eligibility. However, the proportion of aged persons was 68% using the only criteria for screening of patients requiring for screening home care nursing services.

  • PDF

재가장기요양기관 방문간호사의 간호 경험 (The Lives Experience of Visiting Nurses of Home-based Long-term Care Service Center)

  • 변진이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603-618
    • /
    • 2019
  • 본 연구는 재가장기요양기관 방문간호사의 간호 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탐구하기 위해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방법론을 적용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방문간호 경력 1년 이상인 10명의 방문간호사들로 목적적 표집과 편의 표집, 눈덩이식 표집 방법을 통해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7년 1월 7일부터 2018년 10월 12일까지 진행되었으며, 연구 참여자와의 면담은 총 23회에 걸쳐 이루어졌다. 자료 분석은 van Manen이 제시한 해석학적 현상학 방법론에 근거를 두고 전체론적(holistic) 방법과, 선택적(selective) 방법, 그리고 세분법(detailed)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재가장기요양기관 방문간호사의 간호 경험은 6개 본질적 주제와 20개 하위주제로 도출되었다. 본질적 주제는 '대상자 및 보호자와 친밀한 관계를 형성함', '주도적 간호수행으로 방문간호의 기반을 다져감', '지원체계 미비로 원하는 만큼의 간호를 제공하기 어려운 현실에 직면함', '간호의 진정성이 전달되지 않을 때 속상함', '내 환자라는 책임감을 가지고 돌봄의 소명을 다함', '방문간호사로서 보람과 의미를 느끼며 오래도록 일하고자 함'이다. 본 연구는 재가장기요양기관 방문간호사들의 간호 경험을 탐색함으로써 지역사회 내에서 노인장기요양보험 방문간호사의 역할과 중요성을 이해하였다는데 의미가 있다.

요양병원 간호사의 간호행위와 위임실태 (Nursing Activities and Delegation in Long-term Care Settings)

  • 임희영;윤미진;권영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4호
    • /
    • pp.191-202
    • /
    • 2019
  • 본 연구는 요양병원 간호사의 간호행위와 위임실태를 파악하여 의료서비스의 질향상에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요양병원 3년 이상의 근무경력을 가진 간호사 140명을 대상으로 2013년 7월 26일부터 12월 23일까지 자료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통계프로그램의 빈도분석, 평균과 표준편차, Independentent t-test와 One way ANOVA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간호행위 위임실태로는 간호행위 위임절차의 프로토콜이 없는 경우가 프로토콜이 있는 경우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요양병원 간호사의 간호행위는 위임에 대한 명시된 기준이나 절차가 없는 상황에서는 의료서비스의 질을 떨어뜨리는 주요요인이 될 수 있으므로 간호업무위임의 법칙, 제도적 근거와 간호업무 위임행위에 대한 절차와 방법, 지침이 마련되어짐이 요구된다.

장기요양서비스 유형별 뇌졸중 환자의 기능수준 비교분석 (Functional Status of Stroke Patients among Different Long-Term Care Settings)

  • 김은영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372-378
    • /
    • 200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functional status of stroke patients cared for in different long-term care settings. Method: We assessed all stroke patients in two home health care agencies, four nursing homes and one geriatric hospital in Korea (n=171) using the Resident Assessment Instrument (RAI), which comprises Activity of Daily Living (ADL), urine incontinence, bowel incontinence, a Cognitive Performance Scale (CPS),and being understood and understanding others. Data was collected by face-to-face surveys with patients. Results: The mean ADL score, urine incontinence score, bowel incontinence score, CPS, and being understood score and understanding others score were lowest for the patients receiving home health care, and highest for the patients in nursing homes. Low scores described poor and high scores good functional status.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physical and cognitive function scores between the three groups of patients.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re may be large differences between the patients in these three types of long-term care settings. These findings can be used to help develop and implement efficient long-term care programs.

재가방문 치매 요양보호사의 근무환경이 인간중심돌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Working Environment on Person-centered Care in Home Care Visiting Dementia Caregivers)

  • 장두남;유정옥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174-184
    • /
    • 202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working environment on person-centered care for home visiting dementia caregivers. Methods: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46 caregivers, with the least 6 months of experience working at visiting care centers in Busan, and used a total of 133 questionnaires suitable for analysis. Data were collected from June 9 to July 20, 2023, and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using IBM/SPSS 27.0. Results: As a result of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organizational factors (β=-.37, p<.001), job-related factors (β=-.27, p=.001), and religion (β=.18, p<.013) were factors affecting person-centered care of home visiting dementia caregivers, and working environment explained 37% (F=10.63, p<.001) of person-centered care.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exploration of strategies to improve the working environment will be necessary in order to increase person-centered care for home visiting dementia caregivers.

요양병원 간호사의 윤리적 딜레마와 전문직업성 (Ethical Dilemma and Professionalism of Long-term Care Hospital Nurses)

  • 최은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1호
    • /
    • pp.153-163
    • /
    • 2018
  • 본 연구는 요양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윤리적 딜레마와 전문직업성 정도를 파악하여 윤리적 딜레마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과 전문직으로서의 성장을 통한 질적인 간호를 제공하기 위한 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자는 14곳의 요양병원에 재직 중인 간호사 21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자료분석은 SPSS/WIN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본 연구결과 요양병원 간호사의 윤리적 딜레마는 중간정도로 나타났고, 하위 영역 중 간호사와 대상자 영역이 가장 높았으며, 생명존중 및 건강의 권리 존중 영역이 낮게 나타났다. 대상자의 전문직업성은 중간정도로 나타났고, 소명의식 영역의 점수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요양병원 간호사들의 윤리적 딜레마 상황을 반영한 간호윤리 지침서를 개발하여 간호사들이 실무현장에서 겪게 되는 윤리적 딜레마상황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을 심어주기를 제언한다. 또한 요양병원 간호사들의 전문직업성 교육을 계획할 때 간호직에 대한 신념과 가치관을 강조하여 소명의식을 높일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하다.

장기요양보호서비스의 비용분석 (Cost Analysis of Long Term Care Services)

  • 박창제;김수영;주수현
    • 한국노년학
    • /
    • 제29권3호
    • /
    • pp.1043-1061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실시되고 있는 장기요양보호서비스에 대하여 유형별로 비용측면에서 경제성을 분석하고 정책적 함의를 논의하는 것이다. 조사대상자는 2008년 7월부터 시행되고 있는 노인장기요양제도의 적용대상자로 인정받은 65세 이상 노인과 그 부양가족이었고, 주부양자를 대상으로 요양보호서비스유형별로 구분하여 설문조사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중에서 방문요양 155부, 방문간호 67부, 요양시설 108부, 요양병원 92부 총 422부가 본 연구의 분석 표본으로 사용되었다. 조사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부양 가계의 가계소득이 높지 않았다. 둘째, 장기요양보험제도가 실시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노인부양가계가 노인을 위하여 직접 지불하는 금액이 여전히 높은 편이다. 셋째, 부양가계가 노인을 위하여 수발하는 데 소요되는 간접비용이 아주 높은 편이다. 특히 재가서비스인 방문요양의 경우엔 평균 756,947원, 방문간호인 경우 594,807원으로 시설서비스에 비하여 간접비용이 상대적으로 아주 더 높았다. 넷째, 장기요양보호 노인에 대한 사회적 비용이 아주 높다. 이 금액은 본 조사에서 확인한 부양가계의 평균가계소득과 비슷한 수준이다. 다섯째, 요양보호서비스 유형별로 부양가계가 부담하는 서비스 비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여섯째, 부양가계의 직접 비용에서도 요양보호서비스 유형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지만 서비스이용비용보다는 그 차이가 작았다. 일곱째, 사회적 직접 비용은 요양보호서비스 유형별로 아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여덟째, 요양보호서비스를 이용하는 노인에 대한 사회적 비용금액이 아주 크고 서비스 유형별 총 사회적 비용이 전체 서비스 이용노인의 평균적인 사회적 비용에 수렴하는 경향을 보였다.

요양병원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셀프리더십, 사회적 지지가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 of Job Stress, Self-Leadership and Social Supports of Long-Term Care Hospital Nurses on Nursing Performance)

  • 박소영;조정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6호
    • /
    • pp.1159-1172
    • /
    • 2023
  • 우리는 본 연구를 통해 요양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 셀프리더십 및 사회적 지지가 간호헙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간호업무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자료수집은 B시와 G시에 소재한 요양병원에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2018년 2월 1일부터 2월 25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시행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2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요양병원 간호사의 간호업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셀프리더십(𝛽=.415, p<.001), 연령(𝛽=.251, p=.001), 사회적 지지(𝛽=.206, p<.001), 직무스트레스(𝛽=-.159, p=.001), 직위(𝛽=.102, p=.047)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요양병원 간호사의 업무 특성이 반영된 간호업무성과 관련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 및 관련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음을 기대한다.

요양원 종사자의 감정노동, 소진이 직무스트레스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치매환자 돌봄 경험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Emotional Labor, Burnout o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Nursing Home Workers : Focusing on Care Experience of Dementia Patients)

  • 이덕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382-393
    • /
    • 2018
  • 치매환자는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환자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들에 대한 처우의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치매환자를 돌보는 요양원 종사자의 돌봄 경험을 살펴보고, 그들의 감정노동, 소진이 직무스트레스와 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돌봄 경험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요양병원 종사자의 돌봄 경험은 초기 간호사 마음가짐, 초기 간호수행(돌봄)시 치매환자에 대한 인식, 업무수행(돌봄)과정의 애로사항, 돌봄 과정에서 생기는 신체적 정신적 한계, 업무수행(돌봄)과정의 만족, 치매환자 간호수행(돌봄)을 통한 경험, 개인적 삶에 대한 마음가짐의 변화로 나타났다. 둘째, 감정노동과 소진은 직무스트레스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과정에서 돌봄 경험은 감정노동과 소진이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유의하게 조절(완화)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직무 스트레스와 직무 만족 간의 관계는 지지되었다.

요양병원과 요양시설 노인의 건강상태, 사회적 지지 및 거주만족도 (Comparison of Perceived Health Status, Social Support and Residential Satisfaction in Longterm Care Hospital and Nursing Homes)

  • 윤동원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22권1호
    • /
    • pp.24-31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nd compare the differences on perceived health status, Activities of Daily Livings (ADL), social support, and residential satisfaction between long-term care hospitals and nursing homes. Methods: Data was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conducted from March 29 to April 22, 2011. The subjects were 66 old adults in 3 long-term care hospitals and 53 old adults in 6 nursing homes. Data were analyzed by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t-tests. Results: ADL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in nursing homes were worse than those in long-term hospitals,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05). Old adults in nursing homes received more emotional support from other residents and staff, and received more instrumental support from staff than those in long-term care hospitals (p<.001). The mean scores of resident satisfaction in long-term care hospitals and nursing homes were 3.53 ($SD={\pm}0.36$) and 3.97 ($SD={\pm}0.44$), respectively. Resident satisfaction in nursing homes significantly was higher than long-term care hospitals (p<.001). Conclusion: Health care personnels in long-term care hospitals should enhance resident satisfaction and social support and need to coordinate long-stay patients with nursing homes.